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교과목 개요

    • 본 교과목은 인공지능 시대에 새롭게 등장한 가상 세계와 가상 캐릭터, 인공지능의 말하기와 글쓰기를 주로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전망을 제시하는 교과목이다. 특히 콘텐츠 기획과 스토리텔링에 관심이 있는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기본 지식을 함양할 수 있는 교과목이다. 주요 분석 대상은 메타버스, 디지털 게임, 버추얼 캐릭터, 인공지능 음성인식 서비스, 인공지능 글쓰기 등이다. 본 교과목을 통해서 인공지능 시대에 등장한 다양한 콘텐츠의 가상성, 서사성, 창의성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1) 재산 문제와 관련된 재산법: 계약의 성립, 제한능력자, 채무불이행, 손해배상, 금전거래, 주택의 임대차, 불법행위 등을 다룹니다.재산 문제와 관련된 재산법: 계약의 성립, 제한능력자, 채무불이행, 손해배상, 금전거래, 주택의 임대차, 불법행위 등을 다룹니다.

    교과목 목표
    • (1) 인공지능 시대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특징에 대해 알아본다.
    • (2) 인공지능 시대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발전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 (3) 가상 세계의 유형과 특징에 대해 알아본다.
    • (4) 가상 캐릭터의 유형과 특징에 대해 알아본다.
    • (5) 인공지능의 말하기와 글쓰기에 대해 알아본다.
    • (6) 인공지능 시대의 가상성, 서사성, 창의성에 대해서 알아본다.

    이수기준
    • 퀴즈 60%,  총괄평가 40%
    • 총점이 60% 넘으면 수료

    교재
    • 서성은, 이진, 안진경,『스토리텔링 입문』, 커뮤니케이션북스, 2023. 
    • 이동은, 『스토리 유니버스』, 사회평론아카데미, 2022.
    • 한혜원, 『호모 나랜스』, 살림출판사, 2010.



    수업계획서
    주차주차명(주제)차시차시명(학습내용)평가방법
    1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발전 방향1-11세대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특징퀴즈
    1-22세대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발전 방향
    1-33세대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등장 배경과 중요성
    2인공지능 시대,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특징2-1가상성의 개념과 특징퀴즈
    2-2마스터 플롯/캐릭터의 보편성
    2-3트랜스 미디어의 확장성
    3사회적 가상 세계의 유형과 특징3-1가상 세계의 원형과 유형퀴즈
    3-2사회적 가상 세계의 특징
    3-3전문가 대담: 메타버스의 실제와 사회적 가상세계의 나아갈 방향 (이동은 교수)
    4유희적 가상 세계의 유형과 특징4-1유희적 가상 세계, 디지털 게임퀴즈
    4-2디지털 게임의 놀이성
    4-3디지털 게임의 서사성
    5가상 세계의 융합과 확장5-1가상 세계의 융합과 확장퀴즈
    5-2디지털 게임의 매체변환과 스토리월드
    5-3전문가 인터뷰: 게임아트/아트게임과 디지털 스토리텔링 (김영주 작가)
    6포스트 휴먼 시대의 가상 캐릭터6-1가상 캐릭터의 원형과 유형퀴즈
    6-2모방형 가상 캐릭터의 특징
    6-3창작형 가상 캐릭터의 특징
    7버추얼 아이돌과 팬덤7-1포스트 휴먼 시대 버추얼 아이돌의 등장퀴즈
    7-2인공지능 시대, 버추얼 아이돌과 팬덤
    7-3전문가 인터뷰 : 버추얼 아이돌과 디지털 스토리텔링 (김유나 박사)
    8인공 지능 캐릭터의 말하기8-1인공지능 캐릭터의 원형퀴즈
    8-2인공지능 캐릭터의 대화 법칙
    8-3전문가 인터뷰: 인공지능과 디지털 스토리텔링 (박연수 연구원)
    9인공 지능 기반 글쓰기9-1문화 인터페이스로서의 인공지능퀴즈
    9-2인공지능의 상호협력적 글쓰기
    9-3인공지능의 창의성
    10총괄평가시험
    미리보기
    강좌운영진
    • 담당 교수: 한혜원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문학박사(국어국문학과)
      이화여자대학교 문학석사(국어국문학과)
      이화여자대학교 문학사(국어국문학과)


      소개

      한혜원 교수는 융합콘텐츠학과/스크랜튼학부 소속으로, 이화여대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로 디지털 스토리텔링, 게임학, 사용자 참여 문화 등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앨리스 리턴즈-뉴미디어 콘텐츠에 나타난 여성 캐릭터 연구』(이화여자대학교 출판문화원), 『스토리텔링 전략』(RHK), 『호모 나랜스』(살림), 『디지털 게임 스토리텔링』(살림), 『뱀파이어 연대기』(살림) 등이 있다. 가상 세계 및 가상 캐릭터의 스토리텔링, 인공지능의 글쓰기, 사용자 생성 콘텐츠 및 팬덤 등을 주제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또한 <인공지능의 담화 체계 연구>, <여성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기획자 양성>, <인터랙티브 e-콘텐츠 개발> 등 약 20여 건 이상의 콘텐츠 기획 및 디지털 스토리텔링 연구 과제를 책임자로 수행했다.

    • 운영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혁신센터

      문의

      e-mail: ewhamooc@gmail.com
      Tel: 02-3277-3921

    분야 예체능 (응용예술)

    난이도 교양

    운영기관 이화여자대학교

    이수증 발급

    주차 10 주

    학습인정시간 11시간 06분 (11시간 06분)

    수강신청기간 25.02.06 ~ 25.05.31

    강좌운영기간 25.03.04 ~ 25.06.16

    전화번호 02-3277-3921

    자막언어 한국어 외 1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