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업 내용 / 목표
1. 인천대학교 묶음 강좌 '인공지능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교육 강좌'는?
○ 디지털 변환 시대에 적합한 스피치, 미디어, 의사소통 교육 전반에 관한 기초 소양과 교육전략을 체계적으로 제공
○ 초급-스피치 교육, 중급-미디어 교육, 고급-의사소통 역량 교육 총 3편으로 구성
2. [묶음강좌 2] ‘인공지능 시대의 미디어 교육’ 강좌 소개
○ 강연자와 일반이 패널이 함께 소통하면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해 탐구하는 강좌
○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미디어 환경을 반영한 과학 저널리즘, 탐사 저널리즘, 데이터 저널리즘 등 그동안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서 상대적으로 깊이 있게 다루지 못했던 영역을 다루는 강좌
○ 수강생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아나운서, 기자, 과학 보도 전문가를 강연자로 초청하여 패널과 대화를 주고받는 토크쇼 형식으로 구성한 강좌
3. [묶음강좌 2] ‘인공지능 시대의 미디어 교육 강좌’ 학습 목표
○ 매체가 만들어 내는 현대판 설화를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 매체를 통해 설화가 역사로 둔갑하는 현상을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 광우병 논쟁 사례를 중심으로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을 이해하고, 과학적 쟁점을 다룬 보도를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 사건을 중심으로 탐사 저널리즘을 이해하고, 데이터 기반 보도를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 강좌 출연진
□ 강좌 홍보 영상
□ 강의계획서
주차 |
주차명 |
차시 |
차시명 |
교수자 |
학습 활동 |
1주차 |
매체 설화의 개념 |
1-1 |
구전 설화의 이해 |
김평원 교수 (인천대) |
퀴즈 |
1-2 |
전설과 역사 |
||||
1-3 |
매체 설화의 이해 |
||||
2주차 |
매체가 만든 역사 |
2-1 |
비거 민담, 전설을 거쳐 역사가 되다 |
교수자 : 김평원 (인천대 교수)
강연자 : 박지민 (MBC 아나운서) |
퀴즈 |
2-2 |
비거 민담의 역사화 과정 |
||||
2-3 |
화차 전설, 역사가 되다 |
||||
2-4 |
전설을 역사로 인정받는 방법 |
||||
3주차 |
과학 커뮤니케이션 |
3-1 |
광우병과 인간 광우병 |
교수자 : 김평원 (인천대 교수)
강연자 : 한세현 (SBS 기자) |
퀴즈 |
3-2 |
동족 포식이 만든 재앙 |
||||
3-3 |
광우병의 원인, 프리온 단백질 |
||||
3-4 |
프리온 단백질, 종간 장벽을 넘다 |
||||
4주차 |
과학 저널리즘 |
4-1 |
소의 월령과 인간 광우병의 발병 과정 |
퀴즈, 과제 |
|
4-2 |
인간 광우병의 발병률 논쟁 |
||||
4-3 |
특정 위험 물질(SRM)의 이해 |
||||
4-4 |
특정 위험 물질(SRM)의 범위 논쟁 |
||||
4-5 |
프리온 단백질의 유전자형(M/M, M/V, V/V) |
||||
4-6 |
M/M형 유전자의 인간 광우병 취약성 논쟁 |
||||
5주차 |
탐사 저널리즘 |
5-1 |
탐사 보도 사례 : A제과의 갑질 논란 |
교수자 : 김평원 (인천대 교수)
강연자 : 백승우 (채널A 기자) |
퀴즈 |
5-2 |
탐사 저널리즘의 이해 |
||||
5-3 |
탐사 저널리즘의 발전 방안 |
||||
6주차 |
데이터 저널리즘 |
6-1 |
데이터 분석 보도 사례 |
퀴즈 |
|
6-2 |
데이터 저널리즘의 이해 |
||||
6-3 |
데이터 분석 보도의 절차 |
||||
6-4 |
데이터 저널리즘 한계와 발전 방안 |
||||
7주차 |
총괄 평가 |
- |
총괄 평가 |
|
서술형, 단답형 문항 |
□ 이수기준
○ 100점 만점 기준 총점 60점 이상인 경우 이수증 발급
퀴즈 |
과제 |
총괄 평가 |
|
유형 |
선택형 빈칸 채우기형 단답형 |
다큐멘터리 감상문 작성 후 게시판에 제출 |
단답형, 서술형 |
차시 |
1~6주차(20문항) |
4주차 |
7주차 |
비율 |
40% |
60% |
|
배점 |
문항당 상이 총 40점 |
60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