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역사적 주제를 구술사로 조망함으로써, 한국 현대사의 생생한 장면을 체감하고 역사가 과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와 소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술사 연구의 방법론을 익히고, 실제로 연구에 적용할 때 필요한 절차와 유의점을 파악할 수 있다.
Through topics where oral history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part of the study of Korean modern history, this course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flow of Korean modern history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to think about the value of the voices of those involved in historical events from a universal perspective. Also, to perform actual oral storytelling, the course introduces the methodology for conducting actual oral history research in Korean modern history.
본 강의는 총 11주차로 구성되어 있고, 강의는 10주 동안 진행된다. 각 주의 강의는 주제별로 5~6개(차시)의 영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차별로 학습자가 해당 주차의 학습 내용을 스스로 정리하고 확인할 수 있는 퀴즈 혹은 강의 내용을 보충하는 읽기자료 등 비영상 학습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학습자는 매주 강의 영상을 시청하고 학습활동을 마쳐야 한주 과정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된다. 마지막 주차에는 강좌 전체의 학습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직접 구술을 진행해 결과물을 제출한다.
This course consists of 11 weeks in total, and the instructor's lectures will run for 10 weeks. Each week's lecture consists of 5 to 6 videos depending on the topic of the lecture. Learners are required to watch the lecture videos and complete non-video learning elements such as quizzes and supplementary reading materials to fulfill the course requirements. To complete the requirement of the lesson each week, learners must finish all assigned tasks. In the last week (Week 11), students will conduct an oral storytelling project using the contents of the entire course and submit a final report.
주차 | 주차명(주제) | 차시 | 차시명(학습내용) | 평가방법 |
1 | 구술사란 무엇일까 What is Oral History | 1-1 | 각 지역 및 국가별 구술사의 출발과 구술사에 대한 정의 Definitions of Oral History and the Incipient Moments of Oral History in Each Region and Country | 퀴즈 Quiz |
1-2 | 구술사의 목적과 말하기 및 듣기의 효과와 의미 Objectives of Oral History and the Effects and Significance of Speaking and Listening | |||
1-3 | 구술, 증언, 인터뷰 개념과 방법의 차이 및 구술의 특징과 의의 Characteristics of Oral Storytelling and the Methodological Differences among Oral Storytelling, Testimonies, and Interviews | |||
1-4 | 이 강좌의 주차별 구성과 현대사 연구 주제 Main Themes of the Course and the Themes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 |||
1-5 | 최종과제(구술 실행) 안내 About the Final Project | |||
2 | 한국 구술사 연구의 흐름 Oral History Research Conducted in Korea | 2-1 | 해방과 분단 및 한국전쟁의 전개 및 영향, 4.19혁명의 의의 Liberation, National Division, the Korean War, and the April 19 Revolution | 퀴즈 Quiz |
2-2 | 1960~1970년대의 주요 사건과 시대적 특징 및 5.18 광주 민주화운동의 전개와 의의 Important Ev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1960s and 1970s;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 |||
2-3 |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의 배경과 1987년 6월 민주항쟁의 의미 Background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s during the 1980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June Democratic Uprising in 1987 | |||
2-4 | 1980년대 후반 이후 주요 사건 증언 기록 사례들 Cases of Recorded Testimonies after 1987 | |||
2-5 | 2000년대 이후 구술사 연구의 사례와 특징 및 구술사 연구 사업의 주요 현황 Characteristics of Oral History Research after the 2000s, | |||
3 | 제주 4·3과 5.18 민주화운동 The Jeju April 3 Incident and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 3-1 | 제주도 일제 진지동굴과 4·3사건 현장 및 4·3 피해자 규모와 4·3 문학 Cave Fortifications in Jeju Island, Sites of the April 3 Incident, Size of Victims of the Incident, and the April 3 Literature | 퀴즈 Quiz |
