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좌소개

    | 수업내용 / 목표

    이 강좌는 조선시대를 이끌어 간 역사적 인물들의 삶과 활동을 다시 찾아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정도전, 태종, 세종, 조광조, 조식, 이순신, 류성룡, 인조, 소현세자와 효종, 영조, 정조, 박지원, 흥선대원군 등 조선시대 왕에서부터 혁명가, 장군, 학자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물상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이 강좌는 KBS TV 「역사저널」에서 만나보았던 신병주 교수의 강의를 비롯하여, 학습자들의 이해를 돕고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참고영상을 제공하며, 학습 내용 중 특이한 사항 또는 부연 설명이 필요한 부분은 별도의 자료를 통한 설명 등으로 다채롭게 구성하였습니다. 또한 강좌운영 중 개별 답사를 통해 다양한 역사 공간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 강좌의 수강생들은 역사의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는 건국대학교 신병주 교수의 강의를 통해 좀 더 생생하고 흥미롭게 역사에 접근할 수 있을 것입니다. 나아가 조선시대 인물들의 행적이 갖는 역사적 의미와 현대적 의미를 연결시킬 수 있는 통찰력을 키울 수 있게 될 것입니다.

    | 홍보영상

    강좌 운영 계획

    본 강좌는 13개 주제를 다루며, 퀴즈, 중간고사, 기말고사(대체 과제)를 포함하여 총 15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차 주차명 차시명
    1 정도전, 조선 건국의 설계자 1.1. 고려말의 혁명가 정도전
    1.2. 조선의 건국과 한양의 풍경들
    1.3. 정도전의 민본사상과 최후의 장면
    1.4. 참고자료
    2 태종, 왕권의 나라를 열다 2.1. 태종, 킬러본능을 보이다
    2.2. 태종의 왕권강화 정책
    2.3. 세종의 즉위는 태종의 작품
    2.4. 퀴즈
    2.5. 참고자료
    3 세종, 함께하는 정치의 모범 3.1. 세종시대의 정신 : 자주·민본·실용
    3.2. 세종 시대의 폭넓은 인재등용
    3.3. 학문 중심 기구 집현전의 설치
    3.4. 참고자료
    4 조광조, 미완의 개혁가 4.1. 사화(士禍)의 시대와 조광조
    4.2. 조광조의 개혁 정치와 주요 내용
    4.3. 개혁 정치의 좌절과 기묘사화
    4.4. 퀴즈
    4.5. 참고자료
    5 조식, 칼을 찬 선비 5.1. 영남학파의 양대 산맥, 이황과 조식
    5.2. 실천을 중시한 학자
    5.3. 조정을 진동시킨 상소문
    5.4. 참고자료
    6 이순신, 난중일기를 통해 보다 6.1. 준비된 장군 이순신
    6.2. 전쟁 상황과 이순신의 활약
    6.3. 난중일기 속 진솔한 장군의 모습
    6.4. 퀴즈
    6.5. 참고자료
    7 류성룡, 징비록을 저술하다 7.1. 징비록을 집필한 까닭
    7.2. 징비록과 임진왜란의 극복
    7.3. 징비록 속 류성룡과 이순신
    7.4. 참고자료
    중간 시험
    8 인조, 두 번의 호란을 겪다 8.1. 인조반정과 정묘호란
    8.2. 1636년 12월 병자호란
    8.3. 삼전도의 굴욕
    8.4. 참고자료
    9 소현세자와 효종, 북학의 길과 북벌의 길 9.1. 심양으로 간 소현세자와 의문의 죽음
    9.2. 소현세자 가족사의 비극
    9.3. 효종과 북벌
    9.4. 퀴즈
    9.5. 참고자료
    10 영조, 조선 중흥의 길을 열다 10.1. 영조의 즉위와 탕평책ㆍ균역법
    10.2. 사도세자의 비극
    10.3. 영조시대의 정치와 문화
    10.4. 참고자료
    11 정조, 죄인의 아들 왕이 되다 11.1. 정조의 즉위와 규장각
    11.2. 정조의 화성 건설
    11.3. 경제ㆍ문화의 르네상스를 열다
    11.4. 퀴즈
    11.5. 참고자료
    12 박지원, 열하일기에 새로운 세상을 담다 12.1. 북학파의 리더 박지원
    12.2. 열하일기를 쓰기까지
    12.3. 열하일기 속에 나타난 북학사상
    12.4. 참고자료
    13 흥선대원군, 왕의 아버지 전성시대를 열다 13.1. 흥선대원군의 집권과정
    13.2. 내정과 경복궁 중건 사업
    13.3. 두 번의 양요(洋擾)와 국방정책
    13.4. 퀴즈
    13.5. 참고자료
    기말 시험(대체 과제)
    강좌 운영팀 소개

