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강의실

최근 수강강좌 목록

현재 진행중인 강좌(청강제외)만 출력됩니다.

최근접속순 최대 10개 강좌만 표시됩니다.

K-MOOC
K-MOOC 학점은행제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한국어
  • 한국어
  • ENGLISH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Course Description (강좌 소개)

    Learning Objectives (학습목표)

    • 글로벌 금융위기의 원인을 다양한 시각으로 분석할 수 있다.
    • 우리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금융위기의 씨앗과 결과를 통해서 우리의 삶, 우리 가족, 우리 공동체의 일상생활과 얼마나 밀접히 연관되어있는지 이해할 수 있다.
    • 금융위기 이후 대응방법에 따라 경제적 고통을 어떻게 완화시키는지 혹은 심화시키는지 알 수 있다.

     

    Contents goal (수업내용)

    The Political Economy of Global Financial Crises

    In this course, we will explore the causes and effects of various financial crises. We examine the impact of neo-liberalism, capital market liberalization, financial market deregulation, derivative market liberalization, and etc. Also, We will have a focus on the adequacy and feasibility of neo-liberal development paradigm, based on various case studies such as Korea, Japan, the U.S., Iceland, Brazil, and Taiwan. Finally, we will explore alternative development models.

    위기의 정치경제학 (부제: 한국을 뒤흔드는 세계 금융 이해하기)

    글로벌 정치경제는 놀랄 만큼 반복되는 경제위기를 겪고 있고, 한국도 이러한 광기와 패닉의 경제위기 속에서 직간접적으로 고통을 당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는 무시무시한 군사력과 무기 없이 상대방을 초토화 시킬 수 있는 총성 없는 전쟁입니다. 동아시아 경제위기는 우리의 삶을 송두리째 뒤흔들고 많은 한국인들이 금융위기의 피해자가 되었습니다. 계층간의 사다리가 사라졌고, 경제적 불평등은 커졌고, 일자리에 대한 불안과 비정규직이 확산되었으며 자살률과 이혼율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경제위기의 여파가 우리의 삶을 뒤흔들고 있는 와중에도 여전히 금융위기는 반복되고 있습니다. 왜 글로벌 정치경제는 반복적으로 금융위기를 경험하는 것일까요? 왜 인간은 반복적으로 위기를 경험하면서도 이를 멈추지 못하는 것일까요? 제2의 금융위기를 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어떤 패러다임을 적용해야 할까요? 또한 금융위기에 대처하는 방식은 어떻게 다르며, 위기 이후 대응방법이 고통을 어떻게 완화시키는지 심화시키는지 알 수 있습니다.

    본 강좌는 금융위기를 바라보는 원인과 결과를 다양한 사례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경제위기를 이해하기 위한 깊이 있는 성찰의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금융위기에 관한 주제들을 가능한 다양하고 흥미로운 예시와 함께 살펴보고자 합니다. 금융위기가 딱딱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주제라는 편견에서 벗어나 다양한 읽을거리와 다큐멘터리를 통하여 수강생 여러분들이 조금이라도 더 넓은 시야로 세상을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이 강좌에서는 8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신자유주의, 자본시장 자유화, 금융시장 탈규제, 파생상품시장 자유화로부터 기인하는 다양한 금융위기와 식량위기의 원인과 결과를 살펴보고, 워싱톤 컨센서스 및 신자유주의 개발패러다임의 적실성과 타당성을 한국, 일본, 미국, 아이슬란드, 브라질, 대만, 잠비아 등 다양한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대안의 발전모델에 대해 살펴볼 것입니다. 아이슬란드 금융위기와 대처법,동아시아 특히 한국의 경제위기의 원인과 대응방법, 미국의 양적 완화가 브라질 경제에 미치는 영향,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의 원인, 아베노믹스, 케인즈와 보수주의 경제위기 해법, 미국의 불평등 심화와 금융위기의 상관관계,탈규제와 전세계 농산물 가격 폭등과 같은 다양한 금융위기와 버블에 관한 이야기를 하면서 왜 우리는 반복되는 경제위기 안에서 고통을 당하고 있는 지, 그리고 그 원인은 어디에서 오는 지를 이해하고 대응방법에 대해 생각해봅니다.

