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좌 소개

    수업내용/목표

    근현대 중국의 지식인들

    근현대 중국의 지식인들 강좌를 찾아주신 학습자 여러분들을 환영합니다.

    20세기 중국 근현대 역사의 현장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한 지식인의 삶을 함께 알아보고자 합니다.

    주류 핵심 인물이나 정치 지도자 보다는 삶의 궤적이 시대의 성격을 규정하고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한 지식인들을 선정해 보았습니다.

    박제된 역사 속의 인물이 아닌 우리와 똑같이 좌절과 희망을 품고 있는 그러면서도 시대를 앞서 간 지식인들을 함께 만나봅시다.

    큰 역사의 흐름 속에서 한 사람이 어떤 선택을 하고 살았는지 살펴보며 그 속에서 탄생한 고전작품을 함께 읽어보고자 합니다.

    고전은 단순히 옛날 책을 뜻하지 않습니다.

    고전은 지금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소환되는 책입니다.

    이 강좌를 기초로 근현대 동아시아 지식인 사이의 넘나듦을 살피고 이를 통해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논의 할 수 있는 강좌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소개되기를 기대합니다.


    강좌 운영 계획

    강의계획서
    주차 주차명 파트명
    1

    <중화> 량치차오(梁啓超)

    중국의 근대를 열다

    1. 서양근대문명의 수용자 량치차오: 문명의 수입은 왜 어려운 일이었는가?
    2. 중국근대사와 겹치는 량치차오 개인의 역사
    3. 서양근대문명을 모델로 한 개혁: 변법통의
    4. 중화와 서양근대문명의 협업: 신민설
    5. 세계를 선도할 중국정치사상: 선진정치사상사
    6. 량치차오와 조선: 박은식과 신채호의 경우
    7. 인터뷰
    2

    <해방> 추진(秋瑾)

    중국여성의 자립과 해방을 추구하다

    1. 추진의 시대, 추진의 삶
    2. 태산같은 죽음, 그 후
    3. 추진을 만든 여성들
    4.추진의 페미니즘
    5. 인터뷰
    3

    <좌파> 천두슈(陳獨秀)

    20세기 중국을 열다

    1. 천두슈의 생애와 가족
    2. 천두슈의 정치적 이력
    3. 신문화운동의 지도자
    4. 5.4운동의 총사령
    5. 중국공산당 창당과 국민혁명
    6. 천두슈의 마지막 15년
    7. 인터뷰
    4

    <서구> 후스(胡適)

    영원한 자유주의자로 살다

    1. 후스의 생애
    2. 살아있는 문학을 위한 백화문 전용을 주장하다1 : '문학개량추의’
    3. 살아있는 문학을 위해 백화문 사용을 주장하다 2 : 역사적 문학관념론', ‘건설적 문학혁명론’
    4. 새로운 패러다임을 개척하다 : 『중국철학사대강』
    5. 자유를 위해 ‘용인’을 중시하다
    6. 후스에 대한 비판과 한국인과 교류
    7. 인터뷰
    5

    <사회> 리다자오(李大釗)

    청춘 중화를 꿈꾸다

    1. 짧고 강렬하게 생을 불사르다
    2. 새로운 중국의 혼란 속에서: 언치(言治)
    3. 민중에 눈을 뜨다: 유민주의(唯民主義)
    4. 중화는 부활한다: 청춘의 우주관
    5. 사회주의의 수용: 나의 마르크스 주의관
    6. 리다자오에 대한 평가
    7. 인터뷰
    6

    <노예성> 루쉰(魯迅)

    그래도 희망은 길이다

    1. 루쉰로드
    2. 적막 속에서 외치다
    3. 절망에 대한 반항
    4. 꽃을 위해 기꺼이 썩는 들풀
    5. 모로 선 전사
    6. 루쉰과 중국, 그리고 한국
    7. 인터뷰
    7

    <인민> 라오서(老舍)

    ‘라오베이징’의 상징, ‘라오바이싱’의 작가

    1. 영원한노스텔지어: 라오서와 베이징
    2. 지식인 삶의 요람: 라오서의 이국생활
    3. 전업 작가의 새 삶을 시작하다: 라오서와 『낙타샹즈』
    4. 8년 뜨거웠던 삶: 충칭에서의 라오서
    5. 인민의 역사를 담아내다: 라오서와 『찻집』
    6. 라오바이싱의 영원한 작가: 라오서의 문학적 성취와 사상
    7. 인터뷰
    중간시험
    8

