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01 강의내용 및 학습목표

    본 강좌는 한국사의 주요 사건이 벌어진 각 지역을 배경으로 한국 한시의 흐름을 설명함으로써, 역사적·공간적 컨텍스트 속에서 한국 한시의 역사를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국사의 굵직굵직한 사건들과 그 사건들이 이루어진 장소, 그리고 그 사건과 관계된 인물들을 함께 살핌으로써 관념적으로만 보이던 한시를 역사와 현실의 산물로서 생생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 한시 창작의 시공간적 배경을 이해한다.

    • 한국 한시의 주요 경향과 흐름을 이해한다.

    • 한국 한시의 주요 시인과 작품을 학습하고 감상한다


    02 홍보영상

      

    02 담당 교수 소개

    담당교수
    노요한선생님
    노요한 교수
    현)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글로벌인문학센터 센터장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문학전공(문학박사)

    정용건 교수
    현)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연구초빙교수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문학전공(문학박사)

    김기엽 교수
    현)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연구초빙교수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문학전공(문학박사)

    오보라 교수
    현) 퇴계학연구원 연구원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문학전공(문학박사)
    대표저서 <산골 농부로 태어난 책벌레-서파 유희 산문선>(글을 읽다, 2022)
    김태영 교수 프로필 사진 이남면 교수
    현)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연구원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문학전공(문학박사)

    03 주차별 학습내용

    • 강좌구성 : 총 16주

    • 강좌개설 : 순차적으로 개설하며, 해당 주차일에 강의가 열립니다.


    주차별 학습내용 안내
    주차 주차명 소주제
    1 <한국한시기행>을 시작하며 (노요한)
    <한국한시기행> 강좌 소개
    이른 시기의 한국 한시
    삼국시대의 한국 한시
    한국 한시의 여러 양식: 근체시
    한국 한시의 여러 양식: 고체시, 악부, 사
    한국 한시의 여러 작가층
    2 고려의 수도 개성과 한시 (노요한)
    고려왕조의 도읍 개성의 아름다움
    개성의 팔경
    법왕사(法王寺)와 연복사(演福寺)
    성균관(成均館)과 쌍명재(雙明齋) 계회지(契會地)
    취적봉(吹笛峯) 천수원(天壽院)
    감로사(甘露寺)와 개성 서교(西郊)
    3 한시로 읽는 조선 전기의 강원도 (정용건)
    조선 시대 강원 지역의 문학적 좌표
    영월 장릉(莊陵)과 김시습(金時習) 1
    영월 장릉(莊陵)과 김시습(金時習) 2
    춘천 청평사(淸平寺)와 그 한시
    강릉의 문인들1-이이(李珥)와 신사임당(申師任堂)
    강릉의 문인들2-허균(許筠)과 허난설헌(許蘭雪軒)
    4 전라도와 한시: 유배와 전란, 그리고 실학 (정용건)
    조선 시대 전라 지역의 문학적 좌표
    못 다 이룬 젊은 꿈의 흔적: 조광조(趙光祖)의 유배지 화순(和順)
    호남 사림의 은거와 강학-1: 면앙정(俛仰亭)과 송순(宋純)
    호남 사림의 은거와 강학-2: 소쇄원(瀟灑園)과 양산보(梁山甫)
    왜란의 참상과 극복
    부안에서 태동한 실학의 단초: 유형원(柳馨遠)과 󰡔반계수록(磻溪隨錄)󰡕
    5 경상도의 유교문화와 퇴계학파학자의 한시 (김기엽)
    경상도의 연혁과 풍속, 그리고 기록유산
    경상도의 동족(同族) 마을과 한시
    학자들의 강학 공간, 경상도의 서원
    퇴계학파의 학자들과 한시
    6 충청도와 율곡학파 (김기엽)
    충청도의 지리적 특성과 문화유산
    율곡 이이의 한시
    율곡학파의 학자들 김장생, 송시열, 권상하, 김창협
    이황과 이이, 학파를 넘어선 한시 교류
    7 18세기 한양의 백악시단과 여항인의 한시 (오보라)
    18세기 한양의 모습과 시풍의 변화
    백악시단(白岳詩壇)의 시론(詩論)
    김창흡(金昌翕)의 한시
    여항 문화의 발달과 송석원시사(松石園詩社)
    홍세태(洪世泰)의 한시
    8 금강산 유람과 유람시 (이남면)
    조선 시대 유람의 풍조와 금강산
    이민구의 금강산 유람과 유람시
    이병연의 금강산 시와 정선의 그림
    박지원의 금강산 유람과 유람시
    9 도회지 한양의 풍경과 백탑파 –신위의 한시 (오보라)
    고동서화(古董書畫) 수집 및 장서(藏書) 열풍과 광통교(廣通橋)
    백탑파(白塔派)의 형성
    백탑파(白塔派)의 시풍(詩風)
    박지원(朴趾源)의 문학론과 한시
    시서화(詩書畵) 삼절(三絶)의 신위(申緯)
    10 보다 넓은 세계에서 (이남면)
    대명 외교와 한시
    조선 문사의 대청인식과 조청(朝淸) 문인 교류
    조선 통신 사행과 일본 인식
    조선과 베트남 문사의 교류
    조선과 오키나와, 태국 문사 간의 교류
    11 기말고사

    05 이수기준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평가방법 안내
    퀴즈 기말고사
    80% 20%

    • 퀴즈 : 매주
    • 기말고사 : 1회(10주차)


    06 담당TA

    담당TA
    신영아 TA 사진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센터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센터 홈페이지(국문): https://ocks.korea.ac.kr
    홈페이지(eng): https://ocks.korea.edu/ocks_en
    e-mail: ocks.helpdesk@gmail.com

    07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한국 언어, 문화, 문학에 관심 있는 국내외 대학생과 일반인

    분야 인문 (언어 · 문학)

    난이도 전공기초

    운영기관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센터

    이수증 발급

    주차 10 주

    학습인정시간 13시간 00분 (13시간 36분)

    수강신청기간 25.01.01 ~ 25.12.31

    강좌운영기간 25.01.01 ~ 25.12.31

    전화번호 02-3290-2908

    자막언어 -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