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강의실

최근 수강강좌 목록

현재 진행중인 강좌(청강제외)만 출력됩니다.

최근접속순 최대 10개 강좌만 표시됩니다.

K-MOOC
K-MOOC 학점은행제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한국어
  • 한국어
  • ENGLISH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분석

    강좌소개

    본 강좌는 문화콘텐츠 생산의 근간이 되는 스토리텔링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하여, 선행 콘텐츠를 사례 분석 방법, 기획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시나리오 분석 방법 등을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한다.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을 모두 강조하지만 어떤 것이 좋은 스토리텔링인지 평가하고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에서 본 강좌를 통해 스토리텔링 기획 및 분석 방법론을 학습하는 것은 유용하고 절실한 일이 될 것이다.

    본 강좌의 수업 목표는
    첫째, 문화콘텐츠 기획 및 개발은 물론 마케팅 과정에서도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스토리텔링에 대한 변별적 인식을 갖는다.
    둘째, 문화콘텐츠 시나리오를 읽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셋째, 선행콘텐츠 사례분석의 필수적 과정인 스토리텔링 분석 방법론 및 벤치마킹 방안을 학습한다.
    넷째,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구현 전략(기본 구현 전략 및 전환, 시퀼, 프랜차이즈 필름 등 포함)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활용 방안을 탐구한다.

    수강대상

    문화콘텐츠 기획, 창작 마케팅 전문가를 꿈꾸는 학생들과 다른 분야에서 스토리텔링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이 수강 대상이다. 문화콘텐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서사론에 대한 사전 학습이 있는 학생이면 가장 좋다.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의 기초가 되는 강의로서 대학교 2학년 이상이면 누구나 수강이 가능하다.

    이수기준 60점 이상 시 이수증 발급

    이수기준 안내
    퀴즈 [중간]보고서 [기말]보고서 합계
    30 30 40 100

    강의 일정

    강의일정 안내
    주차주차명강의내용퀴즈
    1스토리텔링의 정체

    1-1 스토리텔링의 중요성

    1-2 스토리와 스토리텔링 사이

    O
    2스토리텔링의 범주

    2-1 문화콘텐츠를 만나다

    2-2 깊이 들여다보다

    O
    3체계와 구조 그리고 리터러시

    3-1 체계와 구조의 의미와 기능

    3-2 이미지의 구성요소와 리터러시

    3-3 계열체와 통합체를 활용한 리터러시

    O
    4영상의 특성과 구성 요소

    4-1 영상의 개념과 특성

    4-2 영상의 의미작용

    4-3 영상의 재현과 리터러시

    O

    5원천소스와 컨셉 개발 그리고 주제

    5-1 원천소스의 정체와 활용

    5-2 주제의 중요성과 역할

    5-3 원천콘텐츠로서의 신화

    O
    6시간 구성 및 분석 방법

    6-1 시간 구성의 요소

    6-2 시간 구조 분석

    O
    7캐릭터의 구성과 구조화 전략

    7-1 캐릭터의 정체와 구현 전략

    7-2 Cast design과 스토리

    7-3 캐릭터 구조의 사례

    O
    중간[중간]보고서

    [중간] 보고서 제출

    8배경의 종류 및 구성 방안

    8-1 배경과 성격화된 공간의 의미

    8-2 성격화된 공간의 사례 분석

    8-3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성격화된 공간의 사례 분석

    O
    9시점 및 화법의 차별화 방안

    9-1 시점의 정체와 분류

    9-2 <오!수정>의 시점 활용 사례

    9-3 <러브레터>의 시점 활용 사례

    O
    10스토리텔링 플롯 유형 및 활용 사례

    10-1 <겨울연가>스토리텔링 전략 분석 사례

    10-2 플룻의 유형

    O
    11스토리텔링 모티브 유형 및 활용 사례

    11-1 <겨울연가>스토리텔링 전략 분석 사례

    11-2 <강도하 웹툰> 스토리텔링 전략 분석 사례

    11-3 <이웃집 토토로>스토리텔링 전략 분석 사례

    O
    12스토리텔링 전환 방법 및 사례 분석

    12-1 전환의 정체와 구조

    12-2 <지금, 만나러갑니다>의 사례 분석

    O
    13스토리텔링 확장 전략: Franchise film

    13-1 프랜차이즈 필름의 중요성

    13-2 <토이스토리>시리즈 사례 분석

    13-3 <토이스토리>시리즈 전환 전략과 한계

    O
    14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정체와 방법

    14-1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정체

    14-2 트렌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사례

    O
    기말[기말] 보고서[기말] 보고서 제출

    교수소개



    박기수 교수님
    박기수 교수 박기수 교수

    [ 학력 ]
    한양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 학사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 석사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 박사(애니메이션 서사의 특성 연구)

    [ 경력 ]
    2021-2023 한양대학교 국제문화대학 학장
    2005-현재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2017-2021현재 한양대학교 창의융합교육원 원장, IC-PBL센터장
    2013-현재 문화콘텐츠전략연구소 소장
    2011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Visiting Scholar
    2010 KBS 미디어 비평 자문위원

    [ 주요저서 ]
    《애니메이션 서사구조와 전략》 논형, 2004 : 2004 문화관광부우수학술도서 선정
    《문화콘텐츠학의 탄생》 다미디어, 2005(공저)
    《겨울연가, 콘텐츠와 콘텍스트 사이》 2005, 다미디어.(공저)
    《한류와 21세기 문화 비전》 2006, 청동거울(공저)
    《One Source Multi Use & Storytelling》 랜덤 하우스, 2006(공저)
    《アニメは 越境する》 岩波書店, 2010(공저)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구조와 전략》 논형, 2015. 등 총21권


    교재 소개

    스토리텔링 구조와 전략 논형
    박기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구조와 전략" 논형, 2015
    교재
    로버트 맥기 / 고영범.이승민 역,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황금가지, 2002.
    교재
    Gulino, Paul Joseph/ 김현정 역, 시나리오 시퀀스로 풀어라 황매,2009.
    교재
    크리스토퍼 보글러/함춘성 역, "신화 영웅 그리고 시나리오 쓰기 무우수" 2005
    미리보기

    분야 인문 (인문과학)

    난이도 전공심화

    운영기관 한양대학교(ERICA)

    이수증 미발급

    주차 16 주

    학습인정시간 13시간 46분 (08시간 59분)

    수강신청기간 24.11.01 ~ 25.01.09

    강좌운영기간 24.11.01 ~ 25.01.16

    전화번호 031-400-4288

    자막언어 한국어 외 1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