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좌소개(Introduction)
의식주라는 말이 있다. 사람이 살아가는 데 필수적인 세 가지 요소로 옷, 음식, 주거를 든 것이다. 그만큼 인류는 먼 옛날부터 섬유 물질을 가공해 옷을 만들어 입었다. 섬유산업은 다른 의미에서도 경제사 연구자들에게 중요하다. 근대적 경제성장의 시작점인 영국의 산업혁명에서 면방직업의 발전은 핵심적인 요소였으며 20세기 후반 한국 등 개발도상국들의 초기 경제성장에서도 섬유산업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강좌에서는 20세기 한국 섬유산업의 역사를 고찰한다. 식민지배기부터 1980년대까지를 주요 대상으로 하며, 1990년대 이후도 언급한다. 면방직업, 직물업, 화학섬유 제조업 등 섬유산업의 각 업종의 성장 과정을 정리하며 쇠퇴 과정도 간략히 살펴본다. 강의를 통해 수강생들은 한국 섬유산업의 역사를 개괄함은 물론, 한국경제의 성장 과정에 대해서도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The phrase "food, clothing, and shelter" refers to the three fundamental necessities of human life. From ancient times, humans have produced and worn clothing by processing textile materials. The textile industry is also of great importance to economic historians. The development of cotton and textile manufacturing was central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Britain, the birthplace of modern economic growth. Similarly, textiles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early stages of industrialization in many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Korea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This course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s textile industry in the 20th century, focusing on the period from the colonial era through the 1980s, with brief references to developments after the 1990s. It explores the growth of key sectors such as cotton spinning, weaving, and synthetic fiber manufacturing, as well as the subsequent decline of the industry.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will not only gain an overview of the Korean textile industry’s evolution, but also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Korea’s broader economic development growth path.
2. 학습목표(Course Objective)
-섬유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한다.
-한국에서 20세기 전반에 섬유제품 생산이 가내 생산에서 공장 생산으로 전환되어 간 과정을 이해한다.
-한국에서 20세기 후반에 수입대체와 수출산업화라는 과정을 거치면서 섬유산업의 각 업종이 성장해간 양상을 이해한다.
-Underst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extile materials.
-Explore how textile production in early 20th-century Korea transitioned from household based on factory to manufacturing.
-Examine the development of various sectors within Korea’s textile industry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driven by import substitution and export industri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