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좌 개요

    21세기는 ‘바이오시대’라며 여기저기서 생물학과의 융합을 외치고 있습니다. 그런데 도대체 왜 바이오시대일까요? 다윈 진화론과 멘델 유전법칙이 19세기 중반에 세상에 알려지고 나서 100년이 채 지나지 않은 때인 1953년, 두 명의 젊은 과학자가 유전물질의 물질적 실체인 DNA의 구조를 밝혀냈습니다. 그리고 반세기 만에 인류는 자신을 비롯한 다양한 생명체의 유전체 정보를 완전히 해독하고 준(準)인공생명체를 탄생시키는 경지에 이르렀죠. 생물학의 비약적인 발전이 자연은 물론이거니와 과학의 주체인 인간을 변형시킨다는 점에서, 생물학은 미래 과학의 주도권을 선점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바이오시대'이고, 또 그래서 생물학은 철학과 만나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수업은 이 두 학문이 만나서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따라서 수업 도중에 지루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대목을 만나면, 일단 넘어가세요. 대부분 뒤에 가면 자연스레 해결될 테니까요. 그래도 여전히 부족하다면 온라인을 통해 담당 교수와 소통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이 말을 꼭 기억해 주세요.

    “우리 수업에서는 이상(異想)하는 사람이 이상(異常)한 게 아니라 이상(理想)적입니다!”

    교수 소개

    김응빈 교수

    김응빈 교수님 프로필

    연세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러트거스대학교에서 환경미생물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시스템생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독성 화합물 분해 미생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면서 국제 SCI 논문 60여 편을 발표했다. 저서로 『나는 미생물과 산다』, 『생명은 판도라다』, 『한눈에 쏙 생물지도』, 『핵심 생명과학』(공저), 『생명과학, 신에게 도전하다』(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 『세상을 바꾼 위대한 생각 100-철학』, 『세상을 바꾼 위대한 생각 100-우주』, 『토토라 미생물학』 등이 있다.


    김동규 교수

    김동규 교수님 프로필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나와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이데거를 비롯한 유럽 현대 철학과 미학이 주요 전공분야이다. 현재는 멜랑콜리 담론사 연구, 생물학과 철학의 창조적 접점 찾기(Metabiologia, Zoopoetics)에 몰두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멜랑콜리아-서양문화의 근원적 파토스』,『멜랑콜리 미학―사랑과 죽음 그리고 예술』, 『철학의 모비딕―예술, 존재, 하이데거』, 『하이데거의 사이-예술론』이 있고, 옮긴 책으로 크리스토프 멘케의 『미학적 힘―미학적 인간학의 근본개념』, 휴버트 드레이퍼스, 숀 도런스 켈리의 『모든 것은 빛난다―허무와 무기력의 시대, 서양고전에서 삶의 의미 되찾기』, 티모시 클라크의 『마르틴 하이데거, 너무나 근본적인』이 있다.

    이수증 발급

    기말고사(60%)와 퀴즈(40%)를 합산하여 60점 이상 이수한 학습자에게 이수증을 발급할 예정입니다.

    교재

    『미생물이 플라톤을 만났을 때』

    지은이 : 김동규, 김응빈

    출판사 : 문학동네

    ISBN : 9788954655422

    참고도서

    『생명은 판도라다 2판』

    지은이 : 김응빈

    출판사 : 원더북스

    ISBN : 9791195431984

    『멜랑콜리 미학』

    지은이 : 김동규

    출판사 : 문학동네

    ISBN : 9788954611176

    조교

    조교 이미지

    이지영 연구원

    연세대학교 시스템미생물학과 석사 과정

    e-mail : ejy@naver.com

    강의 일정

    차시주제소주제(모듈)
    1킬러와 원시인1.‘활과 리라’란?
    2.킬러와 원시인: 몸에서 일어나는 생명활동
    2유전자와 밈1.도킨스의 밈이론 소개
    2.밈이론에 대한 비판적 시선
    3생물학개관1.오장육부의 비밀
    2.생물학의 탄생과 발전
    3.현대 생물학의 아이콘
    4미생물개관1.미생물 그들은 누구인가?
    2.두 남자 이야기
    3.미생물과 세포 이야기
    5미토콘드리아1.호박꽃과 벌
    2.개체란 무엇인가?
    3.미토콘드리아의 지혜
    4.파스퇴르의 과오
    6문화, 인간 그리고 미생물1.파스퇴르를 위한 변명
    2.공생이론이 빈곤한 서양 문화
    3.경쟁숭배문화-나르시시즘
    4.현미경으로 본 인간의 조건
    7나는 누구인가?1.나는 누구인가?
    2.자-타 구분의 어려움
    8면역1.우리 몸의 방어체계 1
    2.우리 몸의 방어체계 2
    3.우리 몸의 방어체계 3
    9기생과 공생1.면역과 타자
    2.땅옷의 씨줄과 날줄
    3.기생과 소유
    10인간에 대하여1.인간의 위대함과 비천함에 관하여
    2.사랑과 에너지
    3.미토콘드리아의 생물학적 진실
    11미학적 관점에서 본 동물1.예술가의 그 분
    2.동물시학이란?
    3.예술작품인가 쓰레기인가?
    12바이러스와 예술1.예술은 바이러스다
    2.베토벤의 음악은 어디에서 존재하는가?
    3.유전자 이동과 생각의 이동
    13공생과 인생1.보이지 않는 여섯 번 째 장기
    2.미생이 그리는 인생
    3.에필로그
    14기말고사


    맛보기 강좌

    미리보기

    분야 자연 (생물 · 화학 · 환경)

    난이도 -

    운영기관 연세대학교

    이수증 미발급

    주차 14 주

    학습인정시간 16시간 32분 (08시간 37분)

    수강신청기간 19.08.19 ~ 19.12.27

    강좌운영기간 19.09.02 ~ 19.12.27

    전화번호 02-2123-4155

    자막언어 -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