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강의실

최근 수강강좌 목록

현재 진행중인 강좌(청강제외)만 출력됩니다.

최근접속순 최대 10개 강좌만 표시됩니다.

K-MOOC
K-MOOC 학점은행제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한국어
  • 한국어
  • ENGLISH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1. 강좌소개 (Introduction)


    물은 모든 생명체의 생존인류의 발전환경보전 등 지속 가능한 사회와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데 매우 중요한 자원이다물의 이용에 있어서 인간이 다른 생물과 구별되는 점은 생존을 위해 자연 상태의 물에 단순히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과 산업에 필요한 물을 확보하고 더 나아가 문화적으로 향유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고안하고 그 기술을 전승해왔다는 데에 있다.

    이 강좌는 수자원의 다양한 활용 중에서도 상수도 및 하수도그리고 농업용수를 중심으로 한국 역사 속에서 물이 어떻게 이용되어왔으며물을 다루는 기술과 정책이 어떻게 변화되어왔는지를 살펴보고물의 이용과 관련된 생활문화의 양상까지 다루고 있다이 강좌의 시간적 범위는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이며수강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사례를 풍부하게 제시하였다.


    Water is a vital resource for the survival of all living organisms, the progress of human civilization, and the preservation of the environment, playing a key role in building a sustainable society and ecosystem. Unlike other species that rely on natural water sources for survival, humans have developed diverse methods to secure water for daily life and industrial use and have passed down technologies for managing and culturally appreciating water.

    Focusing on key areas such as water supply, wastewater systems, and agricultural water, this course explores how water has been utilized throughout Korean history. It examines the evolution of water-related technologies and policies, as well as cultural practices related to water use. Covering a broad historical range from ancient times to the modern era, the course offers numerous concrete examples to help students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Korea’s water heritage and its significance.


    2. 학습목표 (Course Objectives)


    (1) 상수도 및 하수도농업용수를 중심으로 한국 역사 속에서 물의 이용 양상을 이해한다.

    (2) 환경과의 관계 속에서 한국의 물 이용 기술과 정책의 변화를 이해한다.

    (3) 물의 이용과 관련된 한국의 생활문화의 양상을 이해한다.

    -Understand how water resources, especially drinking water, wastewater, and agricultural water, have been utilized throughout Korean history.

    -Examine the evolution of Korea’s water-related technologies and policies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change.

    -Explore the cultural practices and everyday uses of water in Korean society.



    3. 교재 (Textbook)

    없음 (None)


    4. 강좌 운영일정 (Schedule)

    - 운영방식 (Type): 상시형 강좌(Certificate of completion can be issued at any time after meeting the criteria.)


    5. 이수기준 (Completion Criteria)

    • 평가 (Evaluation): 중간퀴즈 50%, 기말시험 50%
    • 이수 (Completion): 총점 60점 이상 취득 후 설문조사 응답 시 이수증 발급

    * 토론, 보고서 및 설문조사 답변은 성적에 반영되지 않습니다.(Debates, reports, and survey responses are not considered for your score.)


    6. 문의처 (Contact)

    - 강의실 내 Q&A 게시판 (the online Q&A board)

    - 이메일 (E-mail): kekasnu@gmail.com

    * 이메일로 연락주시는 경우, 더 빠른 답변이 가능합니다.

    수업계획서

    주차(Week)

    주차명(Titles)

    1

    수자원과 수리(水利)

    Water Resources and Water Management

    2

    식수 이용사 1: 역사 속의 우물

    The History of Drinking Water Use 1: Wells

    3

    식수 이용사 2: 우물에서 상수도로

    The History of Drinking Water Use 2: From Wells to Tap Water

    4

    식수 이용사 3: 식수와 생활문화의 변화

    The History of Drinking Water Use 3: Changes in Drinking Water and Daily Life

    5

    도시와 물: 개항도시 목포와 상수도 개발사

    Cities and Water: The History of Water Supply Development in the Port City of Mokpo

    6

    하수도 변천사

    The History of Sewage Systems in Korea

    7

    중간 퀴즈(객관식 문항)

    Mid-term Exam(multiple choice questions)

    8

    전통 저수지 유형과 구조

    Types and Structures of Traditional Korean Reservoirs

    9

    전통 보 유형과 구조

    Types and Structures of Traditional Korean Weirs

    10

    사례로 본 전통 저수지 이용방식

    Traditional Reservoir Usage Examined Through Cases

    11

    사례로 본 전통 보 이용방식

    Traditional Weir Usage Examined Through Cases

    12

    소규모 저수시설과 저수답

    Small-Scale Water Storage Facilities and Reservoir Paddies

    13

    수자원 개발에서 물 관리로

    From Water Resources Development to Water Management

    14

    기말 시험(객관식 문항)

    Final Exam(multiple choice questions)

    미리보기
    강좌운영진
    • 양선아 교수

      1. 소속: 전북대학교 쌀·삶·문명연구원

      2. 학력: 서울대학교 국어교육학과 졸업(학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졸업(석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졸업(박사)

      3. 대표 연구

      「1950~60년대 농촌 사람들의 고향 인식 ― 전북 임실 면 공무원의 일기와 편지를 중심으로 ―」, 『지역사회연구』 30(2), 2022; 「19세기 宮房의 干拓 - 扶安 三間坪 龍洞宮 庄土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 57, 2012. 외 다수


    • TA(강좌조교)

      서울대학교 한국경제와 K 학술확산 연구센터

      (Center for Korean Economy and K-Academic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K-MOOC 담당조교(Teaching Assistant)

      연락처(Contact): kekasnu@gmail.com


    자주묻는질문

    Q 강좌 교재가 따로 있나요?

    A 이 강의의 교재는 따로 없습니다. 매 주차마다 가이드북과 학습자료 목록이 제공되니 공부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Q 이수증 발급이 가능한가요?

    A 본 강좌의 평가 기준은 중간퀴즈 50%와 기말고사 50%로 구성되며, 총 60% 이상을 달성할 경우 이수증이 발급됩니다.

    Q 토론 참여와 보고서 제출은 필수인가요?

    A 아닙니다. 토론과 보고서는 성적과 이수 기준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수강생 여러분께 학습 방향을 제시하고 여러분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돕기 위하여 제공되는 학습 요소이므로 자율적으로 참여하시면 됩니다.

    기타·문의처
    kekasnu@gmail.com

    분야 사회 (사회과학)

    난이도 교양

    운영기관 서울대학교 한국경제와 K학술확산연구센터

    이수증 발급

    주차 14 주

    학습인정시간 32시간 00분 (10시간 08분)

    수강신청기간 25.09.01 ~ 25.12.31

    강좌운영기간 25.09.01 ~ 25.12.31

    전화번호 02-880-2133

    자막언어 한국어 외 2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