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기관 목록
-
통일과 보건의료
통일 전 남북의 보건 상황과 실태를 파악하고 보건 및 통일 분야에 인식을 파악하고 통일 분야에서의 보건의료분야가 체계적으로 교육되고 인식을 증대하기 위한 강좌로 구성되며 「한반도 건강공동체의 이해」, 「한반도 건강공동체와 보건의료인의 역할」, 「한반도 건강공동체와 보건의료의사소통」으로 구성됨
총 주차 31 강좌 수 3
강좌소개
학습목표
- 남북한 간 보건의료소통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남한어와 구별되는 북한어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북한주민의 고유한 언어적 특징을 이해하고 수용적 태도를 함양한다.
- 북한주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임상현장에서 북한주민의 의사소통할 수 있다.
강의계획서
주차 | 주차명 | 학습 목표 | 교수자 |
1 | 남북한 보건의료 의사소통, 왜 필요할까? | 북한보건의료실태, 남한에서의 북한이탈주민의 진료현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남북한 보건의료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져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이도영 |
2 | 남북한 언어 차이와 의사소통의 이해 | 남북한 언어의 고유한 특징과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협력방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이도영 |
3 | 남북한 보건의료용어 비교: 분야별 특성 | 보건의료 각 분야에서 남북한 용어를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 김희숙 |
4 | 상황별 의료소통의 실전(1): 외래 | 임상현장(외래)에서 사용되는 주요 북한어를 이해하고 북한주민과 원활하게 의사소통 할 수 있다. | 김희숙 |
5 | 상황별 의료소통의 실전(2): 입원, 퇴원, 전원 | 임상현장(입원안내, 퇴원준비)에서 사용되는 주요 북한어를 이해하고 북한주민과 원활하게 의사소통 할 수 있다. | 김희숙 |
6 | 상황별 의료소통의 실전(3): 검사 안내 | 임상현장(검사안내)에서 사용되는 주요 북한어를 이해하고 북한주민과 원활하게 의사소통 할 수 있다. | 김희숙 |
7 | 중간고사 | ||
8 | 북한이탈 주민과의 증상별 의료회화(1): 소화기계 | 임상현장(소화기계 )에서 사용되는 주요 북한어를 이해하고 북한주민과 원활하게 의사소통 할 수 있다. | 유수영 |
9 | 북한이탈 주민과의 증상별 의료회화(2): 호흡기 | 임상현장(호흡기계)에서 사용되는 주요 북한어를 이해하고 북한주민과 원활하게 의사소통 할 수 있다. | 유수영 |
10 | 북한이탈 주민과의 증상별 의료회화(3): 정신심리 | 임상현장(정신심리)에서 사용되는 주요 북한어를 이해하고 북한주민과 원활하게 의사소통 할 수 있다. | 유수영 |
11 | 북한이탈 주민과의 증상별 의료회화(4): 산부인과, 비뇨기계 | 임상현장(산부인과)에서 사용되는 주요 북한어를 이해하고 북한주민과 원활하게 의사소통 할 수 있다. | 김희숙 |
12 | 북한이탈 주민과의 증상별 의료회화(5): 소아 | 임상현장(소아)에서 사용되는 주요 북한어를 이해하고 북한주민과 원활하게 의사소통 할 수 있다. | 김희숙 |
13 | 북한이탈 주민과의 증상별 의료회화(6): 일반증상 | 임상현장(일반증상)에서 사용되는 주요 북한어를 이해하고 북한주민과 원활하게 의사소통 할 수 있다. | 유수영 |
14 | 환자교육 및 상담 | 임상현장(교육 및 상담)에서 사용되는 주요 북한어를 이해하고 북한주민과 원활하게 의사소통 할 수 있다. | 유수영 |
15 | 기말고사 |
평가방법
과제명 | 퀴즈 | 토의 | 평가 |
반영비율 | 30% | 30% | 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