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 | 주차명(주제) | 차시 | 차시명(학습내용) | 평가방법 |
1 | 공감의 역사 (From Einfühlung to Empathie, and Empathy) | 1-1 | 공감에 대한 역사적 조망 (Historical perspectives on empathy) | - |
철학에서 유래한 Einfühlung이 현대적 의미의 Empathy로 쓰이기까지의 역사적 맥락을 알아본다. |
1-2 | 현대심리학에서 공감의 정의 (Defining empathy in modern psychology) | - |
현대심리학에서 과학적 탐구의 대상이 되는 공감 개념의 조작적 정의를 다룬다. |
1-3 | 공감의 다면성 (Empathy a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 - |
다면적 개념인 공감을 특히 진화론적 맥락에서 살펴본다. |
1-4 | 공감에 대한 비판과 연민의 부상 (Recent critics on empathy-The rise of compassion) | 퀴즈(1) |
친사회적 감정으로서 공감의 한계에 대한 최근의 비판과, 대안으로 제시되는 연민(compassion)을 살펴본다. |
2 | 정서적 공감 (Emotional Empathy) | 2-1 | 정동의 공유와 정서 전염 (Affective sharing and emotional contagion) | - |
공감의 원형으로서 정서 전염을 살펴본다. |
2-2 | 공감적 염려와 다른 정교한 형태의 정서적 공감 (Empathic concern and other elaborate form of emotional empathy) | - |
공감적 연민과 다른 보다 정교한 형태의 정서적 공감을 알아본다. |
2-3 | 정서적 공감의 신경상관물들 (Neural correlates of emotional empathy) | - |
3강에서 자세히 다룰 거울뉴런 네트워크와 섬엽, 대상피질 네트워크를 정서적 공감의 측면에서 살펴본다. |
2-4 | 정서적 공감의 발달적 측면 (Developmental aspects of emotional empathy) | 퀴즈(1) |
출생부터 아동기, 성인기와 노년에 이르기까지 정서적 공감의 발달과 변화를 알아본다. |
3 | 거울 뉴런과 공통 표상 I (Mirror Neuron, Shared Representation, and neural correlates of empathy I) | 3-1 | 거울 뉴런의 발견 (Discovery and functions of mirror neurons) | - |
거울 뉴런의 발견에 얽힌 에피소드를 살펴본다. |
3-2 | 운동 모방 (Monkey see, Monkey do - Motor mimicry) | - |
자동적인 운동 모방의 원리와 어째서 운동 모방이 공감과 관련되는지 알아본다. |
3-3 | 공유된 신경 표상과 공감 (Shared neural representations and empathy) | - |
운동표상과 지각표상 사이의 관련성이 운동 모방 및 공감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배운다. |
2-4 | 공감의 지각-운동 모형 (The perception-action model of empathy) | 퀴즈(1) |
오늘날 공감에 대해 가장 폭넓은 설명을 제공하는 모형 중 하나인 지각-운동 모형을 알아본다. |
4 | 거울 뉴런과 공통 표상 II (Mirror Neuron, Shared Representation, and neural correlates of empathy II) | 4-1 | 거울뉴런 손상과 공감 결여 (Mirror neuron dysfunction and empathy deficits) | - |
공감과 관련된 여러 정신장애들을 거울뉴런 손상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본다. |
4-2 | 깨진 거울 가설과 비판들 ('Broken mirror' hypothesis and its critiques) | - |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거울 뉴런의 기능장애로 설명하는 ‘깨진 거울’ 가설과 그에 대한 비판들을 살펴본다. |
4-3 | 신경가소성 및 공감 훈련 (eural plasticity and empathy training) | - |
공감훈련과 관련하여 거울뉴런과 신경가소성을 살펴본다. |
4-4 | 거울 뉴런의 한계와 비판 (Criticisms and limitations of the mirror neuron theory) | 퀴즈(1) |
거울 뉴런 자체에 대한 최근의 비판들과 증거들을 살펴본다. |
5 | 공감의 자동성 (Automaticity of Empathy) | 5-1 | 정서 처리의 자동성 (Automatic nature of emotional processing) | - |
정서 지각과 처리에 있어 자동성을 살펴본다. |
5-2 | 빠르고 의식하지 못한 채 이루어지는 공감 과정 (Rapid and unconscious empathic responses) | - |
