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itizenship and Nationhood in Korea Ongoing Certificate
-
Citizenship and Nationhood in Korea
-
Field Social (Law)
Operating Institute Operating Institute INHA Center of K-Academic expansion project Go to the operating agency Opens new window
Week Week 10 Week
Course Registration Period Course Registration Period 25.03.01 ~ 26.02.28
Phone Number Phone Number 032-860-8267
-
Difficulty Difficulty intermediate
Certificate Certificate Issuance
Learning recognition time Learning recognition time 13Hour 00Minute (17Hour 11Minute)
Course Duration Course Duration 25.03.01 ~ 26.02.28
Subtitle language 한국어 Others 2ea Subtitle language
Course language 한국어(ko)
-
List of participating institutions
Course Introduction
강좌 소개
홍보/예시 영상
강좌 운영 계획
주차 | 주차명 (주제) |
주차별 학습 목표 | 차시명 |
---|---|---|---|
1 | 시민권이란, 민족이란 | 시민권과 네이션의 개념에 대해 알아본다. | |
시민권이란, 네이션이란 | |||
시민권이란 무엇인가 | |||
시민, 국민, 공민, 인민 | |||
Nation은 무엇을 뜻하는가 | |||
Nation을 바라보는 세가지 관점 | |||
동아시아와 한국의 민족 관념 | |||
2 | 한인은 어떻게 대한민국 국민이 되었는가 | 한인이 어떻게 대한민국 국민으로 규정되는지 시대적 흐름에 따라 살펴본다. | |
태어나면서 대한민국 국민인 사람들, 그 국적 취득의 근거는? | |||
대한제국의 신민(臣民)에서 대한민국의 국민으로 | |||
미군정기의 국민 정의 | |||
북한인의 국적을 통해 본 대한민국 국적 | |||
해방 전 사망한 사람은? 해방 전 외국 국적을 취득한 사람은? | |||
한인은 어떻게 대한민국 국민이 되었는가? | |||
3 | 국민과 동포 :네이션과 국가의 경계는 어디까지인가 | 지구촌 전역에 거주하는 한인(재외동포)과 관련한 용어, 법제, 현황 등에 대해 살펴본다. | |
지구촌 코리언, 어디에, 얼마나 | |||
재외동포를 나타내는 용어들 | |||
국민과 동포 사이에서 | |||
재외동포정책과 재외동포 지위의 법제화 | |||
재외동포 현황 | |||
국민을 넘어 동포로, 국가에서 네이션으로 | |||
4 | 대한민국 국민이 되려면 | 대한민국 국민을 규정하는 법적 근거와 국민이 되는 경로, 요건 등에 대해 살펴본다. | |
국민을 만드는 법적 근거와 국민이 되는 길 | |||
태어나면서 국민이 되려면 | |||
국적의 후천적 취득 | |||
귀화와 국적회복의 현황 | |||
개방적 국적제도를 위한 토론 | |||
대한민국의 국민이 되는 사람은? | |||
5 | 국민과 외국인의 권리와 의무 | 국민과 외국인의 기본권과 법적 지위에 대해 살펴본다. | |
인권과 기본권 | |||
국민의 헌법상 권리와 의무 | |||
외국인의 헌법상 지위 | |||
재한외국인 현황 | |||
외국인도 누리는 시민적 권리(CIVIL RIGHTS, 자유권) | |||
권리를 실현하기 위한 권리: 청구권적 기본권 | |||
6 | 국내 거주 외국인과 해외 거주 국민은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가 | 외국인의 기본권 중에서 정치적 권리 즉 참정권과 사회적 권리에 대해 살펴본다. | |
노동시장의 외국인과 그들의 권리 | |||
난민의 보호와 난민의 권리 | |||
참정권은 국민만의 권리인가? | |||
외국인의 사회적 권리 | |||
다문화가족에 대한 지원 | |||
시민권의 지평 | |||
7 | 여러 나라의 국민이 된다면 | 이중국적, 복수국적의 개념과 의미, 경로, 문제점 등에 대해 알아본다. | |
이중국적, 복수국적: 개념과 경로 | |||
사람들은 복수국적을 어떻게 바라보며, 복수국적은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 |||
세계는 복수국적을 어떻게 취급해왔고,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가 | |||
복수국적과 국제관계: 몇 가지 쟁점 | |||
대한민국은 복수국적을 어떻게 취급하는가 | |||
여러 나라의 국민이 된다면 | |||
8 | 국적을 잃는다는 것 | 국적을 잃는 사유, 법적 규제, 무국적자의 현황과 발생 배경 등에 대해 살펴본다. | |
국적을 잃는 경위 | |||
국적상실에 대한 규제 | |||
무국적이란 무엇이며, 왜 문제가 되는가 | |||
무국적의 현황과 발생 배경 | |||
무국적자의 처우와 무국적 방지를 위한 노력 | |||
국적을 잃는 것과 국적을 가지지 않는 것은 | |||
9 | 보완적 논의 | 초국경 국민과 초국가적 네이션에 대해 알아본다. | |
초국경 국민(transborder citizens)이란? 초국가적 네이션(transnational nation)이란? | |||
초국경 정치참여와 정치적 초국가성 | |||
한국의 초국가적 네이션 | |||
초국가적 네이션 창출의 세계적 현황 | |||
Rules of Engagement | |||
초국경 국민과 초국가적 네이션 | |||
10 | 미래 한국의 시민권과 네이션 | 시민권과 네이션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살펴본다. | |
시민권과 네이션: 개념 다시 보기 | |||
시민권과 네이션: 한국의 현황 다시 보기 | |||
시민권의 변용: 포스트내셔널 시민권이 도래하고 있는가 | |||
내셔널리즘과 멤버십 정치의 현대적 양상 | |||
한국은 어떤 도전에 직면하고 있는가 | |||
강좌를 마치며 |
강좌운영팀 소개
교수자
![]() |
이철우 교수
· 소속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학력 런던정치경제대학교 법학 박사 · 연구분야 법학 |
---|
강좌지원팀
![]() |
손수현 TA
· 소속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K학술확산연구센터 · 학력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정치학과 석사 과정 k-academy@inha.ac.kr |
---|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정보
과제명 | 퀴즈 | 출석 | 총점 |
---|---|---|---|
반영비율 | 80% | 20% | 100% |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이 강좌는 유익한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교재 및 참고문헌
별도의 참고 교재는 없습니다. 학습자료가 제공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강좌 교재가 따로 있나요?
없습니다.
Field Social (Law)
Difficulty Difficulty intermediate
Operating Institute INHA Center of K-Academic expansion project Go to the operating agencyOpens new window
Certificate Certificate Issuance
Week Week 10 Week
Learning recognition time Learning recognition time 13Hour 00Minute (17Hour 11Minute)
Course Registration Period Course Registration Period 25.03.01 ~ 26.02.28
Course Duration Course Duration 25.03.01 ~ 26.02.28
Phone Number Phone Number 032-860-8267
Subtitle language 한국어 Others 2ea Subtitle language
Course language 한국어(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