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 | 주차명(주제) | 차시 | 차시명(학습내용) | 평가방법 |
1 | 개화기 문학과 근대 문학 Literature of the Enlightenment Period and Modern Literature
| 1 | 한국현대문학사에서 제도란 Structure in the History of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 퀴즈(4점) 시청각자료(2점) 읽기자료(2점) 토론 (주차별 총 8점) |
2 | 개화기의 개념과 근대 문학의 유입 Concept of the Enlightenment Period and the Inflow of Modern Literature |
3 | 신소설: 이인직 「혈의 누」 Introducing the Major Writers: Sinsoseol: Lee Injik 「Tears of Blood」 |
4 | 신체시: 최남선 「해에게서 소년에게」 New-Style Poetry: Choe Nam-seon 「From the Ocean to the Youth」 |
5 | 강의 내용 정리 및 2주차 주제 소개 Summary of Week 1 Lecture and Introduction to Week 2 Lecture |
2 | 제1동인지기 The 1st Period of Coterie Magazines
| 1 | “동인”이란? - 제1동인지기의 개념 What is “Coterie”? ― Concepts of the 1st Period of Coterie Magazines | 퀴즈(4점) 시청각자료(2점) 읽기자료(2점) 토론 (주차별 총 8점) |
2 | 동인지 연보 정리 및 주요 동인지 소개: 창조, 폐허, 백조 Introduction to Major Coterie Magazines:「Baek-jo (white current)」, 「Pye-heo (ruins)」, 「Chang-jo (creation)」and Others |
3 | 주요 문인 소개 Introduction to Major Writers: Lee Sang-hwa, Kim Eok, Kim Dong-in and Others |
4 | 주요 작품 소개 Introduction to Major Works and Their Periodic Significance |
5 | 강의 내용 정리 및 3주차 주제 소개 Summary of the Lecture and Introduction of Week 3
|
3 | 리얼리즘 문학 Realism Literature
| 1 | 리얼리즘의 유입 Inflow of Realism
| 퀴즈(4점) 시청각자료(2점) 읽기자료(2점) 토론 (주차별 총 8점) |
2 | 카프(KAPF)의 결성과 1차 방향전환 The Formation and the 1st Change of Direction of KAPF
|
3 | 제2차 방향전환과 카프의 해체 〈Tsession Title: The 2nd Change of Direction and the Dissolution of KAPF |
4 | 주요 문인 및 작품 소개 Introduction to Major Writers and Their Works
|
5 | 동반자 문학, 강의내용 정리 및 4주차 주제 소개 Fellow Traveler Literature, Summary of Lecture and Introduction to the Topic of Week 4 |
4 | 구인회와 모더니즘 Guinhoe and Modernism
| 1 | 카프문학 그 이후 Aftermath of KAPF Literature
| 퀴즈(4점) 시청각자료(2점) 읽기자료(2점) 토론 (주차별 총 8점) |
2 | 시문학파: 문학의 순수성 Simunhak-pa (Poetry and Literature School): The Purity of Literature |
3 | 구인회: 모더니스트 Guinhoe: Modernist
|
4 | “기교주의 논쟁” “Technicalism Debate”
|
5 | 강의내용 정리 및 5주차 주제 소개 Summary of the Week and Introduction of Week 5
|
5 | 제2동인지기 The 2nd Period of Coterie Magazines
| 1 | “동인”의 부활 – 제2동인지기의 개념 Revival of “Coterie” ― Concept of the 2nd Period of Coterie Magazines | 퀴즈(4점) 시청각자료(2점) 읽기자료(2점) 토론 (주차별 총 8점) |
2 | 주요 동인지 소개: 시원, 낭만, 시인부락, 시학 Introduction to Major Coterie Magazines: Siwon, Nang-man, Siin Burak, Sihak |
3 | 문장, 인문평론 그리고 국민문학 〈Munjang (sentence), Inmunpyeongron (humanities review) and Kukmin Munhak (national literature) |
4 | 친일문인과 작품 분석 Analysis of Pro-Japanese Writers and Their Works
|
5 | 강의 내용 정리 및 6주차 주제 소개 Summary of Lecture and Introduction to Topics of Week 6
