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좌 소개

    수업내용/목표

    평형상태의 힘이 고체(변형이 가능한 재료)에 가해졌을 때, 그 재료의 변형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인 고체역학의 3가지 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① 힘 : 물체 외부에 가해지는 외력과 물체 내부에 존재하는 내력으로 분류한다. 일반적으로 힘은 직진력(force)과 회전력(moment)을 포함한다. 고체역학에서는 물체에 가해지는 힘이 평형상태에 있기 위한 조건을 유도한다.
    ② 고체(재료) : 재료의 물성치에 대한 정의를 유도한다. 물성치는 내력과 변형률의 관계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③ 변형 : 물체 내부에 존재하는 내력에 의하여 물체가 변형하며 그 변형은 변형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고체역학에서는 변형(률)에 대한 정의를 유도한다.

    예시 영상(1주차 1차시)

    강좌 운영 계획

    주차별 학습 내용

    주차

    주차명

    차시

    차시명

    학습요소

    담당교수

    1

    Basics of

    mechanics

    1-1

    Overall Structure of Mechanics 1

    강의영상

    퀴즈

    박성진

    1-2

    Overall Structure of Mechanics 2

    강의영상

    퀴즈

    1-3

    Notation for Physical Quantities

    강의영상

    퀴즈

    1-4

    Thermodynamics 1

    강의영상

    퀴즈

    1-5

    Thermodynamics 2

    강의영상

    퀴즈, 에세이

    2

    Statics1

    2-1

    Introduction

    강의영상

    퀴즈

    박성진

    2-2

    Statics of Particles

    강의영상

    퀴즈

    2-3

    Statics of Rigid Bodies 1

    강의영상

    퀴즈

    2-4

    Statics of Rigid Bodies 2

    강의영상

    퀴즈

    3

    Statics2

    3-1

    Centroids and Moments of Inertia for Distribution Forces 1

    강의영상

    퀴즈

    박성진

    3-2

    Centroids and Moments of Inertia for Distribution Forces 2

    강의영상

    퀴즈

    3-3

    Analysis of Structures 1

    강의영상

    퀴즈

    3-4

    Analysis of Structures 2

    강의영상

    퀴즈

    4

    Statics3

    4-1

    Friction 1

    강의영상

    퀴즈

    박성진

    4-2

    Friction 2

    강의영상

    퀴즈

    4-3

    Energy Method 1

    강의영상

    퀴즈

    4-4

    Energy Method 2

    강의영상

    퀴즈

    5

    Structures and Mechanics

    5-1

    Short Introduction to Mechanics

    강의영상

    퀴즈

    강건욱

    5-2

    Force and Moment

    강의영상

    퀴즈

    5-3

    Force-Couple System

    강의영상

    퀴즈

    6

    Equilibrium, Stress and Strain

    6-1

    Equilibrium, Stress and Structures

    강의영상

    퀴즈

    강건욱

    6-2

    Stress

    강의영상

    퀴즈

    6-3

    Strain

    강의영상

    퀴즈

    7

    Mechanical Properties and Behaviors

    7-1

    Mechanical Properties of Materials

    강의영상

    퀴즈

    강건욱

    7-2

    Mechanical Behavior of Materials

    강의영상

    퀴즈

    7-3

    Mechanical Behavior of Materials

    강의영상

    퀴즈

    8

    External Load

    8-1

    Axial Load

    강의영상

    -

    강건욱

    8-2

    Axial Load II

    강의영상

    퀴즈

    8-3

    Torsion

    강의영상

    퀴즈

    8-4

    Torsion II

    강의영상

    퀴즈

    중간고사

    9

    External Load

    9-1

    Bending

    강의영상

    퀴즈

    강건욱

     

