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강의실

최근 수강강좌 목록

현재 진행중인 강좌(청강제외)만 출력됩니다.

최근접속순 최대 10개 강좌만 표시됩니다.

K-MOOC
K-MOOC 학점은행제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한국어
  • 한국어
  • ENGLISH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 수업내용/목표 (Course Content/Objectives)


    불교는 한국의 전통 문화유산일 뿐만 아니라 현대 한국 사회의 살아있는 문화 현상이다. 본 강좌는 한국 현대 불교의 중요한 문화적 체험인 템플스테이 현장을 직접 찾아가 살펴보는 특집강의로서, 오늘날의 한국 사회에서 불교문화가 경험되고 체험되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is lecture explores the cultural experience of modern Korean Buddhism through field recordings at a Temple Stay program, aiming to examine how Buddhist culture is experienced and practiced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 강의 가이드 및 Q&A 관련 안내 (Lecture Guide and Q&A Information)


    연구소 홈페이지 (Website) : www.ackr.org
    - 연구소 주요 정보 소개 (Introduction to the information of the research institute)
    - 각종 프로젝트 정보 공유 (Sharing various project information)

    학습지원시스템 및 챗봇 (LMS & Chatbot) : www.ackron.ac.kr
    - 연구소 자체 LMS 기반의 동영상 강의 가이드 제공 (Providing video lecture guides based on the institute's own LMS)
    - 연구소 및 강좌 관련 FAQ 제공 (Provides FAQs related to research institutes and courses)
    - 대화형 챗봇을 통해 연구소 및 강의 내용 관련 질의응답 대응 (Respond to questions about the lab and lecture content through a conversational chatbot)


    ♣ 강좌 운영 계획 (Course Operation Plan)

    주차(Week)

    주차명(Topic)

    주차별 학습 목표(Learning Objectives by Week)

    1

    템플스테이 개관 (Temple Stay Overview)

    템플스테이 프로그램 및 운영 현황 전반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Temple Stay program and operation status)

    2

    금선사 템플스테이 (The Temple Stay of Geumseonsa Temple)

    금선사 템플스테이 참가자들과 동행하며 템플스테이 운영의 실제를 살펴봅니다. (Let's take a look at the reality of temple stay operation by accompanying participants of Temple Stay of Geumseonsa Temple.)

    3

    금선사 템플스테이: 사찰안내 (The Temple Stay of Geumseonsa Temple : Temple Guide)

    금선사 템플스테이 참가자들이 사찰의 전각과 상징물에 대해 설명을 듣는 과정을 따라가 봅니다. (Let's follow the the process of Temple Stay of Geumseonsa Temple participants receiving explanations about the temple's buildings and symbols.)

    4

    템플스테이: 사찰의 생활문화 (Temple Stay : The daily life culture of the temple)

    템플스테이 참가자들이 체험하는 사찰의 생활문화를 살펴봅니다. (Let's look at the daily life culture of the temple of the temple experienced by temple stay participants.)

    5

    체험 프로그램의 유형: 수행 집중 프로그램 (Types of Experience Programs: Practice-intensive Program)

    템플스테이 프로그램 중 수행 집중 콘텐츠의 내용과 운영사례를 살펴봅니다. (Let's look at the contents and operating cases of the practice-intensive contents among Temple Stay programs.)

    6

    신행문화 체험 프로그램 (Experience Programs for the faith-practice culture)

    불교 신행문화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유형적으로 살펴보고 운영사례를 확인합니다. (Let's look at the contents of programs for experiencing the faith-practice culture in a typical way and confirm operating cases.)

    7

    심신의 안정과 치유 프로그램 (Programs for mental and physical stability and healing)

    심신의 안정과 치유를 목적으로 기획한 프로그램의 사례들을 살펴봅니다. (Let's examine examples of programs designed for the purpose of mental and physical stability and healing.)

    8

    템플스테이의 기능과 구조, 그리고 의미 (Functions, structure, and meaning of Temple Stay)

    템플스테이의 기능과 구조, 템플스테이를 통해 사람들이 경험하는 의미에 대해 살펴봅니다. (We will examine the functions, structure Temple Stay, and the meaning people experience through Temple Stay.)


    ♣ 강좌지원팀 소개 (Course Support Team)

    로고임시

      • 서강대학교 K종교학술확산연구소 (Academic Center for K-Religions, Sogang University)
      • 소장(Director) : 정소이(Soyi Chung)
      • 연구교수(Research Professors) : 이호영(Hoyoung Lee), 김동규(Dongkyu Kim), 구형찬(Hyung Chan Koo), 김유리(Yuri Kim)
      • 학술연구원 : 서지애 (Jiae Seo)
      • E-mail : ackr@ackr.org


    ♣ 이수/평가정보 (Completion/Evaluation Information)


    ※ 이수증 발급 강좌입니다. (A certificate of completion is issued for this course.)