|
중간고사 midterm exam
| 중간고사 midterm exam
| 10점 |
6 | 해방기와 한국전쟁 Liberation Period and Korean War
| 1 | 해방기 문학 Literature in Liberation Period
| 퀴즈(4점) 시청각자료(2점) 읽기자료(2점) 토론 (주차별 총 8점) |
2 | 한국전쟁의 원인과 전쟁 The Cause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War
|
3 | 전후 문학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Post-war Literature
|
4 | 주요 작품 분석 Analysis of Major Works
|
5 | 강의 내용 정리 및 7주차 주제 소개 Summary of Lecture and Introduction to Topics of Week 7
|
7 | 독재시대와 순수/참여 논쟁 The Dictatorship Era and the Dispute of Pure/Participation Literature
| 1 | 이승만 정부와 4.19 혁명 Rhee Syngman Government and the April Revolution
| 퀴즈(4점) 시청각자료(2점) 읽기자료(2점) 토론 (주차별 총 8점) |
2 | 미완의 혁명 Revolution Incomplete
|
3 | 4.19 세대: 순수/참여 논쟁 4.19 Generation: the Dispute of Pure/Participation Literature |
4 | 순수/참여 논쟁 전개 Development of the Dispute of Pure/Participation Literature |
5 | 순수/참여시 소개 및 강좌 내용 정리, 8주차 주제 소개 Representative Poems of Pure/Participation Literature, Summary of the Week and Introduction of Week 8 Lecture |
8 | 문학 에꼴 – <창작과 비평>, <문학과 지성> École Literature – 〈Creation and Criticism〉, 〈Literature and Intelligence〉
| 1 | 박정희 정부, 한국의 60년대와 70년대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in the 60s and 70s of Korea | 퀴즈(4점) 시청각자료(2점) 읽기자료(2점) 토론 (주차별 총 8점) |
2 | 4.19 세대: <창작과 비평> 4.19 Generation: 〈Creation and Criticism〉
|
3 | 4.19 세대: <문학과 지성> 4.19 Generation: 〈Literature and Intelligence〉
|
4 | <문학과 지성>의 문학 에꼴 구축 과정: 황동규 문학 비평을 중심으로 Founding Process of École Literature by 〈Literature and Intelligence〉: Focusing on Hwang Tong-gyu’s Literary Criticism |
5 | 강의내용 정리 및 9주차 주제 소개 Summary of Week 8 Lecture and Introduction to Week 9 Lecture |
9 | 노동문학 Labor Literature
| 1 | 산업화 시기와 노동권 투쟁 Period of Industrialization and Struggle for Workers' Rights
| 퀴즈(4점) 시청각자료(2점) 읽기자료(2점) 토론 (주차별 총 8점) |
2 | 전태일 Jeon Tae-il
|
3 | 노동 문학 Labor Literature
|
4 | 노동시 Labor Poetry
|
5 | 강의 내용 정리 및 10주차 주제 소개 Summary of Lecture and Introduction to Week 10 Topic
|
10 | 오월문학 May Literature
| 1 | 서울의 봄, 그리고 광주 민주화 운동 Seoul Spring and the Gwangju Uprising
| 퀴즈(4점) 시청각자료(2점) 읽기자료(2점) 토론 (주차별 총 8점) |
2 | 80년대의 5월 문학 May Literature of the 1980s
|
3 | 90년대의 5월 문학 May Literature of the 1990s
|
4 | 후일담 문학과 00년대의 오월 문학, 10주차 강의 내용 정리 Huildam (reminiscence) Literature and May Literature of the 2000s, Summary of Week 10 Lecture |
5 | 한국 문학사의 제도·개념·실천 강의내용 정리 Summary of the Lecture 'Structure, Concept, and Practice of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
기말고사 final exam
| 기말고사 final exam
| 총 10점 |
총 100점 중 60점 이상 이수증 발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