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소개
- 전근대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한국의 도시 공간과 주거 문화를 역사적으로 접근함으로써 현재적 관점에서 한국의 도시적 삶이 만들어진 배경에 대해 이해한다. 도시와 건축이라는 물리적이고 공간적인 틀과 생활 문화를 총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한국인의 삶’을 재구성한다.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시는 곳에 붙여넣기하여 이용해 주세요.
제1조 (목적)
이 약관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하 “진흥원”)이 운영하는 “K-MOOC 홈페이지”(이하 “K-MOOC”)가 제공하는 모든 회원 정보 서비스(이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이하 “회원”)과 ‘진흥원’이 ‘서비스’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2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① 이 약관은 “이 약관에 동의하십니까?”라는 물음에 ‘회원’이 “동의”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진흥원’은 이 약관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된 약관은 적용일 전 7일간 ‘회원’에게 공지되고 적용 일에 효력이 발생 됩니다.
③ ‘회원’은 변경된 약관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탈퇴할 수 있습니다. 약관이 변경된 이후에도 계속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회원’이 약관의 변경 사항에 동의한 것으로 봅니다.
제3조 (약관 외 준칙)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이 관계 법령에 규정되어 있으면 그 규정에 따릅니다.
제2장 회원 가입과 서비스 이용제4조 (이용계약)
‘서비스’ 이용은 ‘진흥원’이 허락하고 ‘회원’이 약관 내용에 대해 동의하면 됩니다.
제5조 (이용신청)
① 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진흥원’이 정한 소정의 양식에 이용자 정보를 기록해야 합니다.
② 가입신청 양식에 기재된 이용자 정보는 실제 데이터로 간주합니다. 실제 정보를 입력하지 않은 사용자는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없습니다.
제6조 (이용신청의 승낙)
① ‘진흥원’은 ‘회원’이 모든 사항을 정확히 기재하여 신청할 경우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다만, 아래의 경우는 예외로 합니다.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신청한 경우
2. 회원가입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거나 신청하였을 경우
3. 사회의 안녕질서 또는 미풍양속을 저해할 목적으로 신청한 경우
4. 다른 사람의 K-MOOC 서비스 이용을 방해하거나 그 정보를 도용하는 등의 행위를 하였을 경우
5. K-MOOC를 이용하여 법령과 본 약관이 금지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6. 기타 ‘진흥원’이 정한 회원가입 요건이 미비할 경우
② 회원이 입력하는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의 정보 외에 ‘진흥원’은 ‘회원’에게 추가 정보의 입력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 필수항목 : 전자우편주소, 성명, 아이디, 비밀번호, 성별, 출생연도
- 선택항목 : 보조전자우편주소, 도시, 국가, 거주지, 최종학력, 가입목적
제7조 (계약 사항의 변경 및 정보 보유/이용 기간)
① ‘회원’은 ‘서비스’ 이용 신청 시 기재한 사항이 변경되었을 경우, 온라인으로 수정해야 합니다.
② ‘회원’으로 등록하는 순간부터 ‘진흥원’은 ‘회원’의 정보를 보유 및 이용할 수 있습니다.
③ ‘회원’이 탈퇴하는 순간부터 ‘진흥원’은 ‘회원’의 정보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다만, ‘진흥원’은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회원’이 탈퇴하는 순간부터 1개월간 ‘회원’의 정보를 보유할 수 있습니다.
제8조 (쿠키에 의한 개인정보 수집)
① ‘K-MOOC’는 사용자마다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개인용 컴퓨터에 쿠키를 전송합니다.
② 사용자가 한 번의 로그인으로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쿠키 수신을 허용해야 합니다.
③ 쿠키는 ‘K-MOOC’를 방문하는 사용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④ 사용자는 웹브라우저에 있는 옵션기능을 조정하여 쿠키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쿠키 수신을 거부할 경우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제3장 계약해지제9조 (계약해지)
① ‘회원’은 온라인을 통해 회원 정보처리에 관한 불만 사항을 개진할 수 있습니다.
② ‘회원’이 ‘서비스’ 이용 계약을 해지하고자 할 때는 본인 확인이 가능하도록 이름, 아이디, 생년월일, 연락할 수 있는 전화번호를 기재하여 전자우편으로 해지 신청을 하거나, 회원 정보수정의 ‘회원탈퇴’ 메뉴에서 탈퇴 신청을 해야 합니다.
