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좌소개(Introduction)
이 강좌는 한국의 근대 철강산업이 어떻게 시작하였고, 어떤 발전 과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일제시기 일본이 이식한 철강산업이 만든 식민성과 근대성의 중첩, 해방 후 일본인이 사라지면서 나타난 자본과 기술의 큰 공백, 설상가상으로 남북분단에 따른 주력 제철소의 상실, 그리고 한국전쟁에 따른 파괴, 자립경제의 슬로건 하에 역대 정권에서 변함없이 추진된 종합제철소 건설을 위한 노력, 그리고 마침내 포항제철의 건설과 급격한 성장 과정 등이 주요 내용이다. 이 강좌는 이러한 한국 근대 철강산업의 역사 궤적을 따라가면서 근대, 식민, 해방, 분단, 전쟁, 경제개발, 고도성장 등 한국 근현대사의 관점에서도 중요한 키워드들을 다시 생각해보는 시간이 될 것이다.
This course examines the origins and evolution of Korea’s modern steel industry, highlighting its transformation from the colonial period to the present day. Key topics include the intertwined legacies of colonialism and modernization, the capital and technology gaps after liberation, the impact of the Korean Peninsula’s division and the Korean War, and sustained government efforts toward economic self-reliance, culminating in the rapid growth of POSCO.
Through this historical lens, the course also invites reflection on major themes in Korea’s modern history, including modernization, colonialism, liberation, division, war, and economic development.
2. 교재(Textbook): 없음(none)
3. 학습목표(Course Objective)
(1) 20세기 한국 근대 철강산업 발전의 역사적 과정을 이해한다.
(2) 철강산업을 통해 한국 근대 산업화의 명암을 종합적으로 이해한다.
(3) 식민지 근대화, 박정희정권 경제개발 등 역사적 쟁점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본다.
-Underst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Korea’s modern steel industry in the 20th century.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omplexities of Korea’s industrialization through the lens of the steel industry.
-Reflect on key historical issues such as colonial modern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under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4. 강좌운영일정(Schedule)
- 운영방식(Type): 상시형 강좌(Certificate of completion can be issued at any time after meeting the criteria)
5. 이수기준(Completion Criteria)
* 토론, 보고서 및 설문조사 답변은 성적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Debates, Reports, and Survey responses are not considered for your score)
6. 연락처(Contact)
-강의실 내 Q&A 게시판 (the online Q&A board)
-이메일(E-mail): kekasnu@gmail.com
*이메일로 연락주시는 경우, 더 빠른 답변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