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강의실

최근 수강강좌 목록

현재 진행중인 강좌(청강제외)만 출력됩니다.

최근접속순 최대 10개 강좌만 표시됩니다.

K-MOOC
K-MOOC 학점은행제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한국어
  • 한국어
  • ENGLISH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01 강의내용 및 학습목표

    본 강좌는 한국의 현대 소설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 작가와 작품들을 한국 근현대사의 흐름 속에서 살펴봄으로써 한국사와 한국문학, 한국학 전반에 대한 세계적 관심을 제고하고 학술적 수요에 부응하고자 기획되었다. 우리는 이야기로서의 소설 속에서 당대를 살아간 전형(典型)으로서의 인물과 삶을 만날 수 있다. 시간과 공간은 그 인물이 살아가는 세계를 구성하는 중심축이며 모든 이야기의 무대, 즉 발생 조건이다. 따라서 소설은 그 시대의 삶을 가장 생생한 형태로 만날 수 있는 언어 예술 형식이다. 한국의 주요 현대소설을 당대의 역사적 시공간 속에서 이해해보는 이 강좌를 통해 수강생들은 한국사와 한국소설, ‘이야기’로서의 역사와 소설에 대한 안목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 한국 현대문학사의 중요 작가 및 소설을 개관하면서 한국 현대사의 역사적 전개와 그에 대한 문학의 응전을 살펴본다.

    • 각 시기 문학의 특징을 소설 내 공간적 상상과 재현의 특징을 통해 파악하도록 한다.


    02 홍보영상

      

    03 담당 교수 소개

    담당교수

    권보드래 교수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최은혜 교수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고지혜 교수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04 주차별 학습내용

    • 강좌구성 : 총 10주

    • 강좌개설 : 순차적으로 개설하며, 해당 주차일에 강의가 열립니다.


    주차별 학습내용 안내
    주차 주차명 소주제
    1 한국 현대소설의 시공간
    한반도의 근대와 식민지 경험
    식민지 모더니즘과 도시 공간
    해방 전후: 트랜스내셔널의 경험
    개발-성장과 그 이후, 또는 국민과 인류
    2 전쟁과 근대 세계: 이인직의 『혈의 누』를 중심으로
    대한제국(1897-1910)과 신소설
    이인직과 그의 소설
    『혈의 누』의 공간과 세계
    『혈의 누』의 미래 지향적 시간
    3 농민의 시간과 공간: 이기영 소설을 중심으로
    식민지 조선과 농촌
    ‘민촌’ 이기영의 삶과 문학
    「홍수」의 시공간과 ‘전위’
    『고향』의 시공간과 ‘농촌공동체’
    4 식민지 ‘주의자’들과 이국: 이효석의 소설을 중심으로
    식민지 조선의 국제적 이동 서사
    이효석의 삶과 작품 세계
    이국, 혁명적 비약의 시공간
    이국인과의 사랑을 통한 정치성의 강화
    5 제국 한복판에서: 김사량의 「빛 속에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일본
    김사량, 시대와 문학
    「빛 속에서」의 시공간
    「빛 속에서」와 ‘재일(在日)’ 문제
    6 근대 도시 경성: 박태원 소설을 중심으로
    모더니즘과 경성
    구보 박태원의 삶과 문학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과 도시산책자
    청계천의 일상 풍경, 『천변풍경』
    7 古都의 발견: 이태준의 「석양」, 「패강랭」을 중심으로
    한국 문학사에서의 평양
    1930-40년대, 고도(古都)에 대한 문화적 관심
    이태준의 생애와 작품
    이태준의 「패강랭(浿江冷)」과 평양
    8 전쟁의 시공간: 최인훈의 『광장』을 중심으로
    『광장』과 4·19
    최인훈의 생애와 『광장』의 개작
    『광장』의 ‘밀실’과 ‘광장’
    전쟁포로 문제와 중립국의 상징
    9 개발과 아파트 : 최인호와 박완서의 소설을 중심으로
    1960~70년대 개발국가와 ‘아파트’
    최인호와 박완서의 문학사적 위치
    「타인의 방」과 인간소외
    「닮은 방들」과 획일화에 대한 거부
    10 지금-여기와 SF의 시공간: 김초엽의 소설을 중심으로
    SF의 개념과 역사
    SF의 시공간과 김초엽의 작품 세계
    차별과 연대의 문제와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죽음과 「최후의 라이오니」
    11 기말고사

    05 이수기준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평가방법 안내
    퀴즈 기말고사
    50% 50%

    • 퀴즈 : 매주
    • 기말고사 : 1회(10주차)


    06 담당TA

    담당TA
    신영아 TA 사진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센터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센터홈페이지(국문): https://ocks.korea.ac.kr
    홈페이지(eng): https://ocks.korea.edu/ocks_en
    e-mail: ocks.helpdesk@gmail.com

    07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한국 언어, 문화, 문학에 관심 있는 국내외 대학생과 일반인

    분야 인문 (언어 · 문학)

    난이도 전공기초

    운영기관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센터

    이수증 발급

    주차 10 주

    학습인정시간 13시간 00분 (13시간 34분)

    수강신청기간 25.01.01 ~ 25.12.31

    강좌운영기간 25.01.01 ~ 25.12.31

    전화번호 02-3290-2908

    자막언어 한국어 외 2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