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현대 한국 생활사 2 : 의식주로 보는 한국 근현대사 종료(청강) 이수증
-
근현대 한국 생활사 2 : 의식주로 보는 한국 근현대사
참여기관 목록
강좌소개

*본 강의는 대학생 정도의 수준을 갖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국 근대의 시작인 19세기 말부터 현재까지 지난 100여 년 동안 변화해 온 한국인의 일상 생활사를 의식주 문제에 초점을 맞춰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구성: 총 14주차 × 주차당 각 3차시
* 개설: 순차적 개설 - 해당 주차일에 강의가 열리며, 지나간 강의는 언제든지 볼 수 있음

주차 강좌명 1강 근대가 바꾼 한국인의외양
1)한국 근대의 시작, 갑오개혁2)옷에 대한 근대적 개혁 조치3)단발령: 한국인, 머리를 자르다 2강 식민지기의 의(衣) 생활
1)모던 보이, 모던 걸의 양장2)고무신의 등장과 정착3)식민 당국이 강제로 입힌 옷 3강 해방 후 합성섬유의 발달과 기성복의 정착
1)미국의 원조와 삼백산업의 발달2)나일론 전성시대3)의류산업의 발달과 기성복의 정착 4강 청년, 패션 유행의 선두에 서다
1)경제성장에 따른 소비문화의 발달2)청년문화의 상징, 청바지와 미니스커트3)청년문화에 대한 비판과 단속 5강 근대가 만든 한국인의 별미, 짜장면
1)한국 근대의 또 다른 시작, 개항2)화교들의 유입 및 정착3)짜장면의 탄생과 대중화 6강 박정희 정부의 혼분식 장려운동
1)식민지기와 해방 직후의 절미운동 및 식생활 개선운동2)혼분식 확산을 위한 박정희 정부의 통제 정책3)빵, 라면의 확산과 식생활의 서구화 7강 쌀 증산과 자급의 꿈, 통일벼 보급
1)미국의 녹색혁명과 한국의 식량 자급 전략2)통일벼의 탄생과 보급3)통일벼의 한계와 소멸 8강 외식의 대중화와 외식문화의 변천
1)근대 이후 요릿집의 정치적 역할2)육류 소비의 증가와 고깃집의 확산3)1980년대 스포츠 이벤트가 외식문화에 끼친 영향 9강 다방, 카페, 그리고 커피 전문점의 확산
1)커피의 유입과 보급2)다방의 다양한 기능과 역할3)카페와 커피 전문점 전성시대 10강 근대와 도시화
1)근대 이후 도시화의 양상2)도시에 들어선 여러 형태의 주택들3)농촌의 주택개량사업과 새마을운동 11강 이촌향도와 달동네 정착
1)농촌을 떠나 도시로 모여드는 사람들2)도시 하층민의 거주지, 달동네3)대규모 철거와 저항 12강 복덕방과 복부인의 등장
1)복덕방의 유례와 정착2)개발 시대 부동산 투기의 확산3)복부인의 등장과 그 의미 13강 강남 개발
1)강남 개발의 이유, “서울은 만원이다”2)강남 개발을 위한 여러 방법들3)강남 개발의 빛과 그림자 14강 아파트 공화국의 탄생
1)초기 아파트의 모습2)와우아파트 붕괴 사고와 그 영향3)대규모 아파트 단지 개발과 확산
* 평가점수 및 이수증 발급기준이수기준 : 총점 70점 이상 및 모든 동영상 출석
구분 퀴즈 14회 과제 2회 토론 4회 평가(중간) 평가(기말) 합계 점수 42점(14회*3점) 10점 8점 20점 20점 100점
수업계획서
주차 | 주차명(주제) | 차시 | 차시명(학습내용) | 평가방법 |
1 | 근대가 바꾼 한국인의 외양 | 1-1 | 한국 근대의 시작, 갑오개혁 | 퀴즈 |
1-2 | 옷에 대한 근대적 개혁 조치 | |||
1-3 | 단발령: 한국인, 머리를 자르다 | |||
2 | 식민지기의 의(衣)생활 | 2-1 | 모던 보이, 모던 걸의 양장 | 퀴즈 |
2-2 | 고무신의 등장과 정착 | |||
2-3 | 식민 당국이 강제로 입힌 옷 | |||
3 | 해방 후 합성섬유의 발달과 기성복의 정착 | 3-1 | 미국의 원조와 삼백산업의 발달 | 퀴즈 토론 |
3-2 | 나일론 전성시대 | |||
3-3 | 의류산업의 발달과 기성복의 정착 | |||
