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좌 소개

    수업내용/목표

    4차 산업혁명, AI, 유전자 편집, 포스트휴머니즘 등의 말이 일상적 삶 도처에서 범람하는 요즘입니다.
    그러나 정작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우리는 앞으로 어떻게 되는 것인지’ ‘포스트휴머니즘이 정확히 무엇을 말하는지’ 주변 사람들이나 자신에게 묻는다면 쉽게 답할 수 있을까요?
    아마도 주저하거나 단편적인 답밖에는 내놓을 수 없을 겁니다.
    우리의 지식이 부족해서? 우리가 알기에는 너무 어려운 이야기라서? 결코 아닙니다.
    바로 그 정체가 아직 확실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은 일련의 몇 가지 사건들이나 단기간의 역사적 흐름만으로 설명되지 않습니다.
    인류의 문화 발전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부터 근대 세계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까지 그 배경과 과정을 인지하고 있어야 하며, 자본주의에 대한 이해도 필수적이죠.
    이외에도 여러 가지 앎이 요구되는데, 문제는 이 다양한 요소들이 어떻게 4차 산업혁명 문제를 촉발시켰는지, 포괄적 흐름을 파악하기란 만만치 않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그 쉽지 않은 길의 길라잡이가 되기 위해 이 강의가 열린 것이죠.
    알파고, 유전자 변형 토마토, 헐크나 아이언 맨 등은 모두 4차 산업혁명과 함께 언급될 수 있는 것이지만 표면적인 결과물일 뿐, 중요한 것은 그들이 가진 함축적인 의미입니다.
    그리고 그 의미는 궁극적으로 ‘인간’을 향해 있습니다.
    그래서 ‘휴머니즘’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중요한 것인데요, ‘인간을 향해 있다’는 말은 이 문제가 여러분 자신에게 해당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우리의 문제를 해결한다는 마음가짐으로 ‘포스트 산업시대와 포스트휴머니즘’ 강의를 들어보면 어떨까요.

    강좌 운영 계획

    강의 계획서

    강의 계획서
    주차별 주제와 소주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주차 차시
    1 제4차 산업역명은 무엇을 말하는가 제4차 산업역명은 무엇을 말하는가 (1)
    제4차 산업역명은 무엇을 말하는가 (2)
    제4차 산업역명은 무엇을 말하는가 (3)
    2 산업혁명과 인간의 인식 산업혁명과 인간의 인식 (1)
    산업혁명과 인간의 인식 (2)
    산업혁명과 인간의 인식 (3)
    3 문화 발전의 의미 문화 발전의 의미 (1)
    문화 발전의 의미 (2)
    문화 발전의 의미 (3)
    4 근대 세계의 형성 근대 세계의 형성 (1)
    근대 세계의 형성 (2)
    근대 세계의 형성 (3)
    5 자본주의와 포스트휴먼 자본주의와 포스트휴먼 (1)
    자본주의와 포스트휴먼 (2)
    자본주의와 포스트휴먼 (3)
    6 문화와 인간 이해 문화와 인간 이해 (1)
    문화와 인간 이해 (2)
    문화와 인간 이해 (3)
    7 휴머니즘과 인간 이해 휴머니즘과 인간 이해 (1)
    휴머니즘과 인간 이해 (2)
    휴머니즘과 인간 이해 (3)
    8 중간고사 중간고사
    9 철학적 인간학 철학적 인간학 (1)
    철학적 인간학 (2)
    철학적 인간학 (3)
    10 현대문화에서의 인간 이해 현대문화에서의 인간 이해 (1)
    현대문화에서의 인간 이해 (2)
    현대문화에서의 인간 이해 (3)
    11 현대문화와 과학혁명 현대문화와 과학혁명 (1)
    현대문화와 과학혁명 (2)
    현대문화와 과학혁명 (3)
    12 생명과학혁명 생명과학혁명 (1)
    생명과학혁명 (2)
    생명과학혁명 (3)
    13 포스트휴먼 담론 포스트휴먼 담론 (1)
    포스트휴먼 담론 (2)
    포스트휴먼 담론 (3)
    14 포스트휴먼 문화와 인간 이해 포스트휴먼 문화와 인간 이해 (1)
    포스트휴먼 문화와 인간 이해 (2)
    포스트휴먼 문화와 인간 이해 (3)
    15 기말고사 기말고사

    강좌운영팀 소개

    교수자

    신승환 교수
    신승환 교수
    가톨릭대학교 철학전공 교수
    E-mail : sehanul@catholic.ac.kr

    가톨릭대학교 신학부를 졸업하고, Hochschule fuer Philosophie에서 철학 석사학위를 받은 후,
    Univ. Regensburg에서 "형이상학-예술-탈근대주의: 마틴 하이데거의 합리성비판과 진리의 문제
    Metaphysik-Kunst-Postmoderne: Martin Heideggers Rationalitae tskritik und das Problem der Wahrheit" 논문으로 철학/신학 박사학위를 받았음.
    전공분야는 형이상학과 해석학이며, 1997년부터 현재까지 가톨릭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
    주요 저서로는,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성찰』(살림, 2003), 『지금, 여기의 인문학』(후마니타스, 2010),『해석학』(아카넷, 2016) 등이 있다.

    강좌지원팀

    윤단비
    2016.02 가톨릭대학교 석사과정 졸업
    2016.09 가톨릭대학교 박사과정 입학
    2018.08 가톨릭대학교 박사과정 수료
    E-mail : babasiki@naver.com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정보

    이수/평가정보
    과제명 퀴즈 토론 과제 중간고사 기말고사
    반영비율 10% 10% 10% 30% 40%

    ※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전공기초

    교재 및 참고문헌

    클라우스 슈밥『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Klaus Schwab /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어니스트 겔너 『쟁기 칼 책: 인류 역사의 구조』(Ernest Gellner / Plough, sword, and book :
    the structure of human history.)
    스티븐 제이 굴드 『다윈 이후: 다윈주의에 대한 오해와 이해를 말하다』 (Stephen Jay Gould / Ever since
    Darwin reflections in natural history)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 (Yuval Noah Harari / Sapiens)
    칼 마르크스 『자본론』 (Karl Marx / Das Kapital)
    마르틴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Martin Heidegger / Sein und Zeit)

    분야 인문 (인문과학)

    난이도 -

    운영기관 가톨릭대학교

    이수증 미발급

    주차 15 주

    학습인정시간 30시간 00분 (10시간 08분)

    수강신청기간 19.01.23 ~ 19.05.19

    강좌운영기간 19.02.04 ~ 19.05.19

    전화번호 02-2164-4895

    자막언어 -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