제10조 (자격상실)
다음 각항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진흥원’은 사전 통보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기간을 정하여 서비스 이용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제6조 2항의 ‘기본정보’를 누락시킨 경우
2. 가입신청 시 허위 내용으로 등록한 경우
3. 타인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도용한 경우
4. K-MOOC, 다른 회원 또는 제3자의 지식재산권을 침해하는 경우
5. 사회의 안녕과 질서, 미풍양속을 해치는 행위를 하는 경우
6. 타인의 명예를 손상하거나 불이익을 주는 행위를 한 경우
7.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른 PC통신 및 인터넷 서비스의 신용불량자로 등록되는 경우
제4장 책임제11조 (진흥원의 의무)
① ‘진흥원’과 제휴를 맺은 사이트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진흥원’은 ‘회원’의 정보를 제휴 사이트들과 공유할 수 있으며, 공유를 위해 ‘K-MOOC’는 ‘회원’의 컴퓨터에 쿠키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② ‘진흥원’은 ‘서비스’ 제공으로 알게 된 ‘회원’의 신상정보를 본인의 승낙 없이 제3자에게 누설, 배포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예외로 합니다.
1.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기본법, 전기통신사업법, 지방세법, 소비자보호법, 한국은행법, 형사소송법 등 법령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2. 통계작성/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3. ‘진흥원’은 ‘회원’의 전체 또는 일부 정보를 업무와 관련된 통계 자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진흥원’은 ‘서비스’가 계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며, 부득이한 이유로 ‘서비스’가 중단되면 지체없이 이를 수리 복구하는 데 최선을 다해 노력합니다. 다만, 천재지변, 비상사태, 시스템 정기 점검 및 ‘진흥원’이 필요한 경우에는 그 서비스를 일시 중단하거나 중지할 수 있습니다.
제12조(회원 정보 사용에 대한 동의)
① 진흥원은 K-MOOC 이외에 각종 사이트를 운영하는바, 진흥원이 운영하는 메인 사이트 및 각종 서브 사이트의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회원의 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회원의 정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② ‘진흥원’은 양질의 서비스를 위해 여러 교육 관련 유관 단체 및 비즈니스 사업자와 제휴를 맺어 회원 정보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그럴 경우 ‘진흥원’은 본 조에 제휴업체 및 목적, 내용을 약관에 밝혀 `회원`의 동의받은 뒤 제휴업체에 제공합니다.
③ 본 조의 규정에 의한 ‘회원’의 동의는 본 약관 및 회원 가입정보 입력화면에서 제공하는 정보서비스 이용신청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그 효력을 발생합니다.
제13조 (회원의 의무)
① 아이디와 비밀번호의 관리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② ‘회원’은 자신의 아이디를 타인에게 양도, 증여, 대여하거나 타인이 사용하게 하여서는 아니 됩니다.
③ 자신의 아이디(ID)가 부정하게 사용된 경우, ‘회원’은 반드시 ‘진흥원’에 그 사실을 통보해야 합니다.
④ ‘회원’은 게시물에 등록된 데이터를 이용한 영업활동을 할 수 없습니다.
⑤ ‘회원’은 '진흥원'이 보내는 공지 메일을 수신해야 합니다.
제14조 (회원의 게시물)
① 게시물이란 ‘K-MOOC’의 각종 게시판에 회원이 올린 글 전체를 포함합니다.
② 회원이 게시하는 정보 및 질문과 대답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이나 문제는 전적으로 회원 개인의 판단에 따른 책임이며, ‘진흥원’의 고의가 아닌 한 ‘진흥원’은 이에 대하여 책임지지 않습니다.
③ 회원의 게시물로 인하여 제3자의 ‘진흥원’에 대한 청구, 소송, 기타 일체의 분쟁이 발생한 경우 회원은 그 해결에 드는 비용을 부담하고 ‘진흥원’를 위하여 분쟁을 처리하여야 하며, ‘진흥원’이 제3자에게 배상하거나 ‘진흥원’에 손해가 발생한 경우 회원은 ‘진흥원’에 배상하여야 합니다.
④ ‘진흥원’는 '회원'의 게시물이 다음 각 항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사전통지 없이 삭제합니다. 그러나 ‘진흥원’가 게시물을 검사 또는 검열할 의무를 부담하는 것은 아닙니다.
