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좌개요

    본 강좌에서는 리빙랩(Living Lab)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방법론 그리고 전세계의 다양한 리빙랩 사례를 소개합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리빙랩은 왕성하게 수행되고 있고 많은 사례를 만들면서 새로운 모델을 계속 형성해가고 있습니다. 리빙랩은 교육과 실제 사회문제 해결을 통합하는 특징이 있는 4차 산업혁명과 잘 어울리는 방법론입니다. 리빙랩 설계를 통해 수강생들은 사회문제와 기술혁신을 연결하는 실천적 설계를 수행하는 단계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통찰을 얻을 수 있고 우리에게 맞는 문제해결 방법을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 강좌는 수강생들의 자발성이 중요합니다. 수강생들은 스스로 자료를 찾고 보충내용을 제작할 수도 있으며, K-MOOC 게시판에 공유하고 함께 토론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교수자와 수강생이 함께 리빙랩 모델을 공동 구성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강좌 계획
    강의계획표
    주차 주제 강의명 오픈일
    1주차 리빙랩이란 무엇인가 1.1 기술과 사회의 공동-진화 3/30
    1.2 리빙랩의 이해: 이론적 배경
    1.3 리빙랩 방법론
    1.4 토크: 리빙랩의 가능성
    2주차 리빙랩 사례분석 1 2.1 독일, 지속가능랩 4/6
    2.2 스웨덴, 푸드와치
    2.3 미국, 웰리빙랩
    2.4 일본, 세이프캐스트
    2.5 토크: 리빙랩과 사회문제 해결
    3주차 리빙랩 사례분석 2 3.1 영국 에너지 리빙랩 4/13
    3.2 북유럽 FormIT모델
    3.3 협업 HSB 리빙랩
    3.4 네덜란드 스프래쉬 목욕
    3.5 토크: 리빙랩에서 예상되는 난관들
    4주차 리빙랩 방법론 1 4.1 리빙랩 방법론 핸드북 4/20
    4.2 도시랩 가이드라인
    4.3 도시랩 운영 툴키트
    5주차 리빙랩 방법론 2 5.1 인터뷰 카드 4/27
    5.2 워크샵 공동제작
    5.3 훈련게임
    5.4 언메이크랩의 다르게 만들기
    6주차 IoT + 리빙랩 1 6.1 보태니콜 프로젝트 5/4
    6.2 스마트 팜: 인간-기술-식물
    6.3 시연: IoT 부품들 알아보기
    6.4 토크: 보태니콜 프로젝트에서 배우기
    7주차 IoT + 리빙랩 2 7.1 스마트 시민 프로젝트: 환경 데이터 수집 5/11
    7.2 소음 지도 프로젝트
    7.3 시연: 스마트 키트 만들어 보기
    8주차 IoT + 리빙랩 3 8.1 한국리빙랩네트워크(KnoLL) 5/18
    8.2 성대골, 에너지자립마을
    8.3 서울시, 사회혁신으로서 리빙랩
    8.4 대전 시민참여 연구센터
    9주차 리빙랩 + 과학 데이터 1 9.1 독일, 환경 센싱 5/25
    9.2 벨기에, 공기오염 센싱
    9.3 시연: 공기질 측정 장치
    10주차 리빙랩 + 과학 데이터 2 10.1 시민 과학의 통찰 6/1
    10.2 시민과학 플랫폼
    10.3 시민과학 게임: Foldit, Eterna
    10.4 시연: 센서데이터와 플랫폼 연결하기
    11주차 리빙랩 + 과학 데이터 3 11.1 리빙랩으로서 대학 6/8
    11.2 세인트말레지아대, 환경 DNA 리빙랩
    11.3 브라질 파소폰도대, 캠퍼스 녹지대 리빙랩
    11.4 시드니기술대, 초학제 리빙랩 모델
    11.5 MIT, 리빙랩을 위한 전환도구(Transaction Tools)
    11.6 토크: 대학 리빙랩 가능성
    12주차 프로젝트 설계 입문 12.1 프로젝트 설계하기 6/15
    12.2 제안서 작성하기
    12.3 토크: 리빙랩 프로젝트 구현과 수행
    13주차 프로젝트 과제 제출 13.1 프로젝트 과제 제출 6/22

    강좌 운영진

      교수소개  

    김지연 교수님 사진
    김지연
    고려대학교 과학기술학연구소 연구교수/기획실장
    한국과학기술학회 연구이사
    (저서)
    E-mail: spring900@gmail.com

      TA/운영진  

    박근우 조교 사진
    박근우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과학기술학 협동과정 석사과정
    E-mail: calpkw@gmail.com
    강좌 이수 요건
    강좌 이수 요건표
    퀴즈(40%)+토론(30%)+프로젝트(30%)의 비중으로 성적에 반영됩니다. 전체 학습활동을 평가한 결과, 60% 이상의 학습 성과를 획득한 학습자에게 이수증을 발급할 예정입니다.
    교재 및 참고문헌

      참고교재  

    참고교재 신형법입문 도서 사진
       Keyson, D. et al(eds.),    Living Labs Design and Assessment of Sustainable Living, Springer.
    참고교재 신형법입문 도서 사진
       Vittorio Loreto, et. al., eds. 2017,    Participatory Sensing, Opinions and Collective Awareness, Springer.

    미리보기

    분야 공학 (전기 · 전자)

    난이도 -

    운영기관 고려대학교

    이수증 미발급

    주차 13 주

    학습인정시간 26시간 00분 (15시간 05분)

    수강신청기간 20.03.16 ~ 20.06.29

    강좌운영기간 20.03.30 ~ 20.06.28

    전화번호 02-3290-1581

    자막언어 -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