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 강좌소개
    반갑습니다. 알기 쉬운 이차전지 제조공정 강좌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본 강좌는 부산대학교의 알기 쉬운 이차전지 시리즈 중 두 번째 여정으로,
    전기차를 움직이기 위한 13개의 배터리 팩을 모으는 배움의 대모험이 펼쳐집니다.

    이차전지의 핵심 제조공정을 따라가며, 소재부터 시스템 설계까지 하나씩 알아가게 될 것 입니다!
    마치 RPG 게임처럼 각 주차마다 새로운 미션이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여러분에게 즐겁고 유익한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각 주차 콘텐츠는 운영 일정에 따라 순차 업로드될 예정이니, 퀘스트 알림을 꼭 확인하세요!
         (본 강좌의 9~13주차는 운영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업로드 될 예정입니다.)

    🎯 학습목표
    ✔ 실생활과 산업 현장에서 활용되는 이차전지의 핵심 개념과 흐름을 파악해요.
    ✔ 양극, 음극, 전해질, 분리막 등 주요 소재와 제조 기술을 흥미롭게 학습해요.
    ✔ 다양한 응용 분야와 고도화되고 있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의 방향성을 살펴봐요.
    ✔ 이 모든 배움을 통해, 여러분은 미래 에너지 시대의 이해자이자 창조자가 될 수 있습니다!


    📆 강좌 운영일정
    • 수강신청기간: 2025. 02. 26~ 2025. 06. 06.
    • 강좌운영기간: 2025. 02. 28 ~ 2025. 06. 13.

    🧪이수 및 평가기준
    총 60% 이상의 성취를 달성하면 이수할 수 있어요!
    평가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퀴즈: 40% , 중간고사: 30%, 기말고사: 30%

