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01 강의내용 및 학습목표

    본 강좌는 표준어로서의 한국어뿐만 아니라 지역, 계층, 성별 등 여러 요인별 다양한 한국어의 모습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전반부에서는 방언의 정의, 방언의 발생, 분화, 확산과 함께 방언 수집 및 연구 방법과 함께 한국어의 지역 방언별 특징을 파악한다. 후반부에서는 사회 방언의 개념 및 언어 정책과 시대별, 성별, 계층별 언어 변이에 대해 다룬다. 마지막으로 세계 각지에서의 한국어의 발달 배경과 특징을 이해한다. 이 과목을 통해 수강자들은 한국어 방언과 관련한 주요 개념과 실제 사용 양상을 학습하면서 한국어가 가진 언어 자료로서의 가치를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 한국어의 방언에 대해 알아보고 한국어의 총체를 이해한다.

    • 한국어의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 방언과 의사소통, 한국어교육에서의 방언의 중요성, 전세계 다양한 지역의 한국어에 대해 이해한다.

    • 언어와 방언의 관계와 방언 연구의 방법론과 성과를 이해한다.


    02 홍보영상

     

    02 담당 교수 소개

    담당교수

    이영제 교수
    현)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국어학 전공 (문학박사)
    대표 저서 「한국어 기능명사 연구」 (태학사, 2016)

    신우봉 교수
    현) 제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음성언어정보연구실 연구원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국어학 전공 (문학박사)

    손다정 교수
    현) 서울여자대학교 교양대학 조교수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문화교육전공 (문학박사)
    대표저서(공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학 개론>(하우, 2023)
    김준영 교수 프로필 사진 손혜진 교수
    현) 서정대학교 글로벌융합복지과 조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연구교수
    BK21플러스 한국어문학미래인재육성사업단 연구교수

    03 주차별 학습내용

    • 강좌구성 : 총 10주

    • 강좌개설 : 순차적으로 개설하며, 해당 주차일에 강의가 열립니다.


    주차별 학습내용 안내
    주차 주차명 소주제
    1 방언이란 무엇인가?
    언어와 방언: 방언(方言)이란 무엇인가?
    한국어 방언의 이해를 위한 배경 지식1 – 한국어의 음운적 특징
    한국어 방언의 이해를 위한 배경 지식2 – 한국어의 문법적 특징
    한국어 방언의 이해를 위한 배경 지식3 – 한국의 지리와 역사, 문화적 특징
    한국어의 음운 체계와 방언의 음운적 특징
    한국어 방언의 문법적, 어휘적 특징 – 몇 가지 예시
    2 방언구획, 방언자료의 수집과 정리 그리고 방언변화
    언어지도와 방언구획
    한국어의 방언구획
    방언 조사와 방언 연구의 의의
    방언 자료의 수집과 정리 방법
    방언분화론
    방언접촉론
    3 중부방언과 동북방언
    개별방언론
    중부방언의 음운적 특징
    중부방언의 문법적 특징
    중부방언의 어휘적 특징
    동북방언의 음운적 특징
    동북방언의 문법 및 어휘적 특징
    4 서북방언과 동남방언
    서북방언의 음운적 특징
    서북방언의 문법 및 어휘적 특징
    동남방언의 음운적 특징 1
    동남방언의 음운적 특징 2
    동남방언의 문법적 특징
    동남방언의 어휘적 특징
    5 서남방언과 제주방언
    서남방언의 음운적 특징
    서남방언의 문법적 특징
    서남방언의 어휘적 특징
    제주방언의 음운적 특징
    제주방언의 문법적 특징
    제주방언의 어휘적 특징
    6 한국어의 사회 방언 1
    사회 방언의 개념
    사회 방언학의 발달
    언어 정책
    한국의 언어 정책
    표준어
    한국어의 표준어
    7 한국어의 사회 방언 2
    언어 분화의 요인
    연령과 언어 변이1
    연령과 언어 변이2
    시대와 언어 변이1
    시대와 언어 변이2
    8 한국어의 사회 방언 3
    신어
    성별과 언어 변이1
    성별과 언어 변이2
    성별과 언어 변이3
    9 한국어의 사회 방언과 의사소통
    계층과 언어 변이
    전문어
    상황과 언어 변이
    언어와 의사소통
    문화 간 의사소통
    10 세계 속의 한국어
    중국 지역 재외동포의 한국어
    일본 지역 재외 동포의 한국어
    미국 지역 재외 동포의 한국어
    독립국가연합(CIS) 지역 재외 동포의 한국어
    11 기말고사

    05 이수기준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평가방법 안내
    퀴즈 기말고사
    80% 20%

    • 퀴즈 : 매주
    • 기말고사 : 1회(10주차)


    06 담당TA

    담당TA
    신영아 TA 사진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센터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센터홈페이지(국문): https://ocks.korea.ac.kr
    홈페이지(eng): https://ocks.korea.edu/ocks_en
    e-mail: ocks.helpdesk@gmail.com

    07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한국 언어, 문화, 문학에 관심 있는 국내외 대학생과 일반인

    분야 인문 (언어 · 문학)

    난이도 전공기초

    운영기관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센터

    이수증 발급

    주차 10 주

    학습인정시간 15시간 00분 (14시간 30분)

    수강신청기간 25.01.01 ~ 25.12.31

    강좌운영기간 25.01.01 ~ 25.12.31

    전화번호 02-3290-2908

    자막언어 -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