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좌소개(Introduction)
한국경제는 해방이후 매우 빠르게 성장하였다. 한국의 성장 경험이 우리의 관심을 끄는 것은 영국, 미국, 프랑스 등과 같이 일찍부터 경제발전의 선행조건을 축적해 온 선진국과 달리 19세기 후반에 세계경제에 편입되면서 근대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전형적인 후발국에서 출발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후발국의 지위에서 어떻게 한국이 빠르게 경제성장에 성공할 수 있었는지를 설명하고자 한 것이 이 강좌의 목적이다.
이 강좌에서는 한국의 대외무역에 초점을 맞춰 한국경제가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던 원인을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하여 살펴볼 것이다. 첫째 시기는 한국 근대의 출발이라고 할 수 있는 19세기 후반의 개항기와 식민지 시기, 즉 해방 이전의 대외무역을 간략하게 설명할 것이다. 둘째 시기는 이 강좌의 중심 내용이라고 할 수 있는 해방 이후에서 고도성장 기의 대외무역을 소개할 것이고, 마지막으로 세 번째 시기는 1980년대 이후의 무역에 대해 간략히 살펴볼 것이다.
Korea’s economy grew rapidly after liberation. What makes Korea’s growth experience particularly interesting is that, unlike early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K, the US, and France, which accumulated the prerequisites for economic development over a long period, Korea entered the world economy in the late 19th century as a typical latecomer transitioning into modernity. This course aims to explain how Korea was able to achieve such rapid economic growth from this position as a latecomer.
Focusing on Korea’s foreign trade, the course divides the growth process into three main periods. The first period covers the late 19th century opening of ports and the colonial era, providing a brief overview of Korea’s foreign trade before liberation. The second, and main, period focuses on foreign trade from liberation through the era of rapid growth. Finally, the third period offers a brief look at trade developments since the 1980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