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좌소개 한의학은 중국의 중의학, 일본의 감포의학, 베트남의 한남의학과 함께 동아시아전통의학을 이루는 중요한 축이다. 한반도에서 중국과 일본의 전통의학과 꾸준히 교류하고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현재에도 유용성있는 전통의학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본 강좌는 한의학의 형성과 과정, 그리고 한의학의 중요한 텍스트인 동의보감의 내용과 함께 한의학의 기본이론과 역사, 그리고 현재의 한의학의 여러 가지 모습들에 대한 모습들에 대한 내용을 압축적으로 강의한다.
    임상의학의 대표적인 사례로 침구학과 한방부인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한의학의 모습들에 대한 내용을 알기쉽게 강의하여 한의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아울러 한의학과 관련한 미래인력을 양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침구학은 한의학의 대표적인 치료법중 하나인 침구 시술의 기본이론 및 실기에 대한 학문이다. 본 강의에서는 전통 침구학의 기본 이론을 소개하고, 현대의 침구학, 생활속의 침구학에 대해 함께 이야기 나누고자 한다.
    여성은 생리 병리적으로 남성과 다른 특별함이 있다. 그리고, 민족과 문화, 생활습관에 따라 다른 건강 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한의학에서는 우리나라 여성의 건강에 대한 전통적인 건강비법을 유지하며, 새롭게 밝혀지며 현대 사회 속에서 여성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내용을 소개하며, 여성 자신 뿐 아니라 가족 구성원에게 여성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전통과 최신 지견의 융합 강의이다.수업목표

    - 전통 침구학의 이론의 소개
    - 현대의 침구학, 생활속에서 응용할 수 있는 침구학에 대한 이해
    - 여성의 생리적 특성에 대한 동서양의 관점 이해
    - 여성 일생 주기 별 건강 문제에 대한 한의학과 서양의학의 융합적 이해

    강의일정강의일정 보기 (Click)
    한의학이야기_강의일정
    모듈 학습일자 주차명 차시명
    MODULE 1
    한의학의 역사와 문화
    (김남일 교수)
    09/02  1. 한의학의 어제와 오늘  모듈소개
     한의학의 형성과정
     한의학의 주요인물과 사건
     한의학의 현재모습과 역할
     2. 문화콘텐츠로서의 한의학  의료문화로서의 한의학의 역할  한의학의 방송문화콘텐츠 발굴사례  바람직한 한의학의 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 09/16  3. 동의보감이야기  동의보감의 저자와 역사적 의의  동의보감의 내용  동의보감의 건강법  현장탐방 : 한의학역사박물관을 가다  참여과제(토론주제)&성찰일지 MODULE 2
    한의학의 내용과 가치
    (차웅석 교수) 09/23  4. 한의학의 기본이론과 개념  모듈소개  한의학 이론의 형성과정  한의학 이해를 위한 기본개념  한의학 개념의 현대적 이해 09/30  5. 전통의학과 근대의학  세계의 전통의학의 종류와 역사  근대의학의 시작  전통의학의 부흥 10/07  6. 한의학의 현재 의미  구미권에서의 동아시아의학  우리문화속의 한의학  한의학의 미래적 가치  현장 탐방 : 청강한의학역사문화연구센터에 가다  참여과제(토론주제)& 성찰일지 MODULE 3
    침구학의 이해
    (이상훈 교수) 10/14  7. 침구학의 개요  모듈소개  침의 기원과 발전  경락과 경혈의 이해  침과 뜸요법 10/21  8. 다양한 침구의 활용  다양한 침구요법  증상별 주요 경혈  침구치료의 이해 10/28  9. 다양한 침구치료의 이용과 실제  미용침  침의 현대적 연구  세계속의 한의학  침구학 이야기 - 인터뷰(예정)  참여과제(토론주제)& 성찰일지 MODULE 4
    여성 건강의
    동서의학의 융합적 이해
    (황덕상 교수) 11/04  10. 여성에 대한 한의학 이론 이해  모듈소개  남성과 다른 여성의 몸(한의학 차이의 건강법)  여성 자궁에 대한 이해(여성 몸과 한의학)  여성 건강의 비밀은 조경(여성 생리와 한의학) 11/11  11. 여성의 30대까지 건강 이해  한방여성의학의 특성  장부이론과 담음, 어혈의 이해  월경병과 한의학 11/18  12. 여성의 중년 이후 건강 이해  임신부터 출산까지 한방여성의학  폐경기 여성건강과 한의학  폐경 이후 여성건강과 한의학  여성학 이야기 - 인터뷰(예정)  참여과제(토론주제)& 성찰일지 최종평가 11/25 기말고사 교재및참고문헌
    한의학이야기_주교재
    주교재_한의학통사 주교재_침구의학 주교재_한방여성의학
    [주교재]
    『한의학통사』

    (맹웅재 등, 대성의학사, 2006)
    [주교재]
    『침구의학』

    (대한침구의학회 교재편찬위원회,
    한미의학사, 2016)
    [주교재]
    『한방여성의학』

    (대한한방부인과학회 교재편찬위원회,
    의성당, 2016)
    이수기준

    이수증
    이수 기준(60%)을 통과하면 이수증이 발급됩니다.
    ※ 이수증은 종강 후 2주 이내에 발급됩니다.
    학점인정을 위해 수강하는 경우 종강일을 반드시 확인하고 수강신청하시기 바랍니다.

    한의학이야기_이수기준
    자기소개(1) 주차별 퀴즈(12) 참여과제(4) 성찰일지(4) 기말고사(1) 총합
    5% 25% 20% 20% 30% 100%
    참여교수
    차웅석교수
    차웅석교수

     차웅석 대표교수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교수
        경희대학교 청강한의학역사문화연구센터 센터장
        한국의사학회 총무이사
        저서 : 『강좌중국의학사』, 『한의학 서양의학을 만나다』외 다수
    모듈별교수
    김남일교수 이상훈교수 황덕상교수
    문의사항
    한의학이야기_문의사항
    교과목TA   교과목 관련 문의사항
      경희 K-MOOC 강좌운영팀

      경희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GSN
      kmooc@khu.ac.kr
    시스템TA   시스템 관련 문의사항
      경희 K-MOOC 강좌운영팀

      경희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GSN
      kmooc@khu.ac.kr

    우수사례영상

    분야 의약 (의료)

    난이도 -

    운영기관 경희대학교

    이수증 미발급

    주차 13 주

    학습인정시간 13시간 00분 (09시간 39분)

    수강신청기간 19.08.05 ~ 19.11.16

    강좌운영기간 19.09.02 ~ 19.11.29

    전화번호 031-201-3951

    자막언어 -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