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좌 소개

    수업내용/목표

    이강좌는약100여년의시대를관통하는대중음악장르의형성배경과하위문화(subculture)주체로서의청년문화담론을현상학적으로이해하는데목적이있다.시대정신을직접적으로반영하는대중음악은하나의장르를생산하고소비하는능력과시대정신속에서행사되는상징적위력,그리고교육과계급에 의해축적된대중의문화적기호등이구체적으로반영되어있기때문에사회체제와밀접한관련이있다.더욱이하드웨어에서콘텐츠웨어로,경제의시대에서문화의시대로이행해가는과정에서청년문화는세계사의동시성을이해하는데적절한계기를제공해줄 수 있다.

    학습목표
    이 강좌는 ‘역사적 하위문화’로서의 청년문화에대한현상들을문제의소재로삼으면서각시대에형성된음악장르와관련된청년세대의정신사를살펴보고자 한다.

    홍보/예시 영상

    강좌 운영 계획

     

    주차

    주차명7)

    (주제)

    주차별 학습 목표8)

    차시

    차시명

    강좌 운영방법10)

    학습내용9)

    수업방법

    상호작용

    및 평가방법

    학습자료

    1

    대중음악과 청년문화 담론

    대중음악에 반영된 청년문화의정치적·사회사적성격을 파악한다.

    1-1.

    대중음악의탄생

    강좌영상

    (15×1)

     

    PDF 제공

    1-2.

    청년문화의등장

    강좌영상

    (15×1)

     

    PDF 제공

    1-3.

     

    21세기K-POP팝의탄생

    강좌영상

    (15×1)

     

    PDF 제공

    자료링크

    2

    초기 재즈와 흑인의역사

    초기 재즈음악의 형성배경과 흑인의 역사를 이해한다.

    2-1.

    초기 재즈의출발

    강좌영상

    (15×1)

     

    PDF 제공

    2-2.

     

    스윙의 시대

     

    강좌영상

    (15×1)

     

    PDF 제공

    2-3.

     

     

    루이암스트롱

     

    강좌영상

    (15×1)

     

     

    PDF 제공

    자료링크

    3

    모던재즈의 흐름과역사

    비밥,쿨재즈,퓨전재즈 등 모던재즈 장르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한다.

    3-1.

    1940년대비밥

    강좌영상

    (15×1)

     

    PDF 제공

    3-2.

    1950-1960년대

    쿨재즈와하드밥

    강좌영상

    (15×1)

     

    PDF 제공

    3-3.

    1960-1970년대

    프리재즈와퓨전재즈

    강좌영상

    (15×1)

    퀴즈(2)

    PDF 제공

    자료링크

    4

    재즈 앨범의 의미와 아티스트의 역사

    재즈 악기 편성 및 재즈가 현대 대중음악에 미친 영향과 아프로 아메리칸 청년들의 일상과 시대적 변화의 추이를살펴본다.

    4-1.

    초기 재즈 시대의 주요 아티스트와 대표곡

    강좌영상

    (15×1)

     

    PDF 제공

    4-2.

    비밥,쿨재즈,하드밥의 주요 아티스트와 대표곡

    강좌영상

    (15×1)

     

    PDF 제공

    4-3.

    프리재즈와 퓨전재즈의 주요 아티스트와 대표곡

    강좌영상

    (15×1)

    토론

    PDF 제공

    자료링크

    5

    로큰롤과비트제너레이션

    1950년대로큰롤 탄생의 배경과 모드족,힙스터족,테디보이,스켄헤드,펑크 등 청년문화의 사회사적 성격을 이해한다.

    5-1.

    전후 로큰롤의 탄생

    강좌영상

    (15×1)

     

    PDF 제공

    5-2.

    PDF 제공

     

    강좌영상

    (15×1)

    로큰롤뮤지션

    PDF 제공

    자료링크

     

    강좌영상

    (15×1)

    비트제너레이션

    5-3.

     

    6

    베트남전쟁과 히피문화

    반체제적 Student power의영향력과 샌프란시스코를 중심으로 결집한 청년 유토피아 공동체 문화를 이해한다.

    6-1.

    히피의기원

    강좌영상

    (15×1)

     

     

    PDF 제공

    6-2.

    히피와사이키델릭록

    강좌영상

    (15×1)

     

    PDF 제공

     

    6-3.

    록페스티벌과 히피문화의유산

    강좌영상

    (15×1)

    퀴즈(2)

    PDF 제공

    자료링크

    7

    펑크록의세계관

    역사적 하위문화의 관점에서 영국 펑크록의 세계관을 이해한다.

    7-1.

    영국 펑크록의등장

    강좌영상

    (15×1)

     

     

    PDF 제공

    7-2.

    펑크록의미학

    강좌영상

    (15×1)

     

     

    PDF 제공

     

    7-3.

    펑크록의특징

    강좌영상

    (15×1)

    토론

    PDF 제공

    자료링크

    8

    중간고사

    1주차-7주차에수강한 내용들을 복습함으로써 전체적인 강의의 흐름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계기로삼는다.

    학습내용

    1-7주차까지학습한 내용 중 흑인음악의 역사성과 그것이 대중음악에 미친 영향력,블루스의 역사성,인종차별 문제 등을 둘러싼 청년문화 담론에 함의된 내용을 이해함으로써 학습자들의 문제의식과 연결될 수 있는 현재적 의미를질문한 뒤 그 결과를 피드백 한다.

