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좌소개
    • 이 강좌는 수강생으로 하여금 과학의 역사를 이해하고, 나아가 과학이 오늘날 왜 이렇게 막강한 권력을 갖게 되었는지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학습목표
    •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과학 이론의 교체 과정을 역사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현대과학의 기원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 과학의 발전을 당대의 정치적, 사회적 맥락에서 살펴봄으로써 과학과 사회의 관계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다. 
    • 과학적 합리주의와 과학적 상대주의 간의 논쟁을 공부함으로써, 오늘날 과학이 왜 이렇게 막강한 권력을 갖게 되었는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강좌 운영일정
    • 수강신청기간 : 25. 01. 10.(금) ~ 25. 02. 28.(금)
    • 강좌운영기간 : 25. 01. 10.(금) ~ 25. 02. 28.(금)
    이수 및 평가기준
    • 퀴즈: 26% 
    • 중간시험: 37% 
    • 기말시험 37% 
    •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수업계획서

    주차

    주차명(주제)

    차시

    차시명(학습내용)

    평가방법

    1

    고대 그리스 과학과

    플라톤

    1-1

    아테네학당과 고대 그리스 과학자들

    퀴즈

    1-2

    플라톤과 동굴의 비유

    2

    아리스토텔레스의 과학

    2-1

    아리스토텔레스와 두 세계

    퀴즈

    2-2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론

    3

    헬레니즘 과학

    3-1

    알렉산더와 헬레니즘 과학

    퀴즈

    3-2

    에우클레이데스의 ≪기하학원론≫

    3-3

    에라토스테네스와 아르키메데스

    4

    과학혁명의 기원

    4-1

    이슬람 과학

    퀴즈

    4-2

    과학혁명이란 무엇인가?

    5

    실험과 과학도구의 탄생

    5-1

    프랜시스 베이컨,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관을저격하다

    퀴즈

    5-2

    진공과 공기 펌프

    5-3

    천체 망원경과 새로운 천문학

    5-4

    현미경과 미시세계의 발견

    6

    천문학의 혁명

    6-1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동설

    퀴즈

    6-2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6-3

    튀코 브라헤

    6-4

    요하네스 케플러

    6-5

    갈릴레오의 천문학

    7

    중간고사

    -

    중간고사

    시험

    8

    뉴턴과 중력 개념의 탄생

    7-1

    자석에 대한 두 시각: 물활론과 원자론

    퀴즈

    7-2

    기계적 자연관과 마술적 자연관

    7-3

    뉴턴과 중력 법칙의 탄생

    9

    진화론의 이해

    9-1

    칼 린네와 자연의 체계

    퀴즈

    9-2

    찰스 다윈과 자연선택설

    9-3

    진화론과 이기적 유전자

    10

    원자론

    10-1

    고대 그리스 원자

    퀴즈

    10-2

    원자를 쪼개다-톰슨과 러더포드

    10-3

    20세기 원자론-닐스 보어와 하이젠베르크

    11

    중국의 전통과학과 기술

    11-1

    조셉 니덤과 중국의 과학

    퀴즈

    11-2

    중국의 발명품들

    12

    조선과 일본의 전통과학과 기술

    12-1

    천상열차분야지도로 읽는 조선의 천문학

    퀴즈

    12-2

    조선의 시계

    12-3

    일본의 난학과 가라쿠리 인형

    13

    과학적 합리주의

    13-1

    논리 실증주의와 귀납주의 과학관

    퀴즈

    13-2

    가설 연역적 방법론

    13-3

    칼 포퍼와 반증주의

    14

    과학적 상대주의

    14-1

    반증주의 비판

    퀴즈

    14-2

    토머스 쿤과 과학혁명론

    14-3

    라카토슈와 과학적 연구 프로그램의 방법론

    14-4

    라투르와 행위자 연결망 이론

    15

    기말고사

    -

    기말고사

    시험

    미리보기
    강좌운영진
    • 김성근 교수

      현) 전남대학교 자율전공학부 학부장
      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버클리 과학기술사 연구실, 연구학자, 2008-2012.
      전) 영국 케임브리지 니덤연구소, 방문 연구원, 2007-2008.


      요저서
      ≪그림으로 읽는 서양과학사≫, 플루토, 2022
      ≪위대한 과학 고전 30권을 1권으로 읽는 책≫, 빅피시, 2022E-mail: k-mooc@jnu.ac.kr

    • 강좌지원조교

      정은 TA 

       - 전남대학교 철학과 

       - E-mail: oneuns0330@naver.com



    자주묻는질문

    Q 이수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A 이 강좌의 이수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성적: 퀴즈 26점, 중간시험 37점, 기말시험 37점으로 구성됩니다. 총 성적이 60점 이상이어야 이수증 발급이 가능합니다.

    Q 선수학습이 필요한 강좌인가요?

    A 이 강좌는 교양 수준으로 제작되었으며, 인문학, 과학사에 관심이 있는 누구나 학습할 수 있습니다.

    Q 강좌 교재가 따로 있나요?

    A 이 강좌는 별도의 교재가 없으며, 학습자료를 별도 PDF 파일로 제공합니다.

    기타·문의처
    ☎ 062)530-5029 (전남대학교 교육혁신본부)

    분야 인문 (인문과학)

    난이도 교양

    운영기관 전남대학교

    이수증 미발급

    주차 15 주

    학습인정시간 30시간 00분 (16시간 09분)

    수강신청기간 25.01.10 ~ 25.02.28

    강좌운영기간 25.01.10 ~ 25.02.28

    전화번호 062-530-5029

    자막언어 한국어 외 1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