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좌 소개

    수업내용/목표

    본 강좌는 세계 경제 속의 중국의 위상을 역사적인 맥락에서 해석하고, 유럽 중심주의적 역사 해석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역사적 관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설되었다. 무엇보다 유럽에서 국가 주도의 해양 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던 시기, 중국에서 남북을 관통하는 1,800여 킬로미터에 달하는 장거리 대운하 유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에 주목하여, 1415년에서 1784년까지의 380년을 ‘대운하시대’(the Age of the Grand Canal)‘로 규정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시기에 대운하를 둘러싸고 발생했던 다양한 사건을 크게 10개의 시기와 10명의 인물, 그리고 10개의 관점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지역적으로 중국의 정치사 및 경제사가 핵심이지만, 지구적(global) 차원에서 진행된 대항해시대와의 비교를 위해, 필요에 따라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와 서구와의 비교가 이루어질 것이다.

    강의 미리보기

    강좌 계획

    강의계획표
    주차 주제 강의명
    1주차 중국의 ‘해양력(sea power)'과 '대운하시대’ 1. 정화 이야기
    2. 콜럼버스와의 비교
    3. 중국이라는 공간과 역사적 시간
    4. 15-18세기 바다에 대한 중국의 태도와 관점개을 어떻게 볼 것인가? ‘대운하시대’ 담론 소
    2주차 중국사에서 수도 변천과 대운하의 상관관계 1. 중국 대운하의 특징과 기원
    2. 수양제 및 당대의 대운하
    3. 송의 수도 개봉과 대운하
    4. 쿠빌라이의 중국 지배와 대도, 그리고 대운하
    3주차 1415년 : 북경 천도를 준비하며 대운하를 재건한 영락제(永樂帝)의 관점에서 1. 1415년에 있었던 두 가지 사건 : 대운하 재건 & 해운 금지
    2. 왜 영락제는 대운하를 재건했는가?
    3. 왜 영락제는 해운을 금지했는가?
    4. 영락제가 후대에 남긴 유산
    4주차 1449년 : 황제가 몽골에게 사로잡힌 위기를 구한 관리 우겸(于謙)의 관점에서 1. 1449년 발생한 전대미문의 사건, 토목보(土木堡)의 변
    2. 군주를 보호할 것인가? 사직(社稷)을 지킬 것인가?
    3. 북경 수호인가? 남경 환도인가?
    4. “토목지변”의 역사적 의미 : 수도는 북경으로 남았으나…
    5주차 1492년 : 염운법의 변화로 기회를 획득한 휘주(徽州) 상인의 관점에서 1. 1492년 염운법의 극적인 변화
    2. 개중법(開中法)과 ‘선발주자’ 산서상인
    3. 운사납은제(運司納銀制)와 ‘후발주자’ 휘주 상인
    4. 휘주 상인의 성공 요인과 대운하
    6주차 1573년 : 바다로 조운을 시도했던 조운총독(漕運總督) 왕종목의 관점에서 1. 1573년, 조량(漕糧) 해운의 ‘요절’
    2. 해운파와 하운파의 정치적 대립, 내각과 환관.
    3. 1573년 해도 조운 요절의 배경(Context)과 의미
    4. “왜 중국은 편리한 해운을 이용하지 않고 대운하에 집착하는가?”
    7주차 1600년 : 중국을 방문한 예수회 선교사 마테오 리치의 관점에서 1. 예수회를 통한 동서 문화 교류
    2. 마테오 리치의 중국 방문과 경로, 그리고 문화 교류
    3. 마테오 리치가 경험한 대운하와 “리마두난제(利瑪竇難題)”
    4. 바다공포증(thalassophobia)의 실상

    강좌운영진 소개

    담당 교수

    조영헌 교수 사진
    조영헌 chokra@korea.ac.kr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박사 중국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방문학자 (2003-2004) 미국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 Visiting Fellow (2004-2006)

      TA/운영진  

    강원묵조교님
    강원묵
    영국 런던대 동양 아프리카 학원 박사 수료
    E-mail: kwmook@gmail.com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정보

    총 7주차의 학습활동에 대해 전반적으로 평가한 후, 정해진 성적 규정을 통과한 학습자에 한해 이수증을 발급합니다. 퀴즈(100%)의 비중으로 성적에 반영됩니다. 전체 학습활동을 평가한 결과, 60% 이상의 학습 성과를 획득한 학습자에게 이수증을 발급할 예정입니다.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대운하를 통해 본 중국의 정치경제사Ⅱ'를 듣기 전에 이 강좌를 학습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교재 및 참고문헌

    조영헌, 『대운하 시대 1415-1784, 중국은 왜 해양 진출을 ‘주저’했는가?』, 민음사, 2021 조영헌, 『대운하와 중국 상인: 회양지역 휘주상인 성장사, 1415-1784』, 민음사, 2013
    미리보기

    분야 인문 (인문과학)

    난이도 -

    운영기관 고려대학교

    이수증 미발급

    주차 7 주

    학습인정시간 21시간 14분 (10시간 25분)

    수강신청기간 22.03.07 ~ 22.05.01

    강좌운영기간 22.03.07 ~ 22.05.08

    전화번호 02-3290-1581

    자막언어 -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