    이제, 에너지가 흐르는 지식의 세계로 떠날 준비가 되셨나요?
    첫 번째 배터리 팩을 찾으러 가봅시다! 🔋⚡
    수업계획서
    주차 주차명(주제) 차시 차시명(학습내용) 평가방법
    1 이차전지 소재의 이해 1-1 전구체와 리튬 금속 퀴즈
    1-2 양극 활물질과 금속의 특징
    1-3 전자의 상태와 금속의 역할 (1)
    1-4 전자의 상태와 금속의 역할 (2)
    1-5 금속과 산화환원반응
    1-6 에너지 밀도를 결정하는 양극 활물질 소개
    2 이차전지 관련 기업과 소재, 셀, 팩 밸류 체인의 이해 2-1 배터리 화재 사례 및 원인 퀴즈
    2-2 다양한 분리막 제조 공정
    2-3 N/P 용량 비율과 안정성
    2-4 패키징 기술과 화재
    2-5 리튬 이차전지 화재 위험성 및 재현성 실험
    2-6 LIB 제조 공정별 위험도 분류
    3 고에너지밀도 리튬이온전지 소재의 장단점 3-1 전고체 전지란? 퀴즈
    3-2 전고체 전지의 장단점
    3-3 전고체 전지 제작 기술
    3-4 바이폴라셀 제작 공정
    3-5 롤투롤 연속 공정
    3-6 전고체 전지의 동향
    4 전극 코팅 관련 이론과 공정의 이해 4-1 리튬이온전지 화재 개선을 위한 노력 퀴즈
    4-2 수계 리튬 이온 전지
    4-3 수계 나트륨 이온 전지
    4-4 수계 아연 이온 전지
    4-5 기존 코팅 방식의 문제점 및 수계 코팅 공정
    4-6 건식 코팅 고정
    5 전극 스태킹과 와인딩 공정이란? 5-1 권취와 적층 공정 1 퀴즈
    5-2 권취와 적층 공정 2
    5-3 젤리롤 제작 공정
    5-4 권취형 배터리 화재
    5-5 원통형 전극 와인딩
    5-6 특허 및 논문 소개
    6 파우치, 원통형, 각형 셀 조립 장비의 이해 6-1 저항 용접과 초음파 용접 퀴즈 
    6-2 레이저 용접과 응용 분야
    6-3 파우치 조립 장비
    6-4 원통형 조립 장비
    6-5 각형 조립 장비
    6-6 전해액 주입 장비
    중간고사
    7 레이저 노팅, 탭리스 공정의 이해 7-1 전극 설계 사양 이해 퀴즈
    7-2 소폭 슬리팅 공정
    7-3 금형 노칭의 이해
    7-4 레이저 노칭의 이해
    7-5 탭리스 공정의 이해1
    7-6 탭리스 공정의 이해2
    8 리튬이온전지 화재 사고의 이해 8-1 리튬 이온 전지 화재 사례와 열폭주 퀴즈
    8-2 유지 전해액의 특성
    8-3 화재 대응 및 후속 조치
    8-4 보관시 주의사항
    8-5 안전 인증 및 규제 기준
    8-6 안정성이 높은 차세대 배터리 종류
    9 화재 사고 방지를 위한 셀 소재의 이해 9-1 안정성 강화를 위한 소재 개발 방향 퀴즈
    9-2 발화 메커니즘과 전해액 종류에 따른 발화 특성
    9-3 화재 방지를 위한 기능성 전해액
    9-4 화재 방지를 위한 기능성 분리막
    9-5 양극 소재의 열적 안정성 향상
    9-6 음극 소재의 안정성 향상
    10 화재 사고 방지를 위한 설계 및 제조 공정의 이해 10-1 배터리 화재 사례 및 원인 퀴즈
    10-2 다양한 분리막 제조 공정
    10-3 N/P 용량 비율과 안정성
    10-4 패키징 기술과 화재
    10-5 리튬 이차전지 화재 위험성 및 재현성 실험
    10-6 LIB 제조 공정별 위험도 분류
    11 전고체전지 제작기술의 이해 11-1 전고체 전지란? 퀴즈
    11-2 전고체 전지의 장단점
    11-3 전고체 전지 제작 기술
    11-4 바이폴라셀 제작 공정
    11-5 롤투롤 연속 공정
    11-6 전고체 전지의 동향
    12 불이 나지 않는 안전한 이차전지 12-1 리튬이온전지 화재 개선을 위한 노력 퀴즈
    12-2 수계 리튬 이온 전지
    12-3 수계 나트륨 이온 전지
    12-4 수계 아연 이온 전지
    12-5 수계 아연-공기 전지
    12-6 레독스 흐름 전지
    13 배터리 모듈, 팩의 구성과 제작 장비 13-1 Cell to module 퀴즈
    13-2 Cell to pack
    13-3 구조화배터리
    13-4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의 구성
    13-5 BMS의 역할
    13-6 배터리 셀 모듈-팩의 예시
    기말고사
    미리보기
    강좌운영진
    • 박민준 교수

      부산대학교 나노에너지공학과 조교수

      2012 한양대 지구환경시스템공학 학사
      2017 UNIST 에너지공학과 박사


    • 최진영 튜터

      최진영(개발,학습문의)

      부산대학교 나노융합기술학과

    • 박지한 튜터

      박지한(개발,학습문의)

      부산대학교 나노융합기술학과

    • 김주은 튜터

      김주은(개발,학습문의)

      부산대학교 나노융합기술학과

    자주묻는질문

    Q 이수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A 총 60% 이상 획득 시 이수가능합니다. (배분: 퀴즈 40%, 중간고사 30%, 기말고사 30%)

    기타·문의처
    에듀테크센터 | 051-510-3843

    분야 공학 (정밀 · 에너지)

    난이도 전공기초

    운영기관 부산대학교

    이수증 발급

    주차 15 주

    학습인정시간 39시간 00분 (12시간 49분)

    수강신청기간 25.02.26 ~ 25.06.06

    강좌운영기간 25.02.28 ~ 25.06.13

    전화번호 051-510-3843

    자막언어 한국어 외 1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