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좌 소개

    수업내용/목표

    ㆍ국민적 합의를 담보할 수 있고 대북ㆍ통일정책에 대한자신감과 확신을 위해 평화ㆍ통일 정책의 기본적 원칙 학습, 남북교류협력에 대한 이해 및 사회과학적 사고 함양.
    ㆍ북한 및 통일정책의 변화와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한 학습과 미래지향적 통일관, 융합적 안보관, 균형있는 올바른 북한관을갖도록 평화ㆍ통일 교육을 실시.
    ㆍ북한의 정치 및 경제체제, 사회문화 등에 대한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이해.

    홍보/예시 영상

    강좌 운영 계획

    주차

    주차명

    (주제)

    주차별 학습 목표

    차시

    차시명

    강좌운영방법

    학습내용

    수업방법

    평가방법

    학습자료

    1

    북한 최고지도자의 국가목표와 실체

    김일성 주석의 당국가체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개혁개방,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정상국가 이해를 통해 북한 최고지도자의 국가목표와 실체를파악함

    1-1

    김일성 주석의 당국가체제론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1-2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개혁개방론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1-3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정상국가론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2

    남북스포츠 외교-민간단체(지자체) 역할

    남북한 교류협력에 있어 남북축구교류 역사 이야기 등 실질적 사례를 통해 남북 교류-민간(지자체) 스포츠 교류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

    2-1

    민간(지자체) 남북스포츠교류 최근 사례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2-2

    남북축구 역사 이야기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2-3

    성공적인 2024 강원 동계 청소년올림픽 남북공동개최는?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3

    북한 독재체제의 구조적 특징에 대한 이해

    북한의 정치체제, 경제체제,대남정책의 특징을 통해 북한 독재체제의 구조적 특징을 파악하고 이해

    3-1

    북한 정치체제의 특성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3-2

    북한 경제체제의 특성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3-3

    북한 대남정책의 특성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4

    북한의 사법ㆍ검찰ㆍ보위ㆍ안전사업 알아보기

    북한의 사법ㆍ검찰제도, 국가보위성 사업, 사회안전성 알아보기를 통해 북한의 사법ㆍ검찰ㆍ보위ㆍ안전사업에 대한 종합적이해

    4-1

    북한의 사법ㆍ검찰제도 알아보기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4-2

    북한의 국가보위성 사업 알아보기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4-3

    북한의 사회안전성 알아보기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5

    과학기술로 이루는 남북교류협력

    북한의 과학기술중시정책, 남북과학기술교류협력 사례 등의 학습을 통해과학기술 기반 남북교류협력 방안에 대한 이해

    5-1

    남북교류협력에 대한 이해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5-2

    김정은 시대 북한의 과학기술중시정책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5-3

    남북과학기술교류협력 방안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6

    북한의 SDG 이해와 지속가능발전 목표

    북한의 SDG(SUSTAINABLE DEVELOPMENT GOALS)-4이행체제와 이행 성과 등에 대한 학습을 통해
    한반도 통합 지속가능발전 방안에 대한 이해

    6-1

    북한의 NDGSDG-4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6-2

    북한의 SDG-4 이행체제와
    이행 성과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6-3

