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 | 주차명 | 차시명 | 과제 |
1 | 김혜순의 페미니즘 시 | 죽음의 존재론적 탐구와 존재 방식 | 퀴즈 |
영육 분리 – 안팎의 단절, 유령, 구멍(1) | 퀴즈 |
영육 분리 – 안팎의 단절, 유령, 구멍(2) | 퀴즈 |
절단된 육체 – 안팎의 유비, 파편성(1) | 퀴즈 |
절단된 육체 – 안팎의 유비, 파편성(2) | 퀴즈 |
세 가지 ‘죽음의 존재 방식’의 위상학 | 퀴즈 |
2 | 최승자의 페미니즘 시 | 최승자 시에 대한 새로운 조명 | 퀴즈 |
반추와 예언의 구조화 원리(1) | 퀴즈 |
반추와 예언의 구조화 원리(2) | 퀴즈 |
나와 너, 나와 아버지의 관계 | 퀴즈 |
상실한 ‘쇼즈’에 접근하는 승화 | 퀴즈 |
과거와 미래의 시간성 | 퀴즈 |
3 | 허수경의 페미니즘 시 | 미학적 특이성과 구조화 원리 | 퀴즈 |
가능성의 사랑 – 주모적 여성, 연민, 현재적 기억 | 퀴즈 |
불가능성의 사랑 – 몸/마음의 분리, 멜랑콜리, 반추적 기억 | 퀴즈 |
묵시록적 비전 – 영혼, 응시, 예언적 기억(1) | 퀴즈 |
묵시록적 비전 – 영혼, 응시, 예언적 기억(2) |
기억의 변증법 – 무의식적 꿈, 각성, 순간적 기억 | 퀴즈 |
4 | 최정례의 페미니즘 시 | 시간과 기억, 시적 양식과 어법 | 퀴즈 |
꿈 이야기와 서사적 진술 | 퀴즈 |
산문시와 주관 서술 | 퀴즈 |
다른 시간 혹은 후생의 시간 | 퀴즈 |
시점과 서술의 복화술 | 퀴즈 |
우연과 필연, 존재와 언어의 간극 | 퀴즈 |
5 | 이연주의 페미니즘 시 | 표면적 알레고리와 심층적 알레고리 | 퀴즈 |
매음녀(1)- 질병과 죽음의 모티프 | 퀴즈 |
매음녀(2)- 표면적 세 겹 알레고리의 중핵 | 퀴즈 |
표면적 알레고리에서 심층적 알레고리로의 전이 | 퀴즈 |
속죄양 유다(1)- 대속(代贖)과 구원의 모티프 | 퀴즈 |
속죄양 유다(2)- 대속(代贖)과 구원의 모티프 | 퀴즈 |
6 | 김민정의 페미니즘 시 | 분열과 증폭(1)- 눈알의 시선과 반죽의 질료 | 퀴즈 |
분열과 증폭(2)- 탈주와 주이상스 | 퀴즈 |
은유와 환유(1)- 은밀한 서사적 윤곽 | 퀴즈 |
은유와 환유(2)- 꿈과 각성 | 퀴즈 |
반복과 변주(1)- 시간적 몽타주 | 퀴즈 |
반복과 변주(2)- 무의식적 충동의 심연 | 퀴즈 |
7 | 김이듬의 페미니즘 시 | 시인 및 작품 소개, 모나드와 내적 특이성(1) | 퀴즈 |
모나드와 내적 특이성(2) | 퀴즈 |
시 의식의 발생적 원천 | 퀴즈 |
시 의식의 지향성 | 퀴즈 |
시 기법의 원형과 변형 (1) | 퀴즈 |
시 기법의 원형과 변형 (2) | 퀴즈 |
8 | 황성희의 페미니즘 시 | 큰 알레고리와 작은 알레고리 | 퀴즈 |
큰 알레고리에 저항하는 작은 알레고리 | 퀴즈 |
큰 알레고리들 간의 인과성(1) - 드라이브 모티프 | 퀴즈 |
큰 알레고리들 간의 인과성(2) - 가족 드라마 모티프, 귀신 놀이 모티프 | 퀴즈 |
큰 알레고리들 간의 인과성(3) - 패러디와 콜라주 모티프 | 퀴즈 |
거시적 이데올로기와 미시적 시뮬라크르에 대한 냉소 | 퀴즈 |
9 | 이혜미의 페미니즘 시 | 사랑의 시적 형식과 기법 | 퀴즈 |
물의 과잉, 존재의 내향성, 안쪽의 얼룩 | 퀴즈 |
뼈의 발굴, 외양의 소거, 근원에의 회귀 | 퀴즈 |
빛의 길항, 안팎의 뒤집음, 타자와의 교감 | 퀴즈 |
소리에의 지향, 미래의 사랑, 타자와의 결합(1) | 퀴즈 |
소리에의 지향, 미래의 사랑, 타자와의 결합(2) | 퀴즈 |
10 | 정한아의 페미니즘 시 | 시의 원천,현상(現狀),지향 | 퀴즈 |
원천 – 천사: 신성에 대한 동경과 모독의 이율배반 | 퀴즈 |
현상-더러운 사랑: 인간사에 대한 저주와 긍정의 이율배반 | 퀴즈 |
지향-물·불: 생명의 이완과 수축(1) | 퀴즈 |
지향-물·불: 생명의 이완과 수축 (2) | 퀴즈 |
지향 – 물·불,거울: 생명의 이완과 수축, 양극의 융합적 매개 | 퀴즈, 시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