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강의실

최근 수강강좌 목록

현재 진행중인 강좌(청강제외)만 출력됩니다.

최근접속순 최대 10개 강좌만 표시됩니다.

K-MOOC
K-MOOC 학점은행제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한국어
  • 한국어
  • ENGLISH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1. 강좌소개(Introduction)

    한국경제는 해방이후 매우 빠르게 성장하였다한국의 성장 경험이 우리의 관심을 끄는 것은 영국미국프랑스 등과 같이 일찍부터 경제발전의 선행조건을 축적해 온 선진국과 달리 19세기 후반에 세계경제에 편입되면서 근대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전형적인 후발국에서 출발했다는 점이다이와 같이 후발국의 지위에서 어떻게 한국이 빠르게 경제성장에 성공할 수 있었는지를 설명하고자 한 것이 이 강좌의 목적이다.

    이 강좌에서는 한국의 대외무역에 초점을 맞춰 한국경제가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던 원인을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하여 살펴볼 것이다첫째 시기는 한국 근대의 출발이라고 할 수 있는 19세기 후반의 개항기와 식민지 시기즉 해방 이전의 대외무역을 간략하게 설명할 것이다둘째 시기는 이 강좌의 중심 내용이라고 할 수 있는 해방 이후에서 고도성장 기의 대외무역을 소개할 것이고마지막으로 세 번째 시기는 1980년대 이후의 무역에 대해 간략히 살펴볼 것이다.


    Korea’s economy grew rapidly after liberation. What makes Korea’s growth experience particularly interesting is that, unlike early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K, the US, and France, which accumulated the prerequisites for economic development over a long period, Korea entered the world economy in the late 19th century as a typical latecomer transitioning into modernity. This course aims to explain how Korea was able to achieve such rapid economic growth from this position as a latecomer.

    Focusing on Korea’s foreign trade, the course divides the growth process into three main periods. The first period covers the late 19th century opening of ports and the colonial era, providing a brief overview of Korea’s foreign trade before liberation. The second, and main, period focuses on foreign trade from liberation through the era of rapid growth. Finally, the third period offers a brief look at trade developments since the 1980s.


    2. 교재(Textbook):  없음(None)


    3. 학습목표(Course Objective)

    - 후발국의 경제발전과정에서 무역의 중요성을 이해하기

    - 한국에서 근대적인 무역제도와 외환제도가 어떻게 형성되고 재편되는지를 이해하기
    - 한국에서 수출이 빠르게 성장한 요인을 이해하기
    - 만성적인 무역수지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할 수 있었던 제도와 정책을 이해하기


    -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rade in the economic development process of latecomer countries.

    - Comprehend how modern trade and foreign exchange systems were established and restructured in Korea.

    - Identify the factors behind the rapid growth of Korea’s exports.

    - Understand the institutions and policies that enabled Korea to shift from chronic trade deficits to surpluses.


    4. 강좌 운영일정(Schedule)

    - 운영방식(Type): 상시형 강좌(Certificate of completion can be issued at any time after meeting the criteria)


    5. 이수 기준(Completion Criteria)

    - 평가 기준(Evaluation): 중간퀴즈(Midterm Exam) 50%, 기말시험(Final Exam) 50%

    - 이수 기준(Completion): 총합 60점 이상 획득 후 설문조사 응답 시 이수증 발급(Achieve more than 60% in total, and take part in the survey)

        * 토론, 보고서 및 설문조사 답변은 성적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Debates, Reports, and Survey responses are not considered for your score)


    6. 문의처(contact)

    -강의실 내 Q&A 게시판 (the online Q&A board)

    -이메일(E-mail): kekasnu@gmail.com

    *이메일로 연락주시는 경우, 더 빠른 답변이 가능합니다

     

    수업계획서

    주차(Week)

    주차명(Titles)

    1

    무역과 경제성장

    Trade and Economic Growth

    2

    해방 이전의 무역

    Trade Before Liberalization

    3

    해방초기의 무역․외환제도의 재편

    Reorganization of the Trade and Foreign Exchange Systems in the Early Post-liberation Period

    4

    1950년대 대외무역

    Foreign Trade in the 1950s

    5

    1950년대 외환수지와 복수환율제

    Foreign Exchange Balance and The Multiple Exchange Rate System in the 1950s

    6

    수출주도공업화전략으로의 전환

    Transition to an Export-Led Industrialization Strategy

    7

    중간 퀴즈(객관식 문항)

    Mid-term Exam(multiple choice questions)

    8

    단일환율제도로의 전환과 수출진흥정책

    The Transition to a Single Exchange Rate System and Export Promotion Policies

    9

    고도성장기의 수출

    Exports During the High-Growth Period

    10

    수출진흥확대회의

    Export Promotion Meetings

    11

    고도성장기의 수입

    Imports During the High-Growth Period

    12

    경제의 글로벌화와 한국의 무역

    Economic Globalization and Korean Trade

    13

    요약: 한국의 무역으로 본 후발국의 경제성장

    Summary: Trade in Korea: A Latecomer's Economic Growth

    14

    기말 시험(객관식 문항)

    Final Exam(multiple choice questions)

    미리보기
    강좌운영진
    • 최상오 교수

      Prof. Sang-oh Choi

      1. 소속(Affiliation): 전 대한민국역사박물관(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현 가천대학교(Gachon University)

      2. 최종 학력(Education): 성균관대학교 졸업(경제학박사) (Sungkyunkwan University)

      3. 대표 연구(Selected Publications)

      「한국에서 수출지향공업화정책의 형성과정- 1960년대 초 이후 급속한 수출 성장 원인에 대한 일 고찰 -」, 『경영사연구』25(3), 2010;  「이승만 정부의 경제정책과 공업화 전략」, 『경제사학』35, 2003. 외 다수


    • TA(강좌조교)

      서울대학교 한국경제와 K 학술확산 연구센터

      (Center for Korean Economy and K-Academic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K-MOOC 담당조교(Teaching Assistant)

      연락처(Contact): kekasnu@gmail.com



    자주묻는질문

    Q 강좌 교재가 따로 있나요?

    A 이 강좌의 교재는 따로 없습니다. 매 주차마다 가이드북과 학습자료 목록이 제공되니 공부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Q 이수증 발급이 가능한가요?

    A 본 강좌의 평가 기준은 중간퀴즈 50%, 기말고사 50%로 구성되며, 총 60% 이상을 달성할 경우 이수증이 발급됩니다.

    Q 토론 참여와 보고서 제출은 필수인가요?

    A 아닙니다. 토론과 보고서는 성적과 이수 기준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수강생 여러분께 학습 방향을 제시하고 여러분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돕기 위하여 제공되는 학습 요소이므로 자율적으로 참여하시면 됩니다.

    기타·문의처
    kekasnu@gmail.com

    분야 사회 (경영 · 경제)

    난이도 전공기초

    운영기관 서울대학교 한국경제와 K학술확산연구센터

    이수증 발급

    주차 14 주

    학습인정시간 32시간 00분 (09시간 38분)

    수강신청기간 25.09.01 ~ 25.12.31

    강좌운영기간 25.09.01 ~ 25.12.31

    전화번호 02-880-2133

    자막언어 한국어 외 2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