1.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 모략하여 명예를 손상하는 경우
2. 공공질서, 미풍양속에 저해되는 내용인 경우
3. ‘진흥원’의 저작권,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인 경우
4. ‘진흥원’에서 규정한 게시 기간을 초과한 경우
5. 상업성이 있는 게시물이나 돈벌이 광고, 행운의 편지 등을 게시한 경우
6. 사이트의 개설 취지에 맞지 않을 경우
7. 기타 관계 법령을 위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⑤ ‘진흥원’는 ‘회원’이 등록한 게시물을 활용해 가공, 판매, 출판 등을 할 수 있습니다.
제5장 정보제공제15조 (정보의 제공)
‘진흥원’는 ‘회원’에게 필요한 정보나 광고를 전자메일이나 서신 우편 등의 방법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회원’은 이를 원하지 않을 경우 가입신청 메뉴와 회원 정보수정 메뉴에서 정보 수신 거부를 할 수 있습니다. 단, 정보 수신 거부한 ‘회원’에게도 제13조5항의 ‘진흥원’ 공지 메일을 보낼 수 있습니다.
제6장 손해배상 및 면책제16조 (책임)
① ‘진흥원’은 ‘서비스’ 이용과 관련하여 ‘진흥원’의 고의 또는 중과실이 없는 한 ‘회원’에게 발생한 어떠한 손해에 대해서도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② ‘진흥원’은 ‘서비스’ 이용과 관련한 정보, 제품, 서비스, 소프트웨어, 그래픽, 음성, 동영상의 적합성, 정확성, 시의성, 신빙성에 관한 보증 또는 담보책임을 부담하지 않습니다.
제17조 (면책)
‘진흥원’이 천재지변 또는 불가피한 사정으로 ‘서비스’를 중단할 경우, ‘회원’에게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제18조 (관할법원)
‘서비스’ 이용과 관련하여 소송이 제기될 경우 ‘진흥원’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법원 또는 대한민국의 민사소송법에 따른 법원을 관할법원으로 합니다.
본 약관의 해석과 적용 및 본 약관과 관련한 분쟁의 해결에는 대한민국 법이 적용됩니다.
CCL은 자신의 창작물에 대하여 일정한 조건 하에 다른 사람의 자유로운 이용을 허락하는 내용의 자유이용 라이선스(License)입니다.
Attribution(저작자 표시)
저작자의 이름, 출처 등 저작자를 반드시 표시 해야 한다는, 라이선스에 반드시 포함하는 필수조항 입니다.
Noncommercial(비영리)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영리목적의 이용을 위해서는, 별도의 계약이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
No Derivative Works (변경금지)
저작물을 변경하거나 저작물을 이용한 2차적 저작물 제작을 금지한다는 의미입니다.
Share Alike (동일조건변경허락)
2차적 저작물 제작을 허용하되, 2차적 저작물에 원 저작물과 동일한 라이선스를 적용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저작자표시 (CC BY)
저작자의 이름, 저작물의 제목, 출처 등 저작자에 관한 표시를 해주어야 합니다.
저작자표시-비영리 (CC BY-NC)
저작자를 밝히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하지만 영리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저작자표시-변경금지 (CC BY-ND)
저작자를 밝히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하지만, 변경 없이 그대로 이용해야 합니다.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CC BY-SA)
저작자를 밝히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하고 저작물의 변경도 가능하지만, 2차적 저작물에는 원 저작물에 적용된 것과 동일한 라이선스를 적용해야 합니다.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CC BY-NC-SA)
저작자를 밝히면 이용이 가능하며 저작물의 변경도 가능하지만, 영리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고 2차적 저작물에는 원 저작물과 동일한 라이선스를 적용해야 합니다.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CC BY-NC-ND)
저작자를 밝히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하지만, 영리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고 변경 없이 그대로 이용해야 합니다.