    한반도 통합 지속가능발전 목표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7

    북한의 새 국가전략 인민대중제일주의 이해

    북한의 국가전략 변화과정과
    인민대중제일주의의추진방향 등을
    통해 북한의 새 국가전략을 이해

    7-1

    북한의 국가전략 변화과정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7-2

    ‘인민대중제일주의’의 역사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7-3

    ‘인민대중제일주의’의 추진방향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8

    Two Korea

    북한과 남한의 탄생 배경과 과정,
    남북한의 체제와 민족 등에대한
    학습을 통해 남북한의 바람직한
    통일 방안에 대해 이해

    8-1

    북한국(北韓國) 어떻게탄생했나?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8-2

    남조선(南朝鮮) 어떻게탄생했나?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8-3

    체제와 민족, 어떤 통일을 해야 하나?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9

    북한과 로마제국의 정치체제 비교

    북한과 로마 정치체제 특징, 김씨 왕조와 로마 왕정차이점인민 민주주의 공화국과 로마 공화정 비교 등을 통해 북한과로마제국의 정치체제 비교 이해

    9-1

    북한과 로마 정치체제 특징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9-2

    김씨 왕조와 로마 왕정 차이점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9-3

    인민 민주주의 공화국과 로마 공화정 비교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10

    북 비핵화 교착상태에서 통일 여건 조성 방안

    남북관계의 특수성과 역대 정권의 통일 관련 정책 비교, 북한의 핵ㆍ미사일정책 등에 대한 학습을 통해 북한의 비핵화
    교착상태에서의 통일 여건 조성 방안 이해

    10-1

    남북관계의 특수성과 역대 정권의 통일 관련 정책 비교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10-2

    북한은 핵ㆍ미사일을 포기할 것인가?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10-3

    북한의 비핵화 교착상태에서 통일 여건 조성 방안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11

    북한 음식문화 기행

    북한의 대표적인 술, 국수,김치의 제조와 종류, 관련된 문화 등 북한의 음식문화이해

    11-1

    북한의 술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11-2

    북한의 국수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11-3

    북한의 김치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12

    한반도 평화체제의 길

    한반도 분단의 원인 및 현실, 역대 남·북관계와 북·미관계 등에 대한 학습을 통해한반도가 평화체제로 가야 하는 이유와 방법에 대한 이해

    12-1

    통일은 해방이다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12-2

    남·북·미 관계사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12-3

    한반도 평화체제가 희망이다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13

    농업으로 본 북한 개혁

    북한의 농업 문제와 식량 문제 그리고 체제전환국 사례와 북한 농업 개혁 방향 등에 대한 학습을 통해 북한 개혁 방안에대한 이해

    13-1

    북한과 농업 문제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13-2

    북한과 식량 문제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13-3

    체제전환국 사례와 북한 농업 개혁 방향

    강좌영상

    (15×1)

    퀴즈(1)

    토론(1)

     

     

     

    강좌운영팀 소개

    교수자

    박상철 professor
    박상철 교수
    현)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교수
    현) 정치전문대학원 북한학과 주임교수
    전) 경기대학교 부총장
    E-mail: palma21@hanmail.net

    박상철 교수 외 강의 참여 교수자:
    김경성 이사장 / 차성근 교수/ 이정호 박사
    김수연 박사/ 이성희 박사/ 오형식 박사
    차동길 교수/ 이호곤 교수/ 문근식 교수
    위영금 박사/ 강동완 박사/ 권남회 박사

    강좌지원팀

    강좌운영담당자
    강좌운영담당자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통일교육선도대학 민원 접수창구
    E-mail : poli@kgu.ac.kr
    전화 : 02-390-5278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정보

    이수/평가정보
    과제명퀴즈토론중간고사기말고사
    반영비율40%60%0%0%

    ※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퀴즈 평가 방법

    퀴즈는 맞는 정답 제출 시 점수를 얻을 수 있으며, 정답 제출 기회는 문제 당 1번(보기 문항 4개 미만시)~2번(보기 문항 4개 이상 시)입니다. 

     

    - 토론 평가 방법

    토론 평가는 참여 여부로 이뤄지며 토론 방식, 분량, 내용에 대한 제한은 없습니다.

    토론 게시판에 글을 남긴 후 참여했다는 답변을 제출하면 해당 토론에 배정된 점수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반드시토론 게시판에 글을 남긴 후 토론에 참여했다는 답변을 제출해주시기 바랍니다.)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이 강좌는 유익한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교재 및 참고문헌

    자주 묻는 질문

    제목

    소제목

    내용

     

    미리보기

    분야 사회 (사회과학)

    난이도 교양

    운영기관 경기대학교

    이수증 미발급

    주차 13 주

    학습인정시간 16시간 00분 (09시간 31분)

    수강신청기간 23.08.01 ~ 23.08.31

    강좌운영기간 23.09.01 ~ 23.10.30

    전화번호 031-249-8737

    자막언어 -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