    Sample lecture

    Course Info. (강의 안내)

    Schedule (강의 일정)

    - Registration Period: 2021. 8. 17.(Tue) ~ 2021. 11. 21.(Sun)
    - Classes Period: 2021. 9. 1.(Wed) ~ 2020. 12. 12.(Sun)

    Certificate (평가방법 및 이수 기준)

    Quiz(퀴즈) Final Exam(기말고사) Total(합계)
    60% 40% 100%
    ※ To pass this course, you must score 70% or above. (※ 총점 70% 이상 시 이수증 발급)

    Language (강의 언어)

    English. (Subtitle: English, Korean)
    이 강좌는 영어로 진행하는 강의이며, 영어 및 한국어 자막을 지원합니다.

    Textbook (교재 및 참고문헌)

    There are no extra materials, PDF files are provided as courses progress.
    주 교재는 없으며, 매 주차 학습자료를 제공합니다.

    Syllabus (강좌 계획)

    Syllabus
    주차주차명차시명학습활동
    1The Meltdown of Iceland
    아이슬란드의 위기
    Overview  개관Keyword
    The Story of Iceland
    아이슬란드 이야기
    Washington Consensus: Financial Liberalization
    워싱턴 합의: 자본시장 자유화
    The United States’ Financial Deregulation
    미국의 금융 탈규제
    Iceland’s Recovery from the Crisis
    금융 위기를 극복한 아이슬란드
    Quiz  학습정리 퀴즈Quiz
    2What Led to the Korean Finacial Crisis?
    한국 금융 위기의 원인
    Overview  개관Keyword
    Impacts of 1998 Financial Crisis in S. Korea
    1998 한국 금융 위기의 영향
    Behind the Korean Economic Crisis
    한국 외환 위기의 배경
    Features of Korean Economic Crisis
    한국 외환 위기의 특징
    Causes of Korean Economic Crisis
    한국 외환 위기의 원인
    Impacts of Capital Market Opening
    자본시장 개방의 영향
    Quiz  학습정리 퀴즈Quiz
    3Wrong Medicines of IMF
    아시아에 대한 IMF의 잘못된 처방
    Overview  개관Keyword
    The Wrong Medicine for Asia
    아시아 금융 위기에 대한 잘못된 처방
    Effectiveness of IMF
    IMF의 효과성 검토
    The Wrong Medicine for Korea
    한국 외환 위기에 대한 잘못된 처방
    IMF: Seeking to Open New Financial Market?
    IMF: 새로운 자본시장을 찾아서?
    Quiz  학습정리 퀴즈Quiz
    Discussion  토론Discussion
    4The Story of Brazil: Global Currency War, Carry Trade, and Its Impacts on Economic Development
    브라질 사례: 글로벌 외환전쟁, 캐리 트레이드, 그리고 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
    Overview  개관Keyword
    Post 1980 Recession
    1980 경제 위기 이후
    Brazil: New Target of Carry-trade
    브라질: 캐리 트레이드의 표적
    Swelling of Speculative B ubble
    투기성 거품형상과 팽창
    Brazil’s Capital Controls
    브라질의 자본통제
    Quiz  학습정리 퀴즈Quiz
    5Taiwan shows how to tame financial manias, panics, crashes
    대만의 금융위기 패닉과 광기관리에 대한 사례연구
    Overview  개관Keyword
    Taiwan & Korea: Financial Crisis
    대만과 한국의 경제위기
    South Korean Approach: Financial Liberalization
    한국의 자본시장 자유화 추진
    Taiwanese Approach: Financial Liberalization
    대만의 자본시장 자유화 추진
    Emphasis on Industrial Development
    대만의 산업발전 우선순위
    Quiz  학습정리 퀴즈Quiz
    6Brazil’s Creative Destruction of Washington Consensus
    브라질의 창의적인 워싱턴 합의 파괴
    Overview  개관
    The ‘B’ in the BRICs
    BRICs의 'B', 브라질
    Brazil’s New Policy Regime
    브라질의 새로운 정책레짐
    The Come-back of the State
    큰 정부의 귀환
    Lessons from Brazil
    브라질 사례의 교훈
    Quiz  학습정리 퀴즈Quiz