한국의 도시공간과 주거문화 Urban Space and Residential Culture in Korea | |
교수자명 | 이연경 Yeonkyung Lee |
강의소개 (강좌개요) | 전근대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한국의 도시 공간과 주거 문화를 역사적으로 접근함으로써 현재적 관점에서 한국의 도시적 삶이 만들어진 배경에 대해 이해한다. 도시와 건축이라는 물리적이고 공간적인 틀과 생활 문화를 총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한국인의 삶’을 재구성한다. This course takes a historical approach to Korean urban space and residential culture from premodern times to the present and overviews the background in which Korean urban life has been shaped from the present point of view. The course reconstructs the “Korean life”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physical and spatial framework of cities and architecture and the living culture as a whole. |
강의 목표 (학습목표) | ∙한국의 전통적 주거형태에 대해 이해한다. ∙근대화의 과정에서 새로운 주거, 도시문화의 유입이 한국사회에 공간 구성에 미친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오늘날의 주거형태와 도시공간 구성의 배경을 살펴보고 그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Understand traditional Korean housing patterns. ∙Learn about the impact of the influx of new housing and urban culture during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Korean society. ∙Examine the background of today's housing types and the composition of urban space, and discuss their meaning. |
강좌구성 | 본 강좌는 총 8주차로 구성되어 있고, 각 주의 강의는 주제별로 3~6차시의 영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This course consists of a total of 8 weeks. The lectures in each week are organized into three to six videos by topic. |
강사소개 | 이연경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부교수 |
주차 | 주차명 (주제) | 차시 | 차시명 |
1 | 한국의 도시와 한옥 Cities and Hanok in Korea | 1-1 | 강좌의 목표와 내용 Goals and Content of the Course |
1-2 | 동아시아의 도시 형태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Cities | ||
1-3 | 조선시대 한성부의 도시 구조와 공간 Urban Structure and Space of Hanseong-bu during the Joseon Period | ||
1-4 | 왕의 집, 양반의 집, 평민의 집 Residences for the King, Scholar-Officials, and Commoners | ||
1-5 | ‘한옥’은 무엇일까 What is Hanok? | ||
2 | 새로운 문물의 유입, 혼종의 도시와 주거 Influx of New Cultures and the Creation of Hybrid Cityscapes | 2-1 | 개항과 조계 Opening of the Ports and the Concession Areas |
2-2 | 개항 이후 서울의 도시 변화 Changes in Seoul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s | ||
2-3 | 한국에 등장한 서양식 주택들 Western-Style Houses Built in Korea | ||
2-4 | 일본인 거주지의 주택 Houses Built in the Residences of the Japanese in Korea | ||
2-5 | 19세기 말 혼종의 도시 경관 Hybrid Cityscapes in the Late 19th Century | ||
3 | 근대도시화와 주택의 변화 Modern Urbanization and the Changes in houses | 3-1 | 시구개정과 도로개수 The Town Planning Project and Road Repairs |
3-2 | 신시가와 구시가 Old Towns and New Towns | ||
3-3 | 1910~30년대의 주택담론 Discourses Surrounding Housing, from the 1910s to the 1930s | ||
3-4 | ‘문화주택’과 ‘도시형 한옥’ Cultural Houses and Urban Hanok | ||
4 | 근대도시화와 아파트 Modern Urbanization and Apartments | 4-1 | 조선시가지계획령과 토지구획정리 The Joseon City Planning Ordinance and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
4-2 | 도시주택난과 아파트의 등장 Urban Housing Crisis and the Emergence of Apartments | ||
4-3 | 불량주택과 시민아파트 Substandard Housing Villages and Citizen Apartments | ||
4-4 | 한국현대도시의 산물, 아파트 Apartments, a Product of Korea’s Modern Cities | ||
5 | 산업화와 주택 공급 Industrialization and Housing Supply | 5-1 | 병참기지화와 군수산업도시 Emergence of Military Industrial Cities Due to Militarization |
5-2 | 노무자주택의 건설 Creation of the Laborer Houses | ||
5-3 | 조선주택영단과 영단주택 Joseon Housing Corporation and the Company Houses | ||
5-4 | 공업도시계획과 주택 건설 Industrial City Development Plans and Housing Construction | ||
5-5 | 공단과 벌집 Industrial Complexes and the “Beehive” | ||
6 | 전쟁이 만들어낸 도시와 주거의 변화 The Changes in Cities and Housing Brought About by War | 6-1 | 미군정과 귀속재산 Disposal of Enemy Property und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