    9-2

    Bending II

    강의영상

    퀴즈

    9-3

    Bending III

    강의영상

    퀴즈

    9-4

    Shear

    강의영상

    퀴즈

    9-5

    Shear II

    강의영상

    퀴즈

    10

    Stress Transformation

    10-1

    응력변환식

    강의영상

    퀴즈

    강건욱

    10-2

    Principal stress

    강의영상

    퀴즈

    10-3

    Mohr’s circle

    강의영상

    퀴즈

    10-4

    변형변환식

    강의영상

    퀴즈

    10-5

    주변형

    강의영상

    퀴즈

    Material Behavior

    10-6

    Stress-strain relationship

    강의영상

    퀴즈

    10-7

    Failure Theory

    강의영상

    퀴즈

    강건욱

    11

    Machine

    Elements1

    11-1

    Introduction

    강의영상

    퀴즈

    박성진

    11-2

    Design of Shaft

    강의영상

    퀴즈

    11-3

    Design of Nonpermanent Joint: Screw

    강의영상

    퀴즈

    12

    Machine

    Elements2

    12-1

    Design of Permanent Joints:

    Welding

    강의영상

    퀴즈

    박성진

    12-2

    Design of Mechanical Springs

    강의영상

    퀴즈

    13

    Machine

    Elements3

    13-1

    Design of Bearing 1

    강의영상

    퀴즈

    박성진

    13-2

    Design of Bearing 2

    강의영상

    퀴즈

    14

    Machine

    Elements4

    14-1

    Design of Gear 1

    강의영상

    퀴즈

    박성진

    14-2

    Design of Gear 2

    강의영상

    퀴즈

    박성진

    15

    Machine

    Elements5

    15-1

    Design of Clutches and Brakes

    강의영상

    퀴즈

    15-2

    Design of Flywheels

    강의영상

    퀴즈

    15-3

    Design of Flexible Mechanical Elements

    강의영상

    퀴즈

    16

    기말고사

    과제


    주차별 학습 목표

    주차별 학습 목표

    주차

    학습목표

    1

    기계공학의 가장 기본적인 12개의 공식과 미지수에 대해서 이해하고,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고체, , ·유체역학이 결국 하나의 기계공학 시스템 내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이해하고, 이러한 개념들을 기반으로 기계공학 전반에 대해 거시적인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2

    여러 가지 물체를 절점 하나로 단순화하여, 그 절점에 대한 힘과 모멘트의 작용 그리고 작용한 모멘트를 분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물체를 절점이 아닌 강체 자체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힘을 분석할 수 있다.

    3

    강체에 집중하중이 가해졌을 때와 분포하중이 가해졌을 때, 이를 구별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다. 물체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 이를 효과적으로 분해하고 해석할 수 있다.

    4

    중요한 외력 중 하나인 마찰의 개념과 종류 그리고 각 마찰을 해석할 수 있다. 단순한 평면에서부터 경사로까지 다양한 마찰의 상황을 직접 확인하고, 알맞은 공식을 적용하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5

    1

    역학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역학의 발전에 공헌한 역사적인 인물들에 대한 소개를 통하여 역학이란 학문적 분야에 대해 친숙해진다.

    2

    역학에서 힘을 어떻게 정의하는지 이해하고, 힘을 특징짓는 요소와 힘을 어떻게 표현하는지를 배운다.

    3

    모멘트(moment)와 커플(couple)의 차이를 이해하고, 강체에 가해진 외력을 임의의 힘-커플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다.

    6

    1

    정적 평형을 이해하고, 정적 평형식을 이용하여 구조물에 대한 힘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2

    응력(stress)의 정의 및 성분(component)을 이해하고, 평형식에 따라 독립적인 성분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다.

    3

    변형율(strain)의 정의 및 성분에 대해 배우고, 수직 성분(normal component)와 전단 성분 (shear component)이 각각 재료의 부피 변화와 형상 변화에 기인함을 이해한다.

    7

    1

    재료의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시험 중 하나인 단축인장 실험을 파악하고,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응력-변형율 곡선으로부터 재료의 기본적인 기계적 거동을 파악할 수 있다.

