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강의실

최근 수강강좌 목록

현재 진행중인 강좌(청강제외)만 출력됩니다.

최근접속순 최대 10개 강좌만 표시됩니다.

K-MOOC
K-MOOC 학점은행제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한국어
  • 한국어
  • ENGLISH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좌 소개 Introducing the Course

    수업내용/목표 Course Objectives

    1. 한국사의 전개과정과 각 시대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Students will be able to explain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in Korean history.
    2. 한국사의 흐름을 세계사·동아시아와 비교할 수 있다. Students may compare the trajectory of Korean history with that of world history.
    3. 한국사의 보편성을 토대로 세계 공유가치를 모색할 수 있다. Students will identify shared values rooted in the universal aspects of Korean history.

    홍보/예시 영상 Promotional Video

    강좌 운영 계획 Course Plan

     

     

    주차

    Week

    주차명

    Weekly Title

    차시

    Session

    차시명

    Session Title

    1

    한국사의 시작과 고대국가의 성립

    Beginning of Korean History and the Formation of Ancient Kingdoms

    1-1

    (도입)한국사의 시작과 국가 형성 Beginning of Korean History and the Formation of Ancient Kingdoms

    1-2

    한국 선사시대의 사회와 문화 The Society and Culture of Korean Pre-historic Time of Korea

    1-3

    초기 여러 나라의 사회와 문화 The Society and Culture of Early States

    1-4

    삼국과 가야의 성립과 발전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Three Kingdoms and Kaya

    1-5

    삼국과 가야의 문화 The Culture of the Three Kingdoms and Kaya

    1-6

    (소결)선사시대에서 삼국시대로 From Prehistoric Times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2

    고대국가의 분열과 통합

    Division and Unification of the Ancient Kingdoms

    2-1

    (도입)고대국가의 분열과 통일 Division and Unification of the Ancient Kingdoms

    2-2

    동아시아 국제전쟁과 고대국가의 재편 War in East Asia and Re-organization of the Ancient Kingdoms

    2-3

    남북국시대의 성립과 발전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Northern-Southern States Period

    2-4

    남북국시대의 대외교류와 문화 Foreign Exchanges and Culture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States Period

    2-5

    후삼국 분열과 남북국시대의 종언 Division of the Later Three Kingdoms and the End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States Period

    2-6

    (소결)분열과 통일의 역사적 의미 Historical Significance of Division and Unification

    3

    고려시대사-불교국가고려와 다원성

    Koryŏ Period : Koryŏ, the Buddhist State and Multiplicity

    3-1

    고려의 건국과 역대 국왕의 호칭 Foundation of Koryŏ and the Names of the Kings

    3-2

    고려시대의 시기구분과 정치사의 전개 Periodization and Political History in Koryŏ Dynasty

    3-3

    고려시대의 제도 Structure of Koryŏ Dynasty

    3-4

    고려시대의 신분제,가족제도,대외관계 Social Class, Family Structure, and Foreign Relations in Koryŏ

    3-5

    고려시대의 전쟁과 문화 War and Culture in Koryŏ Dynasty

    3-6

    고려시대사의 성격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Koryŏ

    4

    유교국가 조선과 유교적 안민
    Chosŏn, the Confucian state, and People’s Tranquility

    4-1

    유교국가,유교사회 The Confucian State and the Confucian Society

    4-2

    덕과 천명,새로운 질서 Virtue, Mandate of Heaven, and the New Order

    4-3

    세제 개혁과 항산(恒産) Tax Reform and 'Constant Livelihood'

    4-4

    보덕과 항심의 유교적 관료제 Confucian Bureaucracy of 'Assisting Virtue' and 'Constant Heart'

    4-5

    유교사회로의 전환 Transition to the Confucian Society

    4-6

    유교사회의 기능적 효과 Functional Effect of the Confucian Society

    5

    17~18세기변화와 안정

    Changes and Stability in the 17~18th Century

    5-1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Introduction: the Imjin War and the Manchurian Invasion

    5-2

    전쟁과 통치체제의 정비 War and Reorganization of the Ruling System

    5-3

    대동법과 균역법 The Taedong Law and the Kyunyŏk Law

    5-4

    농촌사회의 변화 Changes in Rural Society

    5-5

    사상계의 동향 Movement of Ideas

    5-6

    17세기이후 조선 사회의 변화상 Conclusion: Changes in the Chosŏn Society after the 17th Century

    6

    19세기를바라보는 시각 : 좌절과 연속

    Perspectives on the 19th Century: Frustration and Continuity

    6-1

    19세기개항 이전의 조선의 상황 Introduction: Chosŏn before the Opening of Ports in the 19th Century

    6-2

    탕평정치와 세도정치 The Impartiality Politics and the In-law Politics

    6-3

    신분제의 변화 Changes in the Social Class System

    6-4

    민란의 발발과 전개 Outbreak and Unfoldment of Popular Uprising

    6-5

    천주교 동학사상의 확산 Spread of Catholicism and Tonghak

    6-6

    19세기의새로운 이해 Conclusion: New Understanding of the 19th Century

    7

    민족과 민중의 탄생

    Birth of a Nation and Its People

    7-1

    (도입)서구 열강의 동아시아 진출과 개항 Western Powers' Advance into East Asia and the Opening of Ports

    7-2

    개화파의 성장과 갑신정변 The Growth of the Enlightenment Party and the Kapsin Coup d’État (Kapsinjŏngbyŏn)

    7-3

    동학농민전쟁과 갑오개혁 Tonghak Peasant War and the Kabo Reforms

    7-4

    독립협회 운동과 대한제국의 수립 Activities of the Independence Club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Empire