6-2 | 해방공간의 건축가와 주택 Korean Architects Responsible for the Cities and Architecture in Liberated Korea | ||
6-3 | 전후복구와 해외원조 Post-War Recovery and Foreign Aid | ||
6-4 | 대한주택영단의 주택건설 Housing Construction Project of the Korea Housing Administration | ||
6-5 | 군기지와 군사도시 U.S. Military Bases and the Military Towns | ||
7 | 도시상업화와 주상겸용주택 Urban Commercialization and the Residential Style That Combines Commerce and Residence | 7-1 | 근대 상점가의 형성: 본정과 종로 Formation of Commercial Facilities in Bonjeong and Jongno |
7-2 | 상업화와 도시문화 Urban Culture and Commercialization | ||
7-3 | 도시미관과 상가주택 Urban Aesthetics and “Commercial Housing” | ||
7-4 | 상가아파트와 주상복합 Commercial Apartments and Mixed-Use Buildings | ||
8 | 적층된 기억의 도시와 주거 Urban Spaces and Housings That Contain Layers of Memories | 8-1 | 도시조직에 남은 흔적: ‘골목’과 ‘물길’ Traces Korea’s Urban Structure Left Behind: Alleys and Waterways |
8-2 | 문화유산이 된 주택들 Houses That Have Become Cultural Heritage | ||
8-3 | 불편문화유산과 적산가옥 “Difficult Cultural Heritage” and the Status of “Jeoksan Gaok” | ||
8-4 | 불량주택촌의 관광지화 Substandard Housing Villages and Their Transformation into Tourist Destinations | ||
8-5 | 도시재생과 재개발 Urban Regeneration and Redevelopment |
허수
한국연구재단 산업교육센터
운영기관 한국연구재단 산업교육센터
주차 15 주
학습인정시간 (총 동영상시간) 9시간 52분 (07시간 48분)
홍진호
한국연구재단 산업교육센터
운영기관 한국연구재단 산업교육센터
주차 13 주
학습인정시간 (총 동영상시간) 14시간 43분 (09시간 44분)
민승희
중원대학교
운영기관 중원대학교
주차 9 주
학습인정시간 (총 동영상시간) 26시간 58분 (05시간 51분)
김경화 외 3 명
광주여자대학교
운영기관 광주여자대학교
주차 15 주
학습인정시간 (총 동영상시간) 26시간 00분 (06시간 37분)
이장웅 외 3 명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운영기관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주차 6 주
학습인정시간 (총 동영상시간) 10시간 00분 (08시간 11분)
최진철
한국해양대학교
운영기관 한국해양대학교
주차 15 주
학습인정시간 (총 동영상시간) 41시간 00분 (11시간 17분)
최진철
한국해양대학교
운영기관 한국해양대학교
주차 13 주
학습인정시간 (총 동영상시간) 13시간 00분 (11시간 59분)
김태만
한국해양대학교
운영기관 한국해양대학교
주차 14 주
학습인정시간 (총 동영상시간) 14시간 00분 (07시간 12분)
조정래 외 2 명
한림대학교
운영기관 한림대학교
주차 11 주
학습인정시간 (총 동영상시간) 35시간 02분 (04시간 12분)
이명화 외
독립기념관
운영기관 독립기념관
주차 16 주
학습인정시간 (총 동영상시간) 6시간 00분 (06시간 30분)
정병호 외 2 명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운영기관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주차 8주
학습인정시간 (총 동영상시간) 24시간 00분 (08시간 36분)
조은성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운영기관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주차 8주
학습인정시간 (총 동영상시간) 24시간 00분 (09시간 08분)
송은영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운영기관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주차 8주
학습인정시간 (총 동영상시간) 24시간 00분 (10시간 19분)
김미선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운영기관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주차 8주
학습인정시간 (총 동영상시간) 24시간 00분 (11시간 37분)
신치후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운영기관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주차 8주
학습인정시간 (총 동영상시간) 24시간 00분 (10시간 26분)
이경록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운영기관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주차 8주
학습인정시간 (총 동영상시간) 24시간 00분 (09시간 22분)
최진묵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운영기관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주차 8주
학습인정시간 (총 동영상시간) 24시간 00분 (08시간 06분)
허영란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운영기관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주차 8주
학습인정시간 (총 동영상시간) 24시간 00분 (09시간 04분)
주영하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운영기관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주차 8주
학습인정시간 (총 동영상시간) 24시간 00분 (08시간 58분)
김지민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운영기관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주차 10주
학습인정시간 (총 동영상시간) 30시간 00분 (10시간 30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