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한국 문화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 한국 기업의 해외 진출 등으로 한국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외에서 한국어교원으로 활동할 수 있는 기회도 점점 많아지고 있다.

    본 강좌는 한국어가 모어가 아닌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기초 지식과 역량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퀴즈

    20%

    중간고사

    40%

    기말고사

    40%

    총점

    100%

    강좌를 성공적으로 이수하기 위해서는 100%의 이수비율 중, 60%이상을 취득하면 이수증을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단순한 정보전달 방식을 지양하고, 실질적인 수업 시연 장면을 제시하여 학습자의 사례분석 역량을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한국어교육의 역사부터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뿐만 아니라 문화교육과 평가까지 전반적인 기초이론을 폭넓게 제공하도록 하였습니다.

    주차별 내용에 따라 실제 현장에서 쓰이는 교재의 제시형태를 보여주고, 이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학습자들과의 실제 학습활동, 연습활동까지 제시합니다.

    또한 일부 주차에서는 직접 수업시연을 포함하여 이 때 수업의 도입-전개-연습-활용(심화) 부분과 실제 시연에 쓰인 PPT자료를 제공하여 실질적인 수업과 자료 준비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수업계획서

    주차

    주차명

    주차별 학습 목표

    차시

    차시명

    평가방법

    1

    강의 개관

    세계 속의 한국어, 한국어교육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의 차이점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한국어교육의 발전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한국어교육의 국내외 현황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한국어교육의 목표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1-1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

     

    1-2

    한국어교육의 역사와 현황(1)

    1-3

    한국어교육의 역사와 현황(2)

    1-4

    한국어 교육의 목표

    2

    한국어 발음 교육(1)

    1. 한국어 모음과 자음의 특징을 다른 언어와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한국어 음운현상의 특징을 다른 언어와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한국어 억양의 문법적, 화용적 특징에 대해 이해하고 스스로 관찰할 수 있다.

    2-1

    한국어 모음의 특징

    퀴즈

    (3문항)

    2-2

    한국어 자음의 특징

    2-3

    한국어 음운현상의 특징(1)

    2-4

    한국어 음운현상의 특징(2)

    2-5

    한국어 억양의 특징

    3

    한국어 발음 교육(2)

    1. 한국어 발음 교육의 목표를 이해할 수 있다.

    2. 한국어 모음과 자음의 교육 방법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3. 한국어 음운변동과 억양의 교육 방법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4. 발음 수업을 통해 발음 수업 과정을 이해하고 실제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

    3-1

    발음 교육의 목표

     

    3-2

    한국어 모음과 자음 가르치기

    3-3

    한국어 음운변동과 억양 가르치기

    3-4

    한국어 발음 교육의 실제

    4

    한국어 어휘 교육

    1. 한국어 어휘 교육의 목표와 그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2. 한국어 어휘의 특징을 다른 언어와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한국어 어휘 교육의 다양한 교육 방법을 익히고 활용할 수 있다.

    4. 어휘 수업을 통해 어휘 수업 과정을 이해하고 실제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

    4-1

    어휘 교육의 목표

    퀴즈

    (3문항)

    4-2

    한국어 어휘의 특징

    4-3

    한국어 어휘 가르치기

    4-4

    한국어 어휘 교육의 실제

    5

    한국어 문법 교육(1)

    1. 한국어 문법 교육의 목표와 그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2. 한국어 문법 교육의 기본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3. 문법 교육이 단계별로 이루어져야 함을 이해하고, 각 단계별 접근 방법을 습득할 수 있다.

    5-1

    문법 교육의 목표

     

    5-2

    문법 교육의 원리

    5-3

    문법 교육의 단계1

    5-4

    문법 교육의 단계2

    6

    한국어 문법 교육(2)

    1. 문법 수업을 설계할 수 있다.

    2. 문법 수업을 위한 지도안의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3. 문법 수업을 위한 지도안을 작성할 수 있다.

    4. 문법 교육의 단계를 이해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

    6-1

    문법 수업의 설계

    퀴즈

    (3문항)

    6-2

    문법 수업 지도안

    6-3

    문법 수업 지도안 작성의 실제

    6-4

    한국어 문법 교육의 실제

    7

    한국어 이해 교육(1)

    1. 한국어 듣기 교육의 목표를 이해할 수 있다.