3-2 | 제주 4·3의 법적 정의와 당시 사건 및 구술 사례와 진상규명에서 구술의 의미 Legal Definition of the Jeju April 3 Incident, Oral Testimonies on the Incident, Investigation of the Truth of the Jeju April 3 Incident, and the Meaning of Oral Histories | |||
3-3 | 1980년 5월 광주에서 시민의 저항과 신군부의 진압 및 5.18이 보도되지 않은 배경과 이후의 억압 Citizens’ Resistance and the Repression of the New Military Regime in Gwangju during May 1980; Why and How May 18 was Not Reported | |||
3-4 | 5.18 헬기사격 증언과 사진 및 집단발포 증언과 명령 Issue of Firing from Helicopters and Troops Opening Fire on the Citizens | |||
3-5 | 제주4·3, 5.18민주화운동 특별법 제정 과정과 현 상황 및 특별법의 의미와 이후 과제 Enactment of the Special Acts Regarding the Jeju April 3 Incident and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 |||
4 | 분단과 한국전쟁 체험 Experiences of National Division and the Korean War | 4-1 | 한국전쟁 전개 과정에서 주요 국면과 결과 Mian Scenes of the Korean War and Its Aftermath | 퀴즈 |
4-2 | 노근리사건과 미군 폭격 및 민간인 학살의 범주와 진상 규명 The Nogeun-ri Incident, the Tragedies of Bombing and Civilian Massacres | |||
4-3 | 국군과 인민군 경험 이야기 및 제2국민병과 국민방위군 사건 Stories of Becoming Soldiers of ROK and DPRK; the National Defense Corps or the Second National Corps Incident | |||
4-4 | 기지촌의 형성 과정과 특징 및 기지촌 성매매 여성의 발생과 정부의 대응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amptowns, the Background Behind Women Working in Prostitution, and the Involvement of the State | |||
4-5 | ‘혼혈’ 아동을 향한 여러 면의 부정적 인식 및 해외입양의 배경과 특징 Negative Perception of Multiracial Children;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Overseas Adoption | |||
4-6 | 고아의 상황과 ‘부랑아’의 생활 Issues on Orphans and the Lives of Vagrant Children | |||
5 | 한국전쟁 후 피난과 정착 Refugees and Resettlement after the Korean War | 5-1 | 한국전쟁 피난민의 지역별, 시기별 규모 Time Period and Scale of the War Refugees | 퀴즈 Quiz |
5-2 | 피난민 대책과 수용 관련법 및 피난 경로 지시 Fleeing Route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and the Regulations Regarding the Accommodation of Refugees | |||
5-3 | 흥남 철수 및 서해안 지역 피난과 미 수송선의 모습 The Operation to Evacuate Heungnam; Refugees along the Western Coast; Stories about the American Cargo Ships | |||
5-4 | 복귀가 불가능한 피난민과 난민정착사업의 시작·규모·사례 지역 The Refugee Resettlement Project, the Implementation, Scale and Operation of the Project | |||
5-5 | 정착사업의 개간과 간척 과정 및 원조와 피난민 차별 문제 Land Reclamation and Development as the Result of the Refugee Resettlement Project and the Issues of Aid and Discrimination | |||
6 | 1960~70년대 사회 통제와 인권 침해 Violations of Human Rights under the Social Control during the 1960s and 1970s | 6-1 | 5.16쿠데타 전후 개척단 형성 배경과 피해자들의 경험 Background behind the Formation of the Pioneering Group and the Experiences of the Victims before and after the May 16 Military Coup | 퀴즈 Quiz |
6-2 | 개척단을 농촌에 정착시키려고 한 협동 결혼 추진 과정과 실제 경험 및 구술 준비 과정 중 질문지 사전 제공 문제 A Mass Marriage to Resettle the Men of the Pioneering Group; Issue of Distributing the Questionnaires in Advance | |||
6-3 | 개척단의 농지 조성 현황 및 서산과 장흥의 농지 분배 차이와 서산 농민들의 요구 Size of Farmland the Pioneering Group Created and the Problems in the Distribution of the Farmland | |||
6-4 | 서산 개척단의 해산 과정과 장흥의 농지 분배 이후 떠난 사람들 및 현지에 정착한 사람들과 사건이 알려진 과정 Disbandment of the Pioneering Group in Seosan; Stories about the People Who Left after Land Distribution in Jangheung; the Current State of the Issue of the Pioneering Group | |||
6-5 | 납북귀환 어부 현황과 배경 및 귀환 후 연행과 강제 심문 Fishermen Who Returned after Being Kidnapped to North Korea, Background, Arrest, and Forced Interrogations | |||
6-6 | 납북귀환 어부에 대한 감시와 일상 파괴, 지역에서의 고립 및 연좌제로 인한 가족과 친척의 피해 Surveillance, Isolation, and Stigma That Extended to the Families and Relatives of the Fishermen Who Returned after Being Kidnapped to North Korea | |||
7 | 1980년대 광부들의 사북항쟁과 여성 수용 The Sabuk Uprising by Miners and the Female Concentration Camps in the 1980s | 7-1 | 사북항쟁의 배경과 전개 과정 What is the Sabuk Coal Mine Struggle | 퀴즈 Quiz |