역치하 자극 등 여러 실험기법을 통해 공감의 자동성을 규명하는 과정을 알아본다. |
5-3 | 공감의 자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Factors influencing the automaticity of empathy) | - |
자동적 공감의 발현과 개인차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인들을 살펴본다. |
5-4 | 암묵적 공감 측정 (Implicit measures of empathy) | 퀴즈(1) |
공감 반응을 측정하는 암묵적 방법들에 대해 알아본다. |
6 | 인지적 공감 (Cognitive Empathy) | 6-1 | 관점 수용과 마음 상태 귀인 (Perspective-taking and mental state attribution) | - |
타인을 마음을 가진 존재로 인식하고 타인의 관점(조망)에 설 수 있는 능력에 대해 알아본다. |
6-2 | 이중해리와 그 비판자들 ('Double dissociation' and its critiques : Descartes,Damasio, and Shamay-Tsoory) | - |
신경심리학적 연구들을 중심으로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 사이의 해리를 뒷받침하는 증거들을 살펴보고, 다마지오와 데카르트로 거슬러 올라가는 정서-인지 사이의 이분법과 그 비판을 개관한다. |
6-3 | 인지적 공감의 신경상관물들 (Neural correlates of cognitive empathy) | - |
인지적 공감 과정과 관련된 뇌의 구조와 기능을 살펴본다. |
6-4 | 인지적 공감의 발달적 측면 (Developmental aspects of cognitive empathy) | 퀴즈(1) |
인지적 공감의 발달과 생애주기에 따른 변화를 알아본다. |
7 | 마음 이론과 공감 정확도 (Theory of Mind and Empathic Accuracy) | 7-1 | 마음이론 (Defining theory of mind and its relation to empathy) | - |
마음이론의 개념을 공감과 관련하여 살펴본다. |
7-2 | 마음이론 – 발달적 관점 (Theory of Mind - Developmental perspective) | - |
생애주기에 따른 마음 이론의 발달 과정을 알아본다. |
7-3 | 공감정확도와 대인관계 민감성 (Empathic accuracy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 - |
공감정확도 개념과 측정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
7-4 | 임상적 마음이론 (Theory of mind in clinical populations) | 퀴즈(1) |
여러 정신장애에서의 마음이론 변화와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본다. |
8 | 어떻게 공감을 측정할까? I (How to Measure Empathy I Interoception, Self-Report and its limitations) | 8-1 | 공감의 자기보고 척도들 (Self-report measures of empathy) | - |
공감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다양한 자기보고 척도들을 개관한다. |
8-2 | 공감의 자기보고 척도들과 신경상관물들 (Self-report and neural correlates of empathy) | - |
공감의 자기보고 척도들과 상관관계가 발견된 뇌 영역들을 살펴본다. |
8-3 | 자기보고식 척도의 한계와 편향들 (Limitations and biases in self-report measures) | - |
자기보고식 척도들의 한계와 편향을 살펴본다. |
8-4 | 공감에서 내성법의 역할 (Interoception and its role in empathy) | 퀴즈(1) |
공감에서 내성법의 역할과 한계를 알아본다. |
9 | 어떻게 공감을 측정할까? II (How to Measure Empathy II Behavioral, Physiological, Neuroscientific approaches) | 9-1 | 행동 기법을 통한 공감 측정 (Behavioral paradigms for assessing empathy) | - |
공감의 개인차 측정에 있어 행동적 기법들을 살펴본다. |
9-2 | 공감 반응의 생리적 지표들 (Physiological indicators of empathic responses) | - |
얼굴근전도, 심전도, 피부전도 반응처럼 자율신경계 반응으로 나타나는 공감 반응에 대해 알아본다. |
9-3 | 공감의 뇌영상 연구들 (Neuroimaging studies of empathy) | - |
fMRI, 뇌파 등 뇌영상 기법을 통한 공감 연구들을 살펴본다. |
9-4 | 서로 다른 방법론들의 장단점 (Advantages and challenges of different measurement approaches) | 퀴즈(1) |
