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강의실

최근 수강강좌 목록

현재 진행중인 강좌(청강제외)만 출력됩니다.

최근접속순 최대 10개 강좌만 표시됩니다.

K-MOOC
K-MOOC 학점은행제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한국어
  • 한국어
  • ENGLISH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1. 강좌소개(Introduction)
    • 본 강좌에서는 일제 식민지기 시대부터, 원조경제 시기, 고도성장기 등 시대 별 한국 자동차 산업의 주요 특징을 살펴본다. 정부 정책, 자동차 모델, 다국적기업 진출과 독자경영 노선의 경쟁에 대한 강의를 통해, 수강생들은 전후방산업연관효과가 높은 자동차 산업의 선도적 역할을 이해하고, 정부와 기업의 협력이 한국 경제의 고도성장기에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파악할 수 있다.

    • This course examines the history of Korea’s automobile industry from the colonial period through the era of foreign aid and into the years of rapid economic growth. By looking at government policies, key vehicle models, and the competition between multinational companies and domestic firms pursuing independent strategies, students will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the auto industry helped lead Korea’s economic development. The course also highlights how partnerships between the state and businesses shaped the high-growth period of the Korean economy.

    2. 교재(Textbook): 없음(None)
    3. 학습목표(Course Objective)
    • 한국 자동차산업의 시대별 주요특징과 성장요인을 이해한다.
    • 한국이 다국적기업과의 지속적 합작이 아닌 독자노선을 선택한 배경과 과정을 이해한다.
    • 한국경제 고도성장기 정부와 기업의 상호협력적 역할에 대한 이해를 제고한다.
    • Understand the key characteristics and growth drivers of Korea’s automobile industry across different historical periods.
    • Examine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Korea’s decision to pursue an independent path, rather than continuing long-term joint ventures with multinational corporations.
    • Deepen understanding of the cooperative roles played by government and industry during Korea’s period of rapid economic growth.

    4. 강좌 운영일정(Schedule)

    • 운영방식(Type): 상시형 강좌(Certificate of completion can be issued at any time after meeting the criteria)
    5. 이수 기준(Completion Criteria)
    • 평가 기준(Evaluation): 중간퀴즈(Midterm Exam) 50%, 기말시험(Final Exam) 50%
    • 이수 기준(Completion): 총합 60점 이상 획득 후 설문조사 응답 시 이수증 발급(Achieve more than 60% in total, and take part in the survey)

        * 토론, 보고서 및 설문조사 답변은 성적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Debates, Reports, and Survey responses are not considered for your score)


    6. 문의처(Contact)

    -강의실 내 Q&A 게시판 (the online Q&A board)

    -이메일(E-mail): kekasnu@gmail.com

    *이메일로 연락주시는 경우, 더 빠른 답변이 가능합니다. 

    수업계획서

    주차(week)

    주차명(Titles)

    1

    한국 자동차산업의 태동

    Birth of the Korean Automotive Industry

    2

    자동차산업의 육성 정책과 초기 발전: 1960년대

    Policies for the Promotion and Early Development of the Automotive Industry: The 1960s

    3

    국산 승용차 포니와 자동차 수출산업화: 1970년대

    'Pony,' Korea's First Domestically Produced Passenger Car, and Development of the Automotive Export Inudstry

    4

    한국 자동차산업의 정착과 성장: 1980년대

    Stabilization and Growth of South Korea's Automotive Industry

    5

    한국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 진출과 수출 확대: 1990년대

    Global Expansion and Export Growth of Korean Automotive Industry

    6

    1997년 한국 외환위기와 자동차 산업 구조조정

    The 1997 Financial Crisis and Automotive Industry Restructuring

    7

    중간 퀴즈(객관식 문항)

    Mid-term Exam(multiple choice questions)

    8

    2000년 이후 한국 자동차 산업의 기술혁신

    Technological Innovation in Korean Automotive Industry Since 2000

    9

    2000년 이후 한국 자동차 산업의 정책환경과 규제동향

    Policy Environment and Regulatory Trends in Korean Automotive Industry since 2000

    10

    한국 자동차 산업의 기업대응 전략과 경영혁신

    Corporate Strategies and Management Innovation in Korean Automotive Industry

    11

    한국 자동차 산업의 인력양성과 노사관계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Labor-Management Relations in Korean Automotive Industry

    12

     한국 자동차 부품 산업의 발전

    Development of Korean Automotive Parts Industry

    13

    한국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Paradigm Shifts in Korean Automotive Industry

    14

     기말 시험(객관식 문항)

     Final Exam(multiple choice questions)

    미리보기
    강좌운영진
    • 황승진 교수

      Representative Prof. Seung Jin Hwang

       

      1. 소속(Affiliation) : 서울대학교 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Center for Korean Economy and K-Academ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2. 최종 학력(Education) : 서강대학교 졸업(경제학박사)(Sogang University)

      3. 대표 연구(Selected Publications)

      「최저임금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노동경제논집』, 39권 제2, 2016; 「경남지역 소재부품장비산업 연구개발투자효과」, 『지역산업연구』, 45권 제2, 2022; 『모빌리티 대전환-대한민국의 새로운 전략』 (공저), 『한국교통연구원』, 2022. 외 다수


    • TA(강좌조교)

      서울대학교 한국경제와 K 학술확산 연구센터

      (Center for Korean Economy and K-Academic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K-MOOC 담당조교(Teaching Assistant)

      연락처(Contact): kekasnu@gmail.com



    자주묻는질문

    Q 강좌 교재가 따로 있나요?

    A 이 강좌의 교재는 따로 없습니다. 매 주차마다 가이드북과 학습자료 목록이 제공되니 공부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Q 이수증 발급이 가능한가요?

    A 본 강좌의 평가 기준은 중간퀴즈 50%, 기말고사 50%로 구성되며, 총 60% 이상을 달성할 경우 이수증이 발급됩니다.

    Q 토론 참여와 보고서 제출은 필수인가요?

    A 아닙니다. 토론과 보고서는 성적과 이수 기준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수강생 여러분께 학습 방향을 제시하고 여러분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돕기 위하여 제공되는 학습 요소이므로 자율적으로 참여하시면 됩니다.

    기타·문의처
    kekasnu@gmail.com

    분야 사회 (경영 · 경제)

    난이도 교양

    운영기관 서울대학교 한국경제와 K학술확산연구센터

    이수증 발급

    주차 14 주

    학습인정시간 32시간 00분 (09시간 41분)

    수강신청기간 25.09.01 ~ 25.12.31

    강좌운영기간 25.09.01 ~ 25.12.31

    전화번호 02-880-2133

    자막언어 한국어 외 2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