    | 교수자

    3J5Enn9i9aGlXmt-WbC9xUAzCx9h4ArTglDPqAxIFFquhtjXQrZLwMyeOJewxTm5H_Yg-nwmS845XsSvUPXR0zkphjE_eNhdviGxo6_lIUipWRI1EoULj3VrqC6dfc2LCW688Uk-T8I-GZ6Hac10SA.webp

    신병주 교수

    학력 : 서울대학교 국사학 박사
    현) 건국대학교 사학과 교수
    현) 서울 역사박물관 운영위원
    현) KBS, EBS 역사프로그램 자문
          KBS2 「역사저널 그날」(2013~2016),
          팟캐스트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2013~2014),
          JTBC「차이나는 클라스」(2018~2022) 등 출연

    | 강좌지원팀

    학습 지원

          류인상 조교 | 건국대학교 사학과
          염정헌 조교 | 건국대학교 사학과

    운영 지원

          건국대학교 교수학습센터 | E-mail: konkukmooc@konkuk.ac.kr

    강좌 수강 정보

    | 이수/평가정보


    평가유형 성적반영여부
    (점수가중치)
    평가횟수
    (평가시기)
    평가 내용 및 방법
    퀴즈 48% 6회 1회 퀴즈 당 객관식 4문항이 출제, 퀴즈에 참여 여부를 통해 강의 수강 여부를 판단함
    중간고사 24% 1회 정답률을 합격으로 판단함
    기말고사
    (대체과제)
    28% 1회 주제에 적합한 과제 제출 여부를 평가함
    이수기준 - - 총점 100점 중 60점 이상 획득한 경우 강좌 이수 인정


    이수기준: 총점 60점

    평가기준: 퀴즈 48%, 중간고사 24%, 기말고사(대체 과제)28%

    퀴즈는 해당 주차(2, 4, 6, 9, 11, 13주차) 별로 총 6회 시행됩니다. 1회 퀴즈 당 객관식 4문항이 출제되며, 지난 2주간의 강의내용을 중심으로 출제됩니다.

    중간고사는 객관식 8문항으로, 강의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내용으로 제시됩니다. 중간고사 시행 일자는 4월 23일(수)로 하루 동안만 진행됩니다.

    기말고사(대체 과제)는 '답사리포트'이며, 강의와 관련된 역사 현장을 답사한 후 A4 용지 3~5매 분량의 답사기행문을 제출합니다. 역사적 현장을 방문한 뒤 답사지 선정 이유, 답사지와 강의 주제와의 연관성, 답사지 소개 및 느낀점 등을 적어보고 답사지에서 찍은 자신의 사진을 함께 첨부하는 과제입니다. (* 사진 첨부가 불가할 경우 답사지 입장권 등 대체 첨부 가능)

    평가기준 60점 이상을 획득하면 이수증이 발급됩니다.

    |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이 강좌를 듣기 위해 미리 수강해야 하는 과목은 따로 없습니다. 조선시대를 이끌어간 역사적 인물들의 삶과 활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폭넓은 역사적 지식을 쌓고 싶은 모든 사람들에게 추천합니다.

    | 교재 및 참고문헌

    이 강좌를 듣기 위해 따로 준비해야 하는 교재는 없습니다. 매 주차 참고자료를 제시하고 있으니 예습/복습 및 강좌의 폭넓은 이해를 위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분야 사회 (사회과학)

    난이도 교양

    운영기관 건국대학교

    이수증 발급

    주차 18 주

    학습인정시간 16시간 48분 (08시간 01분)

    수강신청기간 25.02.24 ~ 25.04.19

    강좌운영기간 25.03.04 ~ 25.06.20

    전화번호 02-450-3900

    자막언어 -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