공감 연구에 있어 여러 가지 연구방법들의 장단점을 알아보고 상호보완적 접근 방법을 모색해 본다. |
10 | 어떻게 공감을 배양할 수 있을까? (How to Cultivate empathy) | 10-1 | 공감 훈련 프로그램과 개입들 (Empathy training programs and interventions) | - |
행동 기반의 공감 훈련 연구들을 개관한다. |
10-2 | 공감과 연민에 초점을 둔 명상 접근들 (Empathy and Compassion focused meditation approaches) | - |
공감명상과 연민명상을 통한 공감 증진 시도들을 살펴본다. |
10-3 | 헬스케어와 관련 분야에서의 공감 증진 (Cultivating empathy in healthcare and other professions) | 퀴즈(1) |
공감의 중요 주제 중 하나인 의료진의 공감 능력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본다. |
11 | 공감 편향 (Bias in Empathy) | 11-1 | 공감의 성차(Gender differences in empathy) | - |
공감의 성차에 대한 편견과 과학적 근거들을 개관한다. |
11-2 | 공감의 내집단 편향 (In-group biases of empathy) | - |
공감의 내집단 편향을 진화론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
11-3 | 공감 편향 극복을 위한 몇 가지 방법들 (Some Strategies for reducing empathic biases) | 퀴즈(1) |
주로 인지적, 행동적 접근에 초점을 맞추어 공감 편향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을 살펴본다. |
12 | 비침습적 신경조절을 통한 공감 조절 (Neuromodulation of Empathy) | 12-1 | 경두개 자기 자극 (Approaches using TMS and rTMS) | - |
비침습적 뇌 자극 기법 중 하나인 경두개 자기 자극을 이용한 공감 조절 연구들을 살펴본다. |
12-2 | 경두개 전류 자극 (Some approaches using tDCS, tACS) | - |
경두개 전류 자극을 이용한 공감 조절 연구들을 살펴본다. |
12-3 | 다른 접근들(Other Approaches) | 퀴즈(1) |
경피적 미주신경 자극을 비롯해, 다른 뇌-신경계 조절기법을 공감 조절에 활용한 사례들을 살펴본다. |
13 | 공감의 미래 : 인간-로봇 상호작용과 감정을 가진 AI I (Future of Empathy – Human – Robot interaction and emotional AI I) | 13-1 | 디지털 커뮤니케이션과 정서 (Emotion in Digital communication) | - |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은 인간의 감정표현과 전달을 어떻게 바꾸어 놓았는지 알아본다. |
13-2 | SNS를 통해 전파되는 공감 (How can empathy communicated through SNS) | - |
소셜미디어를 통해 표현되고 전달되는 공감에 대해 살펴본다. |
13-3 | 거대언어모델은 공감적일 수 있는가? (Empathy of AI Large Language Models, Agents, and others) | - |
거대언어모델과의 대화에서 발견되는 공감된 대화 양상과 그 의미를 고민해 본다. |
13-4 | 윤리적 고려사항들 (Ethical Considerations) | 퀴즈(1) |
공감 능력을 갖춘 인공지능의 개발과 관련해 제기되는 여러 윤리적 쟁점들을 살펴본다. |
14 | 공감의 미래 : 인간-로봇 상호작용과 감정을 가진 AI II (Future of Empathy – Human – Robot interaction and emotional AI II) | 14-1 | 인간-로봇 상호작용에서 감정 (Emotion in Human-Robot interaction) | - |
인간-로봇 상호작용에 있어 감정의 역할과 그 표현, 전달 방식을 살펴본다. |
14-2 | 공감하는 로봇을 만드려는 시도 (Attempts to make the robot empathic) | - |
여러 휴머노이드 로봇들과, 반려 로봇들을 통해 인간과 정서적 교류가 가능한 로봇을 만들려는 기존의 시도들을 살펴본다. |
14-3 | 로봇은 공감적일 수 있는가: 인간-로봇 상호작용의 관점 (How can robot be empathic : HRI perspectives) | - |
인간-로봇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과연 공감하는 로봇이 가능한지 논의한다. |
14-4 | 로봇을 향한 공감 (Empathy toward robot) | 퀴즈(1) |
인간의 독특한 특성인 의인화 경향과, 그로 인해 로봇에 대해 느끼는 공감에 대해 알아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