    2. 한국어 듣기 교육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3. 한국어 듣기 수업의 단계별 구성을 이해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

    7-1

    한국어 듣기 교육의 목표

    퀴즈

    (3문항)

    7-2

    한국어 듣기 교육의 내용

    7-3

    한국어 듣기 수업의 구성

    7-4

    한국어 듣기 교육의 실제

    8

     중간고사

     



    중간고사

    (15문항)

    9

    한국어 표현 교육(1)

    1.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목표를 이해할 수 있다.

    2.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3.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단계별 구성을 이해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

    9-1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목표

    퀴즈

    (3문항)

    9-2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내용

    9-3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구성

    9-4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실제

    10

    한국어 이해 교육(2)

    1. 한국어 읽기 교육의 목표를 이해할 수 있다.

    2. 한국어 읽기 교육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3. 한국어 읽기 수업의 단계별 구성을 이해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

    10-1

    한국어 읽기 교육의 목표

    퀴즈

    (3문항)

    10-2

    한국어 읽기 교육의 내용

    10-3

    한국어 읽기 수업의 구성

    10-4

    한국어 읽기 교육의 실제

    11

    한국어 표현 교육(2)

    1. 한국어 쓰기 교육의 특성과 목표를 이해할 수 있다.

    2. 한국어 쓰기 교육의 내용과 접근법을 이해할 수 있다.

    3. 한국어 쓰기 수업의 단계별 구성을 이해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

    11-1

    한국어 쓰기 교육의 특성과 목표

    퀴즈

    (3문항)

    11-2

    한국어 쓰기 교육의 내용과 접근법

    11-3

    한국어 쓰기 수업의 구성

    12

    한국어 교재론

    1. 한국어 교재의 역할과 그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2. 한국어 교재 개발의 필요성과 개발 원리 및 절차를 이해할 수 있다.

    3. 교재 선정을 위한 평가 항목을 배움으로써 교재를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4. 다양한 한국어 교재와 부교재의 유형을 살펴보고, 제작해 볼 수 있다.

    12-1

    교재의 역할 및 필요성

     

    12-2

    교재 개발의 원리와 절차

    12-3

    교재의 평가와 선정

    12-4

    한국어 교재와 부교재

    13

    한국 문화 교육

    1. 한국 문화 교육의 목표와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2. 문화 교육에 포함되는 한국 문화가 어떠한 것이 있는지 열거할 수 있다.

    3. 한국 문화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 이해할 수 있다.

    13-1

    한국 문화 교육의 목표

     

    13-2

    한국 문화 교육의 내용

    13-3

    한국 문화 교육의 방법

    14

    한국어 평가

    한국어 평가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한국어 평가가 갖추어야 할 요건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평가의 특성을 이해하고 문항을 제작할 수 있다.

    14-1

    한국어 평가의 개념과 유형

     

    14-2

    한국어 평가의 요건

    14-3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평가 방식

    15

    기말고사

     



    기말고사

    (15문항)

    미리보기
    강좌운영진
    • 박기영 교수

      [소속] 서울시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최종학력]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사, 석사, 박사

      [주요경력] 前 일본 게이오대학 종합정책학부 방문전임강사

        前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한국어교육센터 선임연구원

        前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 이정민 교수

      [소속]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한국어교육센터 전임 강사

      [최종학력] 몽골국립대학교 몽골어학과 석사

        서울시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수료

      [주요 경력] 총신대학교 한국어학당 강사

        서울시립대학교 한국어학당 강사

    • 학습 지원TA

      [소속]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재학

      [E-mail] jpg07142@naver.com

    • 운영 지원TA

      [소 속서울시립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K-MOOC 운영 담당

      강좌 운영에 관한 문의는 언제든지 게시판을 통해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기타·문의처
    02-6490-6026

    분야 인문 (언어 · 문학)

    난이도 교양

    운영기관 서울시립대학교

    이수증 발급

    주차 15 주

    학습인정시간 18시간 27분 (16시간 01분)

    수강신청기간 25.02.12 ~ 25.07.11

    강좌운영기간 25.03.04 ~ 25.07.18

    전화번호 02-6490-6026

    자막언어 한국어 외 1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