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기관 목록
강좌소개
강좌 소개
홍보/예시 영상
강좌 운영 계획
| 주차 | 주차명 (주제) |
주차별 학습 목표 | 차시명 |
|---|---|---|---|
| 1 | 한반도 분단과 극복 과제 | 한반도의 분단 역사와 원인을 살펴보고 오늘날 한국민들이 통일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통일 후 과거 청산은 어떻게 해야 할지 알아본다. | |
| 한반도 분단의 시작 | |||
|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 |||
| 통일에 대한 한국민의 인식 | |||
| 독일의 통일 후 과거 청산 논쟁 | |||
| 독일 통일 후 과거 청산 실태 | |||
| 한반도 통일 후 과거 청산 방안 | |||
| 2 | 통일의 조건과 방안 | 북한체제의 변화와 가능성, 지속성에 대해 살펴보고, 남북한의 바람직한 통일 방안이 무엇인지, 독일의 사례를 통해서 시사점을 찾아본다. | |
| 북한체제의 변화와 지속성 | |||
| 북한정권의 속성 | |||
| 남북한의 통일방안 | |||
| 동독 체제의 붕괴 | |||
| 독일통일의 완성 | |||
|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의 입장 | |||
| 3 | 독일의 신동방정책 | 독일의 2가지 통일방안을 알아보고, 브란트 정부가 추진한 신동방정책과 동서독 간의 관계변화에 대해 살펴본다. | |
| 아데나워 정부의 통일방안 | |||
| 브란트 정부의 통일방안 | |||
| 동서독 정상회담 | |||
| 동서독 경제교류 | |||
| 교역의 촉진요인과 장애요인 | |||
| 신동방정책의 국제적 환경 | |||
| 4 | 한국의 햇볕정책 | 김대중 정부가 추진한 햇볕정책 이후 남북한 간에 증가하게 된 경제협력에 대해 살펴본다. | |
|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 | |||
| 남북정상회담 | |||
| 경제협력의 활성화 | |||
| 남북한 교역 | |||
| 개성공단 | |||
| 금강산 관광 | |||
| 5 | 동서독 접경의 갈등과 협력 | 동서독의 접경지역에서 발생한 갈등과 협력에 관해 알아본다. | |
| 전단살포의 배경 | |||
| 전단의 내용과 살포중단 | |||
| 동서독 도시 자매결연 | |||
| 자매결연의 특징과 한계 | |||
| 도시 교류협력의 성과 | |||
| 녹색띠 평화공원 | |||
| 6 | 남북한 접경 갈등과 협력 | 접경협력의 개념과 유형, 협력 사례, 한계에 대해 살펴본다. | |
| 접경협력의 개념 | |||
| 접경협력의 유형 | |||
| 접경협력의 방안과 한계 | |||
| 남북한 접경 협력 | |||
| 대북전단 살포 | |||
| DMZ 평화공원 조성방안 | |||
| 7 | 남북한 인적 교류와 인도적 지원 | 남북한 인적 교류, 사회문화 분야의 교류, 인도적 지원의 사례, 남남갈등에 대해 살펴본다. | |
| 남북한 인적교류의 계기 | |||
| 분야별 사회문화 협력 | |||
| 사회문화 협력의 한계 | |||
| 대북 인도적 지원 | |||
| 인도적 지원의 한계 | |||
| 남남갈등 | |||
| 8 | 북핵문제와 대북제재 | 북한 핵개발이 한반도와 세계평화에 미치는 영향, 북핵 해결 노력, 향후 전망에 대해 살펴본다. | |
| 핵보유의 동기 | |||
| 국제 핵확산 방지 레짐 | |||
| 제1차 북핵위기와 제네바 협약 | |||
| 제2차 북핵위기와 6자회담 | |||
| 북한의 핵실험 | |||
| 대북제재의 효과 | |||
| 9 | 유럽의 대북정책 | 유럽연합의 대북정책, 스위스와 스웨덴의 인도적 지원, 평화 중재 노력을 살펴본다. | |
| 유럽연합의 대북전략 | |||
| 유럽연합의 인도적 지원 | |||
| 유럽연합과 북한의 수교 | |||
| 유럽중립국의 대북정책 | |||
| 스위스의 인도적 지원 | |||
| 스웨덴의 평화 중재 | |||
| 10 | 통일독일의 내부통합과 시사점 | 독일 통일 이후 정치, 경제, 사회 분야의 통합 과정에서의 후유증과 통일 비용을 살펴보고 남북한 통일의 준비과제에 대해 알아본다. | |
| 통일 후유증 | |||
| 경제통합 | |||
| 통일비용 | |||
| 사회통합 | |||
| 정치통합 | |||
| 한반도 통일의 준비과제 |
강좌운영팀 소개
교수자
![]() |
고상두 교수
· 소속 연세대학교 지역학협동과정 · 학력 베를린 자유대학교 정치학 박사 · 연구분야 지역정치 |
|---|
강좌지원팀
![]() |
손수현 TA
· 소속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K학술확산연구센터 · 학력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정치학과 석사 과정 k-academy@inha.ac.kr |
|---|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정보
| 과제명 | 퀴즈 | 출석 | 총점 |
|---|---|---|---|
| 반영비율 | 80% | 20% | 100% |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이 강좌는 유익한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교재 및 참고문헌
별도의 참고 교재는 없습니다. 학습자료가 제공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강좌 교재가 따로 있나요?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