    2

    연성재료(ductile material)에서 항복점 이후 나타나는 소성 변형의 기작을 원자 수준에서 파악하고, 탄성변형과 달리 비가역적인 거동이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3

    재료의 변형시 내부에 축적되는 변형 에너지(strain energy)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로부터 취성/전성 재료의 차이점을 재료의 인성(toughness)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8

    1

    보가 축하중(axial loading)을 받을 시 발생하는 수직응력과 수직변형율을 기술할 수 있고, 보의 탄성 변위(elastic displacement)를 보의 단면적과 탄성물성, 외부 하중으로 나타낼 수 있다.

    2

    축하중을 받는 보의 부정정 문제를 적합 조건을 활용하여 풀 수 있다. 열응력과 잔류 응력의 개념을 이해하고 관련 공학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3

    보가 비틀림하중(torsion)을 받을 시 보의 단면에 발생하는 전단 응력과 전단 변형율을 기술할 수 있다.

    4

    비틀림하중(torsion)을 받는 보가 탄성 변형시 발생하는 비틀릭 각도 (angle of twist)를 극관성모멘트(polar moment of inertia), 전단계수, 외부 토크(torque)로 나타낼 수 있다.

    9

    1

    보가 굽힘하중(bending)을 받을 시 보의 단면에 발생하는 수직응력과 수직변형율을 기술할 수 있다.

    2

    transformed section method를 적용하여 복합재 보의 굽힘하중 문제를 풀수 있다. 곡선보(curved beam)가 굽힘하중을 받을 때, 단면에 발생하는 응력의 분포를 나타낼 수 있다.

    3

    비탄성 굽힘 하중을 받는 보의 내부에 발생하는 잔류응력을 구할 수 있다.

    4

    전단하중을 받는 보의 단면에 발생하는 전단응력을 기술할 수 있다.

    5

    전단하중을 받는 보의 단면에 발생하는 전단유동(shear flow)을 구할 수 있다.

    10

    1

    평면응력 상태를 이해하고, 응력변환식을 활용하여 동일한 응력 상태를 임의의 좌표계에서 표현할 수 있다.

    2

    주응력/최대 전단 응력의 개념을 이해하고 응력변환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3

    모어 원 (Mohr's circle)을 이용하여 응력변환을 수행할 수 있고, 모어 원 상에서 주응력과 최대 전단 응력을 찾을 수 있다.

    4

    평면변형율 상태를 이해하고, 변형율 변환식을 활용하여 동일한 변형률 상태를 임의의 좌표계에서 표현할 수 있다.

    5

    모어 원 (Mohr's circle)을 이용하여 변형율 변환을 수행할 수 있고, 모어 원 상에서 주변형율과 최대 전단 변형율을 찾을 수 있다.

    6

    일반화된 훅의 법칙을 배우고, 선형 탄성 거동하는 등방성 재료의 경우 탄성 물성 계수간에 관계식이 존재하며 독립적인 물성 계수의 수는 2개임을 이해한다.

    7

    취성/전성 재료 거동 특성에 맞추어 적절한 파손 이론을 적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재료의 파손을 예측할 수 있다.

    11

    기계요소를 설계할 때 주의할 점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1주차와 5주차에서처럼 기계요소설계라는 학문이 세워지기 위해서 필요한 여러 가지 가정과 가설을 설명할 수 있다. 여러 가지 부품을 설계할 때 설계의 큰 틀에 대해서 확인할 점을 파악하여, 설계할 수 있다.

    12

    여러 가지 기계부품을 연결해주는 결합부 중 비영구 결합인 Screw의 개념과 원리, 그리고 그 안에 사용되는 수식을 이해하고,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번 주차를 통해서 Screw가 언제 필요한지와 어떤 Screw를 써야 좋은 설계인지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13

    베어링의 개념과 베어링이 사용될 때 주의해야 할 힘과 변형에 대해서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여러 가지 베어링의 종류에 대해서 이해하여, 실제 베어링을 설계할 때 주의할 점들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14

    주요 기계부품 중 하나인 기어에 대해서 이해하고, 기어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와 주로 사용되는 기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기어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하는 기어의 크기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기어를 분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공식을 이해하고,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기어가 생기게 된 배경과 여러 가지 종류의 기어가 어느 곳에 사용되는지 이해하고, 설계할 때 주의해야 할 부분을 설명할 수 있다. 각 기계장치에 사용되는 기어와 선정 방법에 대해서 이해하고, 특성에 따라 적절한 활용법을 설명할 수 있다.

