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내용
‘빅데이터로 읽는 한국 근대사 1’ 과목에서는 일제 시기의 대표적인 잡지인 『개벽』을 텍스트연결망 분석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당시 유행했던 사회주의 사상이 한국 지식인들에게 끼친 영향의 한 단면을 관찰한다.
본 과목에서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탐구 과정을 그대로 수업 진행에 반영하였다. 그 과정은 「①연구 목표와 탐구 방법 → ②말뭉치의 ‘특성’간 관계 산출 → ③『개벽』 논조의 시각화 → ④시기별 논조의 시각화 → ⑤연결망 그래프의 해석」의 5단계이다. 각 단계별로 3회의 세부 내용을 갖추어 해당 단계에 해당하는 내용을 순차적으로 학습해 나갈 수 있다.
1주차: 연구 목표와 탐구 방법
01. 『개벽』의 사료적 가치
02. 텍스트연결망 분석(TNA)
03. TNA 도구 소개
2주차: 말뭉치의 ‘특성’ 간 관계 산출
04. 『개벽』의 논조와 ‘주요 논설’
05. ‘개벽 말뭉치’의 생성
06. 문서-단어 행렬과 특성
3주차: 『개벽』 논조의 시각화
07. 패스파인더 연결망 방식
08. 군집화와 중심성 지표
09. 전체 논조의 시각화
4주차: 시기별 논조의 시각화
10. 시기구분
11. 사용자 함수 활용
12. 시기별 연결망 산출
5주차: 연결망 그래프의 해석
13. 연결망으로 본 사회주의
14. 문맥 속의 사회주의
15. 『개벽』 속의 사회주의(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