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s

한국어
  • 한국어
  • ENGLISH

Discover Courses

Recommended Courses

    Multilingual settings

    Course Introduction
    강좌소개
    • 이 강좌는 디지털 친화적 미래 인재에게 요구되는 큐레이팅의 개념과 방법을 파악하고 지역의 인물, 역사적 사건, 삶의 장소, 예술 공간 등 로컬역사문화자원과 관련된 방대한 자료를 수집·분석하고 가치를 부여하여, 이를 재창조하는 실전연습을 통해 구성력을 함양하고 공유가치 생산자로서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학습목표
    •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을 새롭게 발견하고 적용할 수 있는 민감성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실천할 수 있는 창의성을 함양한다.
    • 지역역사문화자원을 수집, 선별, 조합하여 데이터의 가치를 발굴하고 이를 재창출하여 콘텐츠화 한다.
    강좌 운영일정
    • 수강신청기간 : 25. 01. 09.(목) ~ 25. 02. 28.(금)
    • 강좌운영기간 : 25. 01. 09.(목) ~ 25. 02. 28.(금)
    이수 및 평가기준
    • 영상진도율: 전체 영상에 대하여 90% 이상 진도율로 영상 시청  
    • 전체 성적(퀴즈: 40점, 과제 60점) 중 총 60점 획득  
    • 위 두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한 경우,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Syllabus

    주차

    주차명(주제)

    차시

    차시명(학습내용)

    평가방법

    1

    디지털시대에 대한 이해

    1-1

    디지털 시대의 변천과 디지털 정보의 특징

    퀴즈

    1-2

    디지털 세계의 개인, 공간, 시간

    1-3

    빅데이터와 AI 환경의 도래

    2

    디지털시대 C세대와 문화현상

    2-1

    C세대의등장과특징

    퀴즈

    2-2

    밈의 개념과 사례

    2-3

    재미와 가치의 추구

    3

    큐레이팅에 대한 이해와 사례

    3-1

    큐레이터의 개념과 변천

    퀴즈

    3-2

    큐레이션의 개념과 사례

    3-3

    큐레이팅의 개념과 사례

    4

    큐레이팅 윤리와 저작권

    4-1

    큐레이팅에 대한 비판과 옹호

    퀴즈

    4-2

    저작권과 큐레이팅 1: 공공누리

    4-3

    저작권과 큐레이팅 2: CCL

    5

    로컬과 문화콘텐츠

    5-1

    지방, 지역의 개념

    퀴즈

    5-2

    로컬과 글로컬의 개념

    5-3

    로컬과문화콘텐츠

    6

    큐레이팅 자원으로서 세계유산과 국가유산

    6-1

    세계유산과 국가유산

    퀴즈

    6-2

    국가유산에대한이해

    6-3

    디지털 공간에서 국가유산자원 수집하기

    7

    큐레이팅 자원으로서 로컬역사문화자원

    7-1

    인적자원

    퀴즈

    7-2

    공간적자원, 시간적자원

    7-3

    로컬역사문화자원 수집하기

    9

    중간고사

    -

    중간고사

    시험

    9

    기획서 형식에 대한 이해와 질문하기

    9-1

    질문하기

    -

    9-2

    사례를 통한 질문하기 방법

    9-3

    영상 콘텐츠의 주제 선정하기

    10

    큐레이팅 소재의 선정과

    영상큐레이팅의수집

    10-1

    기획서 작성에 대한 이해와 관련영상 큐레이팅 사례의 수정

    -

    10-2

    큐레이팅 영상 콘텐츠 기획서 작성법

    10-3

    SWOT 분석에 대한 이해

    11

    영상 결과물 창출을 위한 전략 구상

    11-1

    큐레이터의 개념과 변천

    -

    11-2

    SWOT 분석의 강점과 약점

    11-3

    SWOT 분석의 외적 환경

    12

    스토리 구상과 스토리 보드 작성

    12-1

    스토리 구상을 위한 내용 수집

    -

    12-2

    스토리보드 작성법

    12-3

    스토리 구상 사례

    13

    현장 답사와 현장 자료 수집

    13-1

    현장답사 조사 방법

    -

    13-2

    현장 인터뷰 방법

    13-3

    현장답사와 인터뷰 사례

    14

    핸드폰 앱 영상 제작과 디지털 공간 전시

    14-1

    KineMaster 활용하여 편집하기

    -

    14-2

    KineMaster 활용한 편집 사례

    14-3

    나만의 디지털 공간 만들기와 전시

    15

    기말고사

    -

    기말고사

    과제

    Preview
    Course Operators
    • 박미선 교수

      현)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부교수

      전)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원 전임연구원

      E-mail: k-mooc@jnu.ac.kr


    • 강좌지원조교

      배은유 TA 

      - 전남대학교 인문커뮤니티융합학과 박사과정

      - E-mail: metaphorb@gmail.com

    FAQ

    Q 이수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A 이 강좌의 이수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성적: 전체 성적 중 60점 이상 획득 - 영상진도율: 전체 영상에 대하여 90% 이상 진도율을 획득 위 2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이수증 발급이 가능합니다.

    Q 선수학습이 필요한 강좌인가요?

    A 이 강좌는 교양 수준으로 제작되었으며, 인문학, 큐레이팅, 로컬문화에 관심이 있는 누구나 학습할 수 있습니다.

    Q 강좌 교재가 따로 있나요?

    A 이 강좌는 별도의 교재가 없으며, 학습자료를 별도 PDF 파일로 제공합니다.

    Other / Inquiries
    ☎ 062)530-5029 (전남대학교 교육혁신본부)

    Field Humanities (Humanities Sciences)

    Difficulty beginner

    Operating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ertificate Unissued

    Week 15 Week

    Learning recognition time 30Hour 00Minute (30Hour 49Minute)

    Course Registration Period 25.01.09 ~ 25.02.28

    Course Duration 25.01.09 ~ 25.02.28

    Phone Number 062-530-5029

    Subtitle language 한국어 Others 1ea

    Course language 한국어(ko)

    Recommended Courses
    Same institution cou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