    객관식 문제

     

     

    9

    얼터어너티브록과X세대

    1990년대초 시애틀을 중심으로 한 미국 락 씬의 형성배경과 그런지 록 밴드의 감수성을 살펴본다.

    9-1.

    너바나의등장과 X세대

    강좌영상

    (15×1)

     

     

    PDF 제공

    9-2.

    그런지록과X세대의정서

    강좌영상

    (15×1)

     

    PDF 제공

     

    9-3.

     

    한국의펑크록

    강좌영상

    (15×1)

     

    PDF 제공

    자료링크

    10

    흑인민권운동과 프로테스트포크

    1950-1960년대미국사회의 인종차별 정서와 흑인민권운동의 흐름을 이해한다.

    10-1

    미국 포크음악과청년문화

    강좌영상

    (15×1)

     

    PDF 제공

     

    10-2

    모던포크와 포크록:밥 딜런

    강좌영상

    (15×1)

     

    PDF 제공

     

    10-3

     

    한국의 포크뮤직

    강좌영상

    (15×1)

     

    PDF 제공

    자료링크

    11

    디스코의 MTV 세대

    1980년대미국사회를 풍미한 디스코가 대중문화에 미친 정치적 성격을 이해한다.

    11-1

    디스코란 무엇인가

    강좌영상

    (15×1)

     

    PDF 제공

    11-2

    MTV의시대

    강좌영상

    (15×1)

     

    PDF 제공

    11-3

    MTV의스타 탄생

    강좌영상

    (15×1)

    퀴즈(2)

     

    PDF 제공

    자료링크

    12

    일본의 포크뮤직과 전공투

    1960-1970년대고도경제성장의 배경과 일본 포크뮤직의 사회적 특징을 이해한다.

    12-1

    전후 일본 사회와 평화주의

    강좌영상

    (15×1)

     

     

    PDF 제공

    12-2

    일본 포크뮤직과 청년문화

    강좌영상

    (15×1)

     

    PDF 제공

    12-3

    전공투 세대의 정신사

    강좌영상

    (15×1)

    토론

    PDF 제공

    자료링크

    13

    힙합뮤직과 그의 적들

    힙합뮤직에 반영된 청년 메시지의 정치학적 특성을 이해하고,K-POP의문화사적 의미를 이해한다.

    13-1

    힙합뮤직의 탄생

    강좌영상

    (15×1)

     

    PDF 제공

    13-2

    게토와 셀프 메이드

    강좌영상

    (15×1)

     

    PDF 제공

    13-3

    레전드 힙합 뮤지션

    강좌영상

    (15×1)

    퀴즈(2)

    PDF 제공

    자료링크

    14

    뉴노멀 시대의 대중음악

    뉴노멀 시대의 감성과 뉴파워 제네레이션의 문화 현상을 살펴본다.

    14-1

    뉴노멀의 시대

    강좌영상

    (15×1)

     

    PDF 제공

     

    14-2

    언텍트시대의 청년문화

    강좌영상

    (15×1)

     

    PDF 제공

    14-3

    K-POPBTS

    강좌영상

    (15×1)

    토론

    PDF 제공

    자료링크

    15

    기말고사

    미국-일본-한국의포크뮤직과 힙합,그리고 뉴노멀 시대 대중음악의 변천과정을 시대정신과 관련지어 살펴봄으로써 학습자 개인의 경험으로 연결지어 사고할 수있다.

    학습

    내용

    (1) 9주차-14주차까지학습한 내용 중 포크뮤직의 정신사,힙합문화,뉴노멀 시대의 대중음악을 통해 청년문화의 미래상을 가늠해본다.

    (2) 학습자들이 게시판에 올린 개인적 경험을 각각의 음악 장르와 적절하게 연결해 보도록 한다.

    (3) 대중음악과 청년문화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주제를 제시하여 그 결과를 피드백한다.

    객관식 문제

     

     

    강좌운영팀 소개

    교수자

    이혜진 professor
    이혜진 교수
    세명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한국문화융합학회 부회장
    도쿄외국어대학 종합국제학연구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 및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학사

    alusa@hanmail.net

    강좌지원팀

    전은진 조교
    전은진 조교
    경희대학교 대학원 응용예술학과 졸업(예술학 박사)
    경희대, 남서울대, 단국대, 상명대, 유원대 시간강사

    eunjin17@hanmail.net
    김태경 조교
    김태경 조교
    건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문학 박사)
    인하대, 순천향대, 중부대, 유한대 시간강사

    rainyjs55@hanmail.net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정보

    이수/평가정보

    구분

    퀴즈

    토론

    게시판

    중간고사

    기말고사

    반영비율

    15%

    15%

    10%

    30%

    30%

    게시판 : 참여도에 따라 전체 총점의 10%에 해당

    ※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이 강좌는 유익한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교재 및 참고문헌

    이 강좌는 여러가지 참고자료가 많이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본강좌의자체평가는언제부터언제까지진행되나요?

    자체평가 일정은 11월 24일 오전 11시경에 예정되어 있습니다

    미리보기

    분야 사회 (사회과학)

    난이도 교양

    운영기관 세명대학교

    이수증 미발급

    주차 16 주

    학습인정시간 12시간 00분 (12시간 17분)

    수강신청기간 23.09.25 ~ 23.11.27

    강좌운영기간 23.10.02 ~ 23.12.04

    전화번호 043-649-7166

    자막언어 한국어 외 1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