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의소개 - Course Description

     

    강좌소개

    이 수업은 K-Culture, 즉 한국문화 안에 한국 사상이란 무엇인가를 탐구하는 수업입니다.
    근래에는 K-Pop, K-드라마 뿐 아니라 한국의 전통 양식 또는 한국의 건축, 한국의 디자인마저도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 수업에서 말하는 K-Culture는 한국영화 그리고 또 여러분들이 좋아하는 한국 드라마, K-Pop, 한국식 템플스테이 등 오늘날 유행하는 한국문화 콘텐츠 전반에 한국 전통 사유가 어떻게 들어가 있을까요.

    K-Culture의 가치들은 한국의 유교, 불교, 도교의 전통적 가치들로부터 출발합니다.

    20세기 초 일제강점기 그리고 근현대사를 같이 다루고 있는 드라마 ‘파친코’에서 주인공 선자는 그리고 그 선자의 남편 이삭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우리 아이들이 사는 세상은 지금과 달라졌으면 좋겠어. 자기 몸의 윤곽을 똑바로 알고 살았으면 좋겠어.” 이렇게 말이죠.
    여기서 윤곽이라는 말은 굉장히 중요한 단어로 쓰여집니다. 저는 그 윤곽이라는 단어를 한국인의 정체성이라고 해석하고 싶습니다.

    이 수업의 목표는 바로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여전히 남아있지만, 물과 공기와 같아서 알 수 없었던 한국의 전통적 사유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그 전통적 사상들이 오늘날 한국문화 안에서 어떻게 담겨있는가를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학습목표

     오늘날 K-Culture에 대한 세계적 관심도 높아지고, 그에 따른 문화적 수요도 확산되고 있다. 한국 문화 콘텐츠 안의 한국의 원형적 사유는 무엇일까? 본 강좌는 오랜 시간 전승되어 온 한국의 유교 불교 도교의 사상과 문화를 오늘날의 K-Culture와의 연관성 속에서 구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목표가 있다.

     

    홍보영상


     

     

    강의계획서

    주차 주차명 차시명
    1 한국사상과 문화 그리고
    정체성
    1-1. 강의소개
    1-2. 한국사상과 오리엔탈리즘
    1-3. 동아시아 한자문화와 한국사상
    2 단군신화의 홍익인간과
    풍류도
    2-1. BTS 및 아이돌의 아름다운 가사와 풍류도
    2-2. 단군이야기(1)
    2-3. 단군이야기(2)
    3 원효의 화쟁론과
    무애행(無碍行)
    3-1. 원효의 상징성
    3-2. 원효의 일심사상
    3-3. 원효의 무애행(無碍行)
    4 지눌의 정혜쌍수 그리고
    한국불교의 수행 문화
    4-1. 한국불교의 수행문화
    4-2. 한국불교의 수행문화
    4-3. 지눌 돈오점수와 간화선의 오늘날 의미
    5 선비정신과 '도학' 5-1. "꺾이지 않는 마음" 역사를 지탱해온 절의 정신
    5-2. 선비정신과 도학
    5-3. 도학의 정치문화
    5-4. 선비정신과 민주적 거버넌스
    6 조선 성리학의 마음공부 6-1. 유학의 마음공부
    6-2. 이황의 [성학십도]와 마음공부
    6-3. 마음공부의 결과는 어떤 것일까?
    7 실학 그리고 서학 7-1. 실학, 정덕과 이용후생의 조화-인륜을 품은 산업
    7-2. 정약용, 새로운 경학으로 새 세상을 꿈꾸다
    7-3. 서학의 수용과 충돌
    8 중간고사
    9 훈민정음의 철학과
    인간론
    9-1. 훈민정음은 주역과 관련이 있다던데?
    9-2. 훈민정음은 왜 만들었을까? 최만리는 왜 반대했을까?
    9-3. 초성: 음양오행, 자연의 이치를 형상화하다
    9-4. 중성: 사람, 규정할 수 없는 존엄한 존재
    10 철학을 담은 국기,
    '태극기' 이야기
    10-1. 역사 속의 태극문양의 해석
    10-2. 태극 1: 자연의 리듬
    10-3. 태극 2: 태극이 알려주는 삶의 양식
    10-4. 태극 3: 고귀하고 떳떳한 삶의 표준
    10-5. 태극기에 담긴 한국사상을 요약하면
    11 양명학 11-1. 영화<남한산성>과 양명학
    11-2. 조선의 양명학과 강화학
    11-3. 정인보의 실(實)의 철학
    12 조선 도가사상과
    조선후기 민간도교
    12-1. 조선후기 민간도교신앙
    12-2. 조선후기의 관우신앙
    12-3. 조선후기의 도가사상
    13 동학과 대종교 13-1. 동학의 탄생
    13-2. 동학의 인내천 사상
    13-3. 영화 암살(2015) 그리고 대종교의 저항정신
    14 남한과 북한 그리고 K철학 14-1. 19-20세기 남북한 한국사상의 갈림길
    14-2. 북한의 유교연구(율곡연구)
    14-3. K철학의 가능성에 대해
    15 기말고사

     

     

     

    강의소개 - Course Description

     

    ○ 수강대상
     - 전 연령대가 학습할 수 있는 콘텐츠
     - 국내외 K-Culture에 관심이 있는 학생과 외국인
     - 미디어 속에 한국 사상에 대해 알고자 하는 일반인과 외국인
     - 초, 중, 고등학교 학생 및 윤리, 역사, 사회 교사
     - 문화유산 해설 관련 종사자

     

    ○ 수업구성
     - 동영상 강의, 퀴즈, 과제, 토론, 중간/기말고사

     

    ○ 평가기준
     - 과제1(퀴즈) 40%, 과제(탐구) 20%, 중간고사 20%, 기말고사 20%

     

    ○ 이수증 발급기준
     - 전체 점수 중 평가기준 60% 이상 달성한 학습자

     

     

    강의소개 - Course Description

     

    교수 소개

    김윤경
    김윤경

    - 인천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 박사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 석사
    -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 학사
    -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
    - 런던대학교 SOAS 한국학연구원 박사후연구원
    -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
    - 숭실대학교, 국민대학교, 덕성여대학교 시간강사

     

    이선경

    이선경 
    - 현)인천대학교 윤리교육과 강사
    - 현)조선대학교 철학과 초빙객원교수
    - 현)한국주역학회 회장
    - 현)한국사상연구원 총무이사·행정대표
    - 전)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철학연구소 연구원
    - 전)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한국주역대전>편찬 팀장

     

     

    TA 소개


    안효빈 TA 
    주요 경력 및 학력사항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 학사 및 동대학원 석사졸업 
    -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과 석사 졸업
    - 인천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 박사과정 재학 중
    - 인천장서초등학교 교사
    이메일 : myviny98@gmail.com

    분야 인문 (인문과학)

    난이도 교양

    운영기관 인천대학교

    이수증 발급

    주차 15 주

    학습인정시간 15시간 30분 (08시간 27분)

    수강신청기간 25.02.14 ~ 25.06.16

    강좌운영기간 25.03.04 ~ 25.06.16

    전화번호 032-835-9597

    자막언어 한국어 외 1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