4 | 청년, 패션 유행의 선두에 서다 | 4-1 | 경제성장에 따른 소비문화의 발달 | 퀴즈 |
4-2 | 청년문화의 상징, 청바지와 미니스커트 | |||
4-3 | 청년문화에 대한 비판과 단속 | |||
5 | 근대가 만든 한국인의 별미, 짜장면 | 5-1 | 한국 근대의 또 다른 시작, 개항 | 퀴즈 토론 |
5-2 | 화교들의 유입 및 정착 | |||
5-3 | 짜장면의 탄생과 대중화 | |||
6 | 박정희 정부의 혼분식 장려운동 | 6-1 | 식민지기와 해방 직후의 절미운동 및 식생활 개선운동 | 퀴즈 |
6-2 | 혼분식 확산을 위한 박정희 정부의 통제 정책 | |||
6-3 | 빵, 라면의 확산과 식생활의 서구화 | |||
7 | 쌀 증산과 자급의 꿈, 통일벼 보급 | 7-1 | 미국의 녹색혁명과 한국의 식량 자급 전략 | 퀴즈 과제 중간평가(객관식) |
7-2 | 통일벼의 탄생과 보급 | |||
7-3 | 통일벼의 한계와 소멸 | |||
8 | 외식의 대중화와 외식문화의 변천 | 8-1 | 근대 이후 요릿집의 정치적 역할 | 퀴즈 |
8-2 | 육류 소비의 증가와 고깃집의 확산 | |||
8-3 | 카페와 커피 전문점 전성시대 | |||
9 | 다방, 카페, 그리고 커피 전문점의 확산 | 9-1 | 커피의 유입과 보급 | 퀴즈 토론 |
9-2 | 다방의 다양한 기능과 역할 | |||
9-3 | 카페와 커피 전문점 전성시대 | |||
10 | 근대와 도시화 | 10-1 | 근대 이후 도시화의 양상 | 퀴즈 |
10-2 | 도시에 들어선 여러 형태의 주택들 | |||
10-3 | 농촌의 주택개량사업과 새마을운동 | |||
11 | 이촌향도와 달동네 정착 | 11-1 | 농촌을 떠나 도시로 모여드는 사람들 | 퀴즈 토론 |
11-2 | 도시 하층민의 거주지, 달동네 | |||
11-3 | 대규모 철거와 저항 | |||
12 | 복덕방과 복부인의 등장 | 12-1 | 복덕방의 유례와 정착 | 퀴즈 |
12-2 | 개발 시대 부동산 투기의 확산 | |||
12-3 | 복부인의 등장과 그 의미 | |||
13 | 강남 개발 | 13-1 | 강남 개발의 이유, “서울은 만원이다” | 퀴즈 |
13-2 | 강남 개발을 위한 여러 방법들 | |||
13-3 | 강남 개발의 빛과 그림자 | |||
14 | 아파트 공화국의 탄생 | 14-1 | 초기 아파트의 모습 | 퀴즈 과제 기말평가(객관식) |
14-2 | 와우아파트 붕괴 사고와 그 영향 | |||
14-3 | 대규모 아파트 단지 개발과 확산 |
미리보기
강좌운영진
-
오제연 교수
[프로필]
現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학사, 석사, 박사
[주요저서]
『4월혁명의 주체들』(공저, 역사비평사, 2020)
『촛불의 눈으로 3·1운동을 보다』(공저, 창비, 2019)
『홍대앞: 서울의 문화발전소』(공저, 서울역사박물관, 2018)
『6월 민주항쟁: 전개와 의의』(공저, 한울, 2017))
『쟁점 한국사: 현대편』(공저, 창비, 2017)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1960년대』(공저, 창비, 2016)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1950년대』(공저, 창비, 2016)
『학생운동의 시대』(공저, 선인, 2013)
『4월혁명과 민주주의』(공저, 선인, 2010)
『보수주의자의 삶과 죽음』(공저, 돌베개, 2008)
-
이길중 튜터
학습지원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성균관대학교
이메일 : panzer0919@naver.com
-
진채은 직원
기술 운영지원
[성균관대학교 교육혁신팀]
이메일 : wlsco97@skku.e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