    7Japan’s Bubble Economy and the Lost Decade
    일본의 잃어버린 10년과 버블경제
    Overview  개관Keyword
    The Lost Decade
    잃어버린 10년
    Tragic Turning of Japan
    일본 경제의 비극적 전환
    Turning Points
    일본 경제의 변곡점
    Structural Causes of Stagnation
    장기침체의 구조적 원인
    Quiz  학습정리 퀴즈Quiz
    Discussion  토론Discussion
    8Keynes & Hayek: The clash that defined modern economics
    케인즈 & 하이에크: 현대 경제학의 담론 충돌
    Overview  개관Keyword
    Keynesian Ideas
    케인즈주의
    Hayek's Ideas
    하이예크주의
    Economist have learned from the Crisis
    경제학자들이 위기로부터 얻은 교훈
    Quiz  학습정리 퀴즈Quiz
    9Rising Inequality as a underlying cause of the financial crisis of 2007-2008 I
    불평등 심화와 금융위기
    Overview  개관Keyword
    As an underlying cause of the 2007-8 financial crisis, Rising  Inequality
    불평등의 심화: 2007-8년 금융위기의 원인
    The Debate on Causes of the Crisis
    금융위기 원인에 대한 논쟁
    4 Channels Contributed to the Crisis
    금융위기의 4가지 경로
    Between Inequality and crashes Another Causal Connection
    불평등과 위기 간 인과관계
    Quiz  학습정리 퀴즈Quiz
    10Another connection between inequality and the Unequal Democracy: Evidence from the U.S. II
    불평등과 불평등한 민주주의 사이: 미국의 사례
    Overview  개관Keyword
    Inequality and Growth
    불평등과 성장
    Inequality and Crises
    불평등과 위기
    Unequal Democracy
    불평등 민주주의
    Income and Wealth Inequality
    부와 소득의 불평등
    Quiz  학습정리 퀴즈Quiz
    11Global Food Crisis I why millions of people suffer from food deficit?
    글로벌 식량 위기: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Overview  개관Keyword
    2007-8 Global Food Crisis
    2007-8년 글로벌 식량 위기
    New Challenges in Developing Countries
    개발도상국가의 새로운 도전과제
    Causes of Global Food Crisis
    글로벌 식량 위기의 원인
    Deregulation in the US and its Impacts
    미국의 규제완화와 그 영향
    Quiz  학습정리 퀴즈Quiz
    12Global Food Crisis II Regulating unnatural coupling of food and global finance
    Overview  개관Keyword
    Regulating Coupling of Food and Global Finance: Possible Solutuions?
    식품과 세계 금융의 결합: 가능한 해결책은?
    Quiz  학습정리 퀴즈Quiz
    13The Political Geography of World Financial Reform: who wants what and why?
    Overview  개관Keyword
    How to Reform Global Financial Architecture
    글로벌금융계 개혁안
    Laisseze-faire Liberalizers
    자유방임주의자
    Financial Stabilizer
    금융 안정론자
    Final Exam 
    최종평가
    Final Exam

    강좌운영진 소개

    교수자

    조정인 교수 사진
    담당교수 : 조정인 교수(prof. Jung-In Jo)
    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서비스학부 교수
    (Sookmyung Women's Univ. School of Global Service)
    Michigan State University 대학원 국제관계학 박사
    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거버넌스연구소 국제평화협력센터 센터장

    강좌지원팀

    분야 사회 (사회과학)

    난이도 전공기초

    운영기관 숙명여자대학교

    이수증 미발급

    주차 13 주

    학습인정시간 16시간 50분 (17시간 30분)

    수강신청기간 21.08.17 ~ 21.11.22

    강좌운영기간 21.09.01 ~ 21.12.12

    전화번호 02-2077-7846

    자막언어 -

    강좌언어 영어(en)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