    7-5

    대한제국의 개혁과 좌절 Reforms and Failures of the Korean Empire

    7-6

    (소결)일본의 한국병합과 무단통치의 시작 Japan's Annexation of Korea and Beginning of Military Colonial Rule

    8

    식민지 조선의 독립과정

    Independence Process of Colonial Chosŏn

    8-1

    (도입)일제의 식민지배와 토지조사사업 Japanese Imperialism and Land Survey Project

    8-2

    3.1운동과대한민국임시정부의 성립 March First Movement and Establishment of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8-3

    사회주의운동의 성장과 신간회 결성 The Development of Socialist Movement and Formation of Sin'ganhoe

    8-4

    국외 항일무장투쟁의 전개와 통일전선운동의 성립 Oversea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and the National United Front Movement

    8-5

    연합국 선언과 한국의 해방 The Declaration of Allied Powers and the Liberation of Korea

    8-6

    (소결)정부수립의 준비과정 Preparation for the Formation of Government

    9

    냉전·분단시대의한국

    Korea in the Era of Cold War and Division

    9-1

    (도입)일본의패전과 8·15해방 Japan's Defeat and the Liberation on August 15th

    9-2

    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노력들 Efforts to Establish a Unified Government

    9-3

    6·25전쟁의발발과 분단의 고착화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nd the Process of Permanent Division

    9-4

    1950년대전후 한국사회의 모습 Korean Society in the 1950s

    9-5

    이승만 독재와 4월혁명 The Dictatorship of Yi Sŭngman(Rhee Syngman) and the April Revolution

    9-6

    (소결)냉전·분단시대의시작과 한국사회의 변화 The Beginning of the Cold War-Division Period and Change of Korean Society

    10

    한국의 군사독재와 민주화운동

    Military Dictatorship and Democratization Movement in South Korea

    10-1

    (도입)5·16군사쿠데타와군사정권의 등장 May 16 Military Coup d'État and the Military Regime that Emerged

    10-2

    한일협정비준 반대투쟁과 삼선개헌 반대운동 Struggle Against the Ratification of Korea-Japan Treaty and the Movement Against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for 3 times Consecutive Presidential Election

    10-3

    유신독재에 맞선 사회운동의 전개 Development of Social Movement against the Yusin Dictatorship

    10-4

    신군부의 등장과 광주시민의 저항 Emergence of the 'New Military' and the Resistance of Kwangju Citizens

    10-5

    6월민주항쟁과 민주주의의 발전 June Democratic Uprising and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10-6

    (소결)민주화를위한 노력과 민주시민의 탄생 Efforts for Democratization and the Birth of Democratic Citizens

    강좌운영팀 소개 Introducing Course Management Team

    교수자 Instructor

    강제훈 professor
    강제훈 교수 Prof. Kang Jae Hoon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Professor, Dept. of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사학과 학사 BA in History,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사학과 석사(조선전기사) MA in History (Early Chosŏn Dynasty),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사학과 박사(조선전기사) PhD in History (Early Chosŏn Dynasty), Korea University
    정호섭 professor
    정호섭 교수 Prof. Jung Ho-sub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Professor, Dept. of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학사 BA in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사학과 석사(한국고대사) MA in History (Korean Ancient History),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한국고대사) PhD in Korean History (Korean Ancient History), Korea University
    이진한 professor
    이진한 교수 Prof. Lee Jin-han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Professor, Dept. of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사학과 학사 BA in History,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사학과 석사(고려시대사) MA in History (Koryŏ Dynasty),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사학과 박사(고려시대사) PhD in History (Koryŏ Dynasty). Korea University
    송양섭 professor
    송양섭 교수 Prof. Song Yang-seop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Professor, Dept. of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BA in History Education,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사학과 석사(조선후기사) MA in History (Later Chosŏn Dynasty),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사학과 박사(조선후기사) PhD in History (Later Chosŏn Dynasty), Korea University
    유바다 professor
    유바다 교수 Prof. Yoo Bada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Professor, Dept. of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학사 BA in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석사(한국근대사) MA in Korean History (Korean Modern History),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한국근대사) PhD in Korean History (Korean Modern History), Korea University
    허은 professor
    허은 교수 Prof. Heo Eun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Professor, Dept. of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사학과 학사 BA in History,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사학과 석사(한국현대사) MA in History (Korean Contemporary History),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사학과 박사(한국현대사) PhD in History (Korean Contemporary History), Korea University

    강좌지원팀 Course Support Team

    김승미
    김동주 Kim Dong Joo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수료 PhD Candidate, Dept. of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E-mail: kddj0223@gmail.com

    강좌 수강 정보 Course Registration Information

    이수/평가정보 Completion / Assessment Information

    이수/평가정보
    과제명 Assignment퀴즈 Quiz토론 Discussion중간고사 Midterm기말고사 Final
    반영비율 Ratio50%%%50%

    ※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A certificate will be issued to students who achieve a total score of 60% or higher.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Course Level and Requirement(s)

    이 강좌는 유익한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This course includes various instructive contents.

    교재 및 참고문헌 Coursebook and Reference(s)

    이 강좌는 여러가지 참고자료가 많이 있습니다. This course includes various references.

    자주 묻는 질문 Frequently Asked Questions

    강좌 교재가 따로 있나요? Is there additional coursebook?

    네. 있습니다. Yes, there is.

    제목

    소제목

    내용

     

    미리보기

    분야 인문 (인문과학)

    난이도 교양

    운영기관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이수증 발급

    주차 10 주

    학습인정시간 1시간 12분 (12시간 33분)

    수강신청기간 24.04.01 ~ 25.12.30

    강좌운영기간 24.04.01 ~ 25.12.31

    전화번호 -

    자막언어 한국어 외 2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