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강의실

최근 수강강좌 목록

현재 진행중인 강좌(청강제외)만 출력됩니다.

최근접속순 최대 10개 강좌만 표시됩니다.

K-MOOC
K-MOOC 학점은행제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한국어
  • 한국어
  • ENGLISH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01 강의내용 및 학습목표

    본 강의는 한자의 ‘문화’ 측면에 중점을 두어 내용을 구성하였다. 먼저 漢字, 漢字文化, 漢字文化學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한자학 이해를 위해 선행해야 할 漢字學史에 대해 개괄한다. 이어서 漢字文化學의 주요 내용, 즉 ‘한자를 통한 중국고대문화 이해, 중국고대문화를 통한 한자의 이해’의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본다. 아울러 현대의 한자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現代漢字學의 주요 내용에 대해서도 검토해본다. 또한 한국을 비롯하여 대만, 홍콩, 싱가포르, 일본 등지의 한자문화를 검토하고 비교해 봄으로써 중국 한자문화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해 본다.


    •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보편 문자로서의 위상을 가지고 있는 漢字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漢字學史의 주요 내용, 漢字文化學의 개념과 연구 내용, 現代漢字學의 개념과 연구 내용 등을 설명할 수 있다.

    • 한자를 통해 동아시아의 문화를 이해하고, 동아시아의 문화를 통해 한자를 이해할 수 있다.

    • 한자가 동아시아의 각 지역에서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해 왔으며 현재에 어떠한 위상을 가지면서 사용되고 있는지 설명할 수 있다.

    • 동아시아 각 지역의 한자문화를 이해하면서, 동아시아 한자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파악할 수 있다.


    This course focuses on the cultural aspect of Chinese characters. Learners will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Chinese characters, Sinographic cultural studies, and modern study of Sinograph and grasp the cultural elements that Chinese characters themselves carry. Learners will also examine how Chinese characters changed and developed in each region of East Asia including Japan, Taiwan, Hong Kong, and Singapore and understand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f East Asian Sinographic culture.


    02 홍보영상

       

       




    03 이수기준

    ※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평가방법 안내
    퀴즈 기말고사
    80% 20%

    • 퀴즈 : 매주
    • 기말고사 : 1회(8주차)


    04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 한자 자체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학생

    • 한국·중국·일본 등 한자문화권 국가의 학생 중에서 특히 한자를 문화적 측면에서 관심을 가지는 학생

    • 서구권 학생 중에서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문화 전반 또는 한자 자체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학생

    • 한자가 동아시아 여러 국가의 공통 문자로서의 위상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에도 여전히 세계에서 영향력 있는 문자라는 인식을 가지는 학생 등 전반적으로 한자에 대한 관심을 가진 초급 수준의 학생

    수업계획서

    주차

    주차명(주제)

    차시

    차시명(학습내용)

    평가방법

    1

    한자동아시아의 한자문화


    Sinograph and East Asian Sinographic Culture

    1-1

    강의의 목표와 내용

     

    1-2

    한자란 무엇인가?

     

    1-3

    한자문화학

     

    1-4

    현대한자학

     

    퀴즈

    2

    한자학사


    History of the Study of Sinograph

    2-1

    한자 형체의 변천

     

    2-2

    소학(小學)의 개념

     

    2-3

    ()서동문(書同文)’

     

    2-4

    ()의 『설문해자(說文解字)

     

    2-5

    ()의 『강희자전(康熙字典)

     

    퀴즈

    3

    한자문화학


    Sinographic Cultural Studies

    3-1

    한자와 중국고대문화(출생/가정)

     

    3-2

    한자와 중국고대문화(교육)

     

    3-3

    한자와 중국고대문화(질병과 죽음)

     

    3-4

    한자와 중국고대문화(노예)

     

    퀴즈

    4

    한자와 중국고대문화


    Sinograph and Ancient Chinese Culture

    4-1

    한자와 중국고대문화

     

    4-2

    한자를 통해 보는 중국고대문화의 여러 가지 모습

     

    4-3

    한자를 통한 고대 문화의 이해와 고대 문화를 통한 한자의 이해

     

    4-4

    한자 이해를 통한 중국신화의 인물 이해

     

    퀴즈

    5

    현대한자학


    Modern Study of Sinograph

    5-1

    현대한자학

     

    5-2

    자형(字形)

     

    5-3

    현대한자의 표준화

     

    5-4

    한자 교육 방법론

     

    퀴즈

    6

    한국의 한자문화


    Sinographic Culture of Korea

    6-1

    한반도의 한자 유입

     

    6-2

    한국의 한자 문화

     

    6-3

    한글과 한자, 한자어

     

    퀴즈

    7

    대만과 홍콩과 싱가포르의 한자문화


    Sinographic Culture of Taiwan, Hong Kong, and Singapore

    7-1

    대만의 번체자

     

    7-2

    대만의 주음부호

     

    7-3

    홍콩의 한자 문화

     

    7-4

    홍콩의 한자 교육

     

    7-5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의 한자 문화와 교육

     

    퀴즈

    8

    일본의 한자문화와 한문교육


    Sinographic Culture and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of Japan

    8-1

    일본의 한자문화와 신상용한자(新常用漢字)

     

    8-2

    일본의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한문교육

     

    8-3

    일본의 대입 한문시험

     

    8-4

    일본의 한문교육연구 현황과 수업 사례

     

    퀴즈

    기말고사


    미리보기
    강좌운영진
    • 대표기관(문의처)
      •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센터홈페이지(국문): https://ocks.korea.ac.kr
      •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센터홈페이지(eng): https://ocks.korea.edu/ocks_en
      • e-mail: ocks.helpdesk@gmail.com
    • 양원석 교수
      • 현) 고려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문학 전공(문학 박사)
    • 나락연 교수
      • 현) 홍콩메트로폴리탄대학 예술사회과학대 교수
      • Membe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dvisory Committee, HKSAR Government.
    • 송호빈 교수
      • 현) 고려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하과 한문학 전공(문학 박사)
    • 임유의 교수
      • 현) 대만국립정치대학 한국어문학과 교수
      •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문학 전공(문학 박사)

    분야 인문 (언어 · 문학)

    난이도 교양

    운영기관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센터

    이수증 발급

    주차 8 주

    학습인정시간 13시간 00분 (09시간 20분)

    수강신청기간 25.01.01 ~ 25.12.31

    강좌운영기간 25.01.01 ~ 25.12.31

    전화번호 02-3290-2908

    자막언어 한국어 외 2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