7-2 | 탄광에서 정부와 회사의 결탁과 통제, 고문 등 국가폭력에 의한 피해 Collus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Mining Company; Control, Torture, and State Violence | |||
7-3 | 여성의 항쟁과 탄광촌에서의 삶, 항쟁 이후 지역의 변화 Women Living in Coal-Mining Towns and Their Struggle; Changes in Sabuk after the Struggle | |||
7-4 | ‘윤락행위등방지법’과 사회정화운동 및 여성수용시설의 수용방식과 기능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Prostitution, the Social Purification Movement, and the Women’s Institutions | |||
7-5 | 여성수용시설의 인권침해 사례와 수용시설에서의 탈출 시도 사례 Human Rights Violations Occurred in the Women’s Institutions and Women Who Tried to Escape from the Institutions | |||
7-6 | 1960~80년대 시대적 배경과 성격 및 한국 현대사에서 구술의 의미 Social Background from the 1960s to the 1980s and the Meaning of Oral Narratives in Korean Contemporary History | |||
8 | 세월호 유가족의 말하기 Act of Speaking by the Families of the Victims of MV Sewol | 8-1 | 세월호 침몰이 사회적 참사로 진행된 당시 상황 및 부모와 희생자 자녀의 마지막 연락 How the Sewol Ferry Disaster Turned into a Social Disaster; Last Contact between the Victims and Their Parents | 퀴즈 Quiz |
8-2 | 참사 직후의 진도, 안산의 상황과 피해자의 이야기 및 팽목항과 진도체육관에서 가족 모임이 만들어진 과정 Jindo after the Disaster; Ansan and the Stories of the Victims; Organization of the Victims’ Families at Paengmok Port and Jindo Gymnasium | |||
8-3 | 참사 당시 구조하지 않은 상황과 가족들의 심정 및 자녀 수습 과정의 슬픔 Rescue was Not Happening; Sadness and Grief of the Parents Who Lost Their Children | |||
8-4 | 특별법 등 진상규명 활동 과정 및 피해자들의 노력과 활동 모습 Activities Carried out to Urge an Investigation for the Truth | |||
8-5 | 유가족의 특별법 촉구 활동에 대한 정부의 대응 및 세월호 참사의 피해 현황 Government’s Reaction to the Bereaved Family Members’ Demand for the Enactment of a Special Act; Damages Caused by the Sewol Disaster | |||
8-6 | 세월호 희생자 가족을 향한 언론과 정치권의 문제점과 사회적 인식의 변화, 기억과 추모의 어려움과 유가족의 삶 Problems of the Press and the Political Circle; Changes in the Social Perception; Difficulty of Remembrance and Commemoration; Lives of the Bereaved Family | |||
9 | 구술 준비 과정 Preparation for Oral Storytelling | 9-1 | 구술연구의 방식과 구술자의 유형, 구술자 섭외에서 고려할 점과 유의사항 Method of Oral Storytelling; Types of Storyteller; Issue of Contacting the Storyteller | 퀴즈 Quiz |
9-2 | 사전면담의 필요성과 구술소개 방법 및 사전면담의 방법과 유의사항 Necessity, Methodology, and Issues Regarding Preliminary Meetings | |||
9-3 | 구술 장소 섭외 시 고려사항과 질문지 작성 방법 Issues of Choosing a Place to Conduct the Storytelling; Method of Writing a List of Questions | |||
9-4 | 질문지 사례: 고아 출신 개척단원과 춘천 시민(여성) Example of a List of Questions: A Member of the Pioneer Group from an Orphanage and a Female Citizen from Chuncheon | |||
9-5 | 질문지와 필요 자료 준비, 녹음 및 촬영 방법과 유의사항 List of Questions and Equipment to Prepare; Points to be Careful about When Filming | |||
10 | 구술사 연구 방법론과 총정리 Methodology of Oral History and Conclusion | 10-1 | 구술 시 질문하는 방법으로써 피해야 할 질문과 ‘열린’ 질문 Types of Questions That Should be Avoided and Open Questions | 퀴즈 Quiz |
10-2 | 질문을 잘하는 방법과 사례 및 메모의 중요성과 활용 방법 How to Ask Questions Well; Importance of Taking Notes | |||
10-3 | 면담일지 작성 방법 및 구술 기록을 남기는 의미와 활용 How to Write the Interview Log; Significance and Use of the Recorded Oral Storytelling | |||
10-4 | 녹취문 작성의 의미와 필요성 및 작성 방법 Significance, Necessity, and Method of Writing Transcripts | |||
10-5 | 출판, 공공기관 사업, 박물관 등 구술 활용 사례 How Oral Material is Used by Public Agencies and Museums | |||
10-6 | 주차별 강의의 주요 내용과 그 의미 Review of Each Lesson | |||
11 | 최종과제 Final Assignment | 11-1 | 구술 진행 Conducting Oral Storytelling | 과제 Assignment |
11-2 | 우수한 과제 공지 Announcement of the Well-Written Reports | |||
11-3 | 수업에 대한 감상 남기기 Writing a Course Review |
과제명 | 퀴즈(Quiz) | 토론(Discussion) | 과제(Assignment) |
---|---|---|---|
반영비율 | 60% | 20% | 20% |
※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A certificate will be issued if the learner earns a total score of 60% or hig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