    <장정> 에드가 스노(Edgar Snow)

    중국의 붉은 혁명을 세계에 알린 작가

    1. 중국의 붉은 별에 대하여, 에드가 스노의 삶과 기자정신
    2. 역사의 시공간: 중국 혁명의 대장정 속으로
    3. 붉은 중국으로 향하며
    4. 스노가 본 중국혁명
    5. 님 웨일즈의 아리랑과 장지락
    6. 인터뷰
    9

    <여성> 딩링(丁玲)

    중국 여성주의의 여정

    1. 딩링을 기억한다는 것, 딩링을 만든 것
    2. 생성되는 자본주의 그리고 여성
    3. 국가적 위기에 대응하는 자각 여성
    4. 항일이라는 과제에 대한 단상
    5. 항일 너머 추구한 세상을 위한 성찰
    6. 혁명의 실현, 중화인민공화국 건설 이후
    7. 인터뷰
    10

    <원칙> 천인췌(陳寅恪)

    '학문을 물을 뿐, 정치는 묻지 않는다'는 원칙을 견지한 사학자

    1. 세기난우의 천재, 천인췌
    2. 명문가 출신의 천인췌와 주변 사람들
    3. 살아있는 사전, 교수의 교수
    4. 정치폭풍 속의 올곧은 지식인
    5. 고전읽기[관롱집단]
    6. 고전읽기[고구려전쟁]
    7. 정리
    8. 인터뷰
    11

    <사상> 펑유란(馮友蘭)

    현대사의 격랑에 맞선 한 철학자의 삶

    1. 펑유란, 그는 누구인가?
    2. 격동하는 중국에서 펑유란의 초년시기
    3. 철학에 입문하다
    4. 철학자로서의 첫발을 내딛다.
    5. 펑유란 자신의 철학을 발휘하다. PART01, PART02
    6. 역사의 격랑에 맞서 철학자의 길을 가다.
    7. 인터뷰
    12

    <인간> 지셴린(季羨林)

    문화대혁명에 대한 한 지식인의 회고

    1. 지셴린의 삶과 학문 PART01, PART02
    2. 역사의 기록과 우붕잡억
    3. 사람과 사람이 아닌 존재
    4. 지식인의 조건과 인간다움
    5. 삶에 대한 지혜, 그냥 내버려둬라
    6. 인터뷰
    13

    <문화> 중징원(鍾敬文)

    20세기를 살아낸 어느 지식인의 이야기

    1. 중진원의 삶의 궤적
    2. 천년 동안 말라버린 바다의 노여움이 파도를 이루었기에 나도 그 물결 타고 한 세상 살았도다!
    3. 민속을 ‘연구’하다!
    4. 파도를 헤치고 앞으로 나아가다!
    5 고독한 산책자
    6. 시의 화로에 불씨를 밝히다!
    7. 인터뷰
    기말시험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정보

    이수/평가정보
    과제명 퀴즈 중간고사 기말고사
    반영비율 40% 30% 30%
    ※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강좌운영진
    • 이은상 교수

      부산대 교양교육원 교수부산대 교양필수 “고전읽기와 토론” 강좌 책임교수

    • 부산대학교 에듀테크센터

      부산대학교 K-MOOC 운영 전담부서 (051-510-3843)

    자주묻는질문

    Q 이수증은 어떻게 발급되나요?

    A 강좌종료 일시(2025년 6월 13일 23시 59분) 전에 주차별 퀴즈와 온라인 중간고사·기말고사에 응시하여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의 점수를 취득하면 이수증을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강의가 종료되기 전에 이수 조건을 충족한다면 이수증을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Q 강의를 듣고 있었는데 ‘수강중인 강좌’ 목록에서 듣던 강의가 사라졌어요.

    A 이수요건을 충족하거나 강의 운영 기간(2025년 6월 13일 23시 59분) 이후로는 수강 중이던 강의는 [내 강의실] - [종료한 강좌 수] 탭을 클릭하면 강의실 썸네일을 확인할 수 있고, 썸네일을 클릭하면 강의실에 입장할 수 있습니다.

    기타·문의처
    에듀테크센터 | 051-510-3843

    분야 인문 (인문과학)

    난이도 -

    운영기관 부산대학교

    이수증 미발급

    주차 15 주

    학습인정시간 45시간 00분 (18시간 48분)

    수강신청기간 25.02.10 ~ 25.06.06

    강좌운영기간 25.03.03 ~ 25.06.13

    전화번호 051-510-3843

    자막언어 한국어 외 1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