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강의실

최근 수강강좌 목록

현재 진행중인 강좌(청강제외)만 출력됩니다.

최근접속순 최대 10개 강좌만 표시됩니다.

K-MOOC
K-MOOC 학점은행제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한국어
  • 한국어
  • ENGLISH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좌소개
    • 인간과 시공간의 관계를 동아시아적 관점에서 이해한다.
    • 동아시아에서 공간(지리)와 시간의 인식을 지도와 달력의 탄생과 활용을 통해 탐구한다.
    • 정치, 경제, 사회, 의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도(공간)와 시간(달력) 개념을 이해한다.
    학습목표
    • 시간과 공가의 개념을 동아시아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각 시기별, 주체별 활용방법을 파악한다.
    • 공간개념은 지도의 제작을 통해, 시간개념은 달력을 통해 이해하고, 정치, 사회, 경제, 문화의 측면에서 심도있게 고찰한다.
    강좌 운영일정
    • 수강신청기간 : 2024.11.04. - 2024.12.31.
    • 강좌운영기간 : 2024.11.04. - 2024.12.31.
    이수 및 평가기준
    • 퀴즈 80%, 기말시험 20%
    •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 강좌에는 상당량의 중국 고지도 컬러 도판이 활용되었습니다.)

    수업계획서

    강좌명

    지도와 달력의 역사

     

    History of Maps and Calendars

    교수자명

    최진묵

     

    Jin-mook, Choi

    강의소개

    (강좌개요)

    ∙인간과 시공간의 관계를 동아시아적 관점에서 이해한다.

    ∙동아시아에서 공간(지리)와 시간의 인식을 지도와 달력의 탄생과 활용을 통해 탐구한다.

    ∙정치, 경제, 사회, 의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도(공간)와 시간(달력) 개념을 이해한다.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space and time from an East Asian perspective.

    Explore the East Asian perception of space, geography, and time through the creation and use of maps and calendars.

    Understand various concepts of map and calendar and space and time, in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medical contexts.

    강의 목표

    (학습목표)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동아시아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각 시기별, 주체별 활용방법을 파악한다.

    ∙공간개념은 지도의 제작을 통해, 시간개념은 달력을 통해 이해하고, 정치, 사회, 경제, 문화의 측면에서 심도있게 고찰한다.

     

    Understand the concepts of time and space from an East Asian perspective and identify how they were used by each period and subject. Understand the concept of space through the creation of maps, and the concept of time through calendars, and examine them in depth in terms of politics, society, economy, and culture.

    강좌구성

    본 강좌는 총 8주차로 구성되어 있고, 각 주의 강의는 주제별로 3~6차시의 영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This course consists of a total of 8 weeks. The lectures in each week are organized into three to six videos by topic.

    강사소개

    최진묵

    연세대학교 중국연구원 연구교수

     

    Jin-mook Choi is Research Professor at Yonsei Institute for Sinology.



    주차

    주차명

    (주제)

    차시

    차시명

    1

    지도와 달력의 역사

    History of Maps and Calendars

    1-1

    공간과 지도, 시간과 달력의 이해

    Space and Maps; Time and Calendars

    1-2

    공간 인식 – 공간의 중심 문제

    Perception of Space: The Issue of the Center in Space

    1-3

    미지의 세계에 대한 표현 방식

    How Unknown World is Expressed

    1-4

    지역사의 의미와 새로운 지역사

    Significance of Local History and a New Local History

    1-5

    통치와 지배의 범위

    Boundaries of Rule and Governing

    1-6

    공간에 관한 다양한 용어들

    Various Terms Related to Space

    2

    지도의 발전 : 중국의 지도 (1)

    Development of Maps: Chinese Maps, part 1

    2-1

    지도의 기능, 제작의 목적

    Functions and Purposes of Maps

    2-2

    우적도(禹迹圖)와 화이도(華夷圖)

    Yuji Tu and Huayi Tu

    2-3

    고대 화하(華夏)의 형성 과정

    Formation of Ancient Huaxia

    2-4

    역대강역도(歷代疆域圖)

    Territory Maps

    2-5

    왕조강역도

    Dynastic Territory Maps

    3

    지도의 발전 : 중국의 지도 (2)

    Development of Maps: Chinese Maps, part 2

    3-1

    대명혼일도(大明混一圖) 유형

    Maps along the Lines of the Da Ming Hunyi Tu

    3-2

    황여전람도(皇輿全覽圖)와 여러 지도들

    Maps along the Lines of the Huang Yu Quan Lan Tu

    3-3

    중국 고지도에 나타난 조선

    The Korean Peninsula Depicted in Old Chinese Maps

    3-4

    중국의 기타 지도

    Other Types of Chinese Maps

    4

    한국의 고지도

    Old Korean Maps

    4-1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

    Honil Gangni Yeokdae Gukdo Jido

    4-2

    천하도(天下圖)

    Cheonha do

    4-3

    여지전도(輿地全圖)

    Yeoji Jeondo

    4-4

    전국지도 및 기타 지도

    National Maps and the Other Maps of Korea

    5

    시간과 달력

    Time and Calendars

    5-1

    시간은 시작점 : 연월일은 어디에서 시작하는가?

    Starting Point of Time: Where Years, Months, and Days Begin

    5-2

    시간의 표현방식

    Ways to Express Time

    5-3

    시공간의 묘사법 : 우주도안들

    Ways to Depict Time and Space: Diagrams of the Universe

    5-4

    시간의 칭호들(시칭)

    Names of Time

    6

    달력의 구성 요소들

    Elements Constituting the Calendar

    6-1

    역사상 달력의 사례

    Examples of Calendars

    6-2

    각종 길흉일 : 역기(曆忌)

    건제(建除) 12()

    Dyas of Good Luck and Bad Luck: Auspicious and Inauspicious Days, Jianchu 12-Zhi

    6-3

    복일과 납일, 축일과 절기

    Furi (Dog Day) and Lari (Sacrificial Day); Holidays and Solar Terms

    6-4

    30시절(時節) : 30()

    30 Time-Nodes: 30-Shi

    7

    시령(時令), 월령(月令)과 시일금기(時日禁忌)

    Shiling, Yueling, and Shiri jinji

    7-1

    시령, 월령 등에 관한 자료들

    Materials about Shiling and Yueling

    7-2

    시령, 월령의 내용

    Contents of the Shiling and Yueling

    7-3

    시일금기(時日禁忌)와 그 비판

    Shiri Jinji and Its Criticisms

    7-4

    수술가(數術家)와 역법개정

    Divinators and the Issue of Revising the Calendrical Method

    8

    사회 각 분야별 시간활용

    Use of Time in Each Realm of the Society

    8-1

    문서행정에서의 시간

    Document Administration Time

    8-2

    농사활동의 시간

    Agricultural Time

    8-3

    제사와 의례의 시간

    Ritual Time

    8-4

    의학에서의 시간

    Medical Time

    8-5

    총론

    Conclusion


    미리보기

    분야 인문 (인문과학)

    난이도 전공심화

    운영기관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이수증 발급

    주차 8 주

    학습인정시간 24시간 00분 (08시간 06분)

    수강신청기간 25.01.01 ~ 25.12.31

    강좌운영기간 25.01.01 ~ 25.12.31

    전화번호 033-760-5580

    자막언어 한국어 외 2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