    15

    자동차, 컨베이어벨트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클러치, 브레이크, 플라이휠의 다양한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고 기계부품을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실제 부품을 설계할 때 위의 부품을 어떻게 선정해야 하는지 설명할 수 있다.

    강좌운영팀 소개

    교수자

    박성진 교수 사진
    박성진 교수

    □ 인적사항

    ○ 성 명 : 박성진 ○ 소 속 : 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 E-mail : sjpark87@postech.ac.kr

    □ 학력

    ○ 1987~1991 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학사 ○ 1991~1993 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석사 ○ 1993~1996 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박사

    □ 경력

    ○ 1996~2000 - LG전자 생산기술원 선임연구원 ○ 2001~2009 - (주)쎄타텍 CTO ○ 2001~2005 -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 연구원 ○ 2005~2009 - 미국 미시시피주립대학교 연구교수 ○ 2009~현재 - 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 주요업적 및 수상경력

    ○ 논문 165, 학회발표 376, 저서 13, 특허 7 ○ 젊은 남고석좌교수 (2011~2014) ○ 국제분말야금학회 최고논문상 (2007-2008)

    □ 연구분야

    ○ 분말공정, 컴퓨터모사, 인공지능 ○ 산학협력, 창업생태계 (산학처장, 포스텍기술지주회사 대표이사)
    강건욱 교수 사진
    강건욱 교수

    □ 인적사항

    ○ 성 명 : 강건욱 ○ 소 속 :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 E-mail : kwkang75@yonsei.ac.kr

    □ 학력

    ○ 1994~2001 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학사 ○ 2002~2004 스탠포드대학교(Stanford University) 기계공학과 석사 ○ 2004~2011 스탠포드대학교(Stanford University) 기계공학과 박사

    □ 경력

    ○ 2011~2013 - 미 로스 알라모스 국립연구소 (Los Alamos National Lab.) 박사후 연구원 ○ 2013~현재 -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 주요업적 및 수상경력

    ○ 논문 30여 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미래기술상 (2017) ○ Asia-Pacific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Mechanics Young Investigators Award (2016) ○ 대한기계학회 CAE 및 응용역학 부문 젊은 연구자상 (2015) ○ 연세대학교 우수강의 교수상 (2014)

    □ 연구분야

    ○ 분자동역학, 소성거동, 전산재료 ○ 극한환경 재료거동

    강좌지원팀

    POSTECH 교육혁신센터

    □ 인적사항

    ○ E-mail : e-studio@postech.ac.kr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 정보

    이수/평가 정보
    과제명 퀴즈 중간고사 기말고사
    반영비율 40% 30% 30%

    ※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학부생

    교재 및 참고문헌

    - Vector mechanics for engineers statics 11th edition beer
    -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ition
    - Shigley's Mechanical Engineering Design 10th edition74

    자주 묻는 질문

    고체역학이란 무엇인가요?

    고체역학은 유체역학과 달리 고체에 작용하는 응력과 그에 따른 변형에 관여하는 물리적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고체역학수업을 들으면 어떤 일을 할 수 있나요?

    고체역학은 기계공학에서 가장 중요한 분석대상 중 하나인 힘과 재료에 대해서 분석하기 때문에 변형되는 재료를 분석할 수 있게 됩니다.

    미리보기

    분야 공학 (기계 · 금속)

    난이도 전공기초

    운영기관 포항공과대학교

    이수증 미발급

    주차 15 주

    학습인정시간 45시간 00분 (14시간 05분)

    수강신청기간 21.05.03 ~ 21.08.31

    강좌운영기간 21.05.03 ~ 21.08.31

    전화번호 054-279-8107

    자막언어 한국어 외 1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