    ※ 해당 강좌의 모든 동영상 강의를 수강하면서 각 차시별로 제시되는 자율학습퀴즈와 읽기과제를 확인한 후 스스로 수행하고, 강좌 토론방에 답변 1회 이상, 또는 다른 수강생의 답변에 의견 1회 이상 업로드하면 강좌를 이수한 것으로 평가합니다. (The course is considered completed when you watch all video lectures, complete the "Additional Learning" quizzes and "Further Readings" assignments provided for each session, and either post at least one answer in the course discussion forum or upload at least one comment on another student's response.)


    ♣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Course Level and Prerequisites)


    ※ 이 강좌는 한국의 종교문화에 관심이 있는 국내 및 해외의 대학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합니다. (This course is designed for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interested in K-Religions.)


    ♣ 교재 및 참고문헌 (Textbooks and References)


    ※ 한국어, 영어, 스페인어로 작성된 자막과 가이드북을 제공하며, 각 강의마다 참고문헌을 소개합니다. (Subtitles and guidebooks in Korean, English, and Spanish are provided, and references are introduced in each lecture.)


    ※ 강좌를 위한 필수 교재는 없습니다. (No mandatory textbooks are required for this course.)

    수업계획서
    주차 주차명(주제) 차시 차시명(학습내용) 평가방법
    1강 1. 템플스테이 개관 1-1 템플스테이란? 자율학습퀴즈와 읽기과제 자율 수행 및 토론방 참여
    1-2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의 특징Ⅰ
    1-3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의 특징Ⅱ
    1-4 한국불교문화사업단
    1-5 운영사찰 및 전용시설
    1-6 참가자 현황
    2강 2. 금선사 템플스테이 2-1 금선사 템플스테이 자율학습퀴즈와 읽기과제 자율 수행 및 토론방 참여
    2-2 금선사 템플스테이 현황
    2-3 산문을 넘어서
    2-4 참가자 인터뷰
    2-5 템플스테이 오리엔테이션
    2-6 큰절 배우기
    3강 3. 금선사 템플스테이 : 사찰안내 3-1 산문(山門) : 성과 속의 경계 자율학습퀴즈와 읽기과제 자율 수행 및 토론방 참여
    3-2 범종루의 사물(四物)
    3-3 전각(殿閣): 반야전, 대적광전
    3-4 삼성각
    3-5 미타전, 요사채, 탑, 석등, 부도
    3-6 전각의 장식
    4강 4. 템플스테이 : 사찰의 생활문화 4-1 발우공양 자율학습퀴즈와 읽기과제 자율 수행 및 토론방 참여
    4-2 금선사 저녁공양
    4-3 타종
    4-4 저녁예불
    4-5 도량석
    4-6 새벽예불
    5강 5. 체험 프로그램의 유형 : 수행 집중 프로그램 5-1 체험프로그램의 유형 자율학습퀴즈와 읽기과제 자율 수행 및 토론방 참여
    5-2 참선, 명상
    5-3 간화선, 위빠사나
    5-4 응용명상프로그램
    5-5 금선사 싱잉볼 명상체험Ⅰ
    5-6 금선사 싱잉볼 명상체험Ⅱ
    6강 6. 신행문화 체험 프로그램 6-1 신행용 법구(法具) 만들기 자율학습퀴즈와 읽기과제 자율 수행 및 토론방 참여
    6-2 사경(寫經), 경전독송(讀誦)
    6-3 탑돌이, 운력
    6-4 절 수행, 염불
    6-5 성지순례
    6-6 금선사 목정굴 참배
    7강 7. 심신의 안정과 치유 프로그램 7-1 휴식형 템플스테이 자율학습퀴즈와 읽기과제 자율 수행 및 토론방 참여
    7-2 자연과 함께하는 힐링 프로그램
    7-3 요가(yoga)
    7-4 사찰음식
    7-5 다도(茶道)
    7-6 스님과의 대화
    8강 8. 템플스테이의 기능과 구조, 그리고 의미 8-1 템플스테이와 함께하는 문화체험 자율학습퀴즈와 읽기과제 자율 수행 및 토론방 참여
    8-2 템플스테이와 함께하는 교육, 상담 프로그램
    8-3 템플스테이와 함께하는 사회적 소통과 갈등 해소
    8-4 전이의례로서 템플스테이
    8-5 템플스테이: 영성체험, 삶의 의미와 가치의 성찰
    8-6 금선사 템플스테이 회향: 산문을 나서다
    강좌운영진
    • 배금란 교수

      서울대학교 종교학 박사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연구원 

      도서관 지혜학교 주임교수 (2022)

    분야 인문 (인문과학)

    난이도 전공기초

    운영기관 서강대학교 K종교학술확산연구소

    이수증 발급

    주차 8 주

    학습인정시간 12시간 00분 (10시간 21분)

    수강신청기간 25.08.28 ~ 25.11.30

    강좌운영기간 25.08.28 ~ 25.12.15

    전화번호 -

    자막언어 한국어 외 2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