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수업 내용/목표

    K-콘텐츠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영상콘텐츠 산업의 현황과 특징, 발전과정과 주요 변화의 요소들을 이해하고, 미래 전망을 파악할 수 있다

    강좌 운영 계획

    주차 주차명(주제) 주차별 학습 목표 차시 차시명
    학습내용
    1 K-콘텐츠의 시대, 영상산업의 중요성 K-콘텐츠 시대, 영상콘텐츠산업을 공부해야 할 이유에 대해 이해하고, 영상콘텐츠산업의 개념, 현황과 특징에 대해 이해한다. 1-1 K-콘텐츠 시대, 영상콘텐츠산업을 공부해야 할 이유
    전체 강의의 목표와 구성
    1-2 영상콘텐츠 산업의 현황과 특징
    핵심 개념과 산업별 현황 및 특징
    1-3 전문가 대담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2 한국 영상 콘텐츠 산업의 발전 과정 한국의 영상콘텐츠 산업이 지금의 모습을 갖기 까지의 과정과 향후 글로벌 산업으로의 도약의 방향을 이해한다. 2-1 영상콘텐츠 산업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는 이유
    맥락적 역사 이해의 방법
    2-2 산업 발전과정의 검토
    주요 역사적 변화
    2-3 전문가 대담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3 영상 콘텐츠 산업 정책 한국 영상콘텐츠 산업 정책의 연혁과 구조를 이해하고, 관련 정책의 활용을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파악한다. 3-1 정책을 공부해야 할 이유
    정책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이해
    3-2 정책의 흐름과 특징
    정책 연혁과 구조 파악
    3-3 전문가 대담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4 디지털 혁신과 OTT 중심의 영상 산업 변화 OTT의 개념과 특징을 확인하고 OTT를 중심으로 변화하는 영상 산업의 성격에 대해 이해한다. 4-1 OTT와 한국 영상산업
    국내 시장 변화
    4-2 OTT와 영상산업의 디지털 혁신
    OTT 개념과 특징
    4-3 전문가 대담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5 글로벌 영상 콘텐츠 산업 글로벌 영상 산업을 바라보는 이론적 시각을 확인하고 글로벌 영상 미디어 기업들의 변화에 대해 이해한다. 5-1 글로벌 영상산업을 바라보는 시각
    주요 이론 소개
    5-2 글로벌 기업 사례 및 주요 쟁점
    주요 기업 사례 검토
    5-3 전문가 대담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6 영상 콘텐츠 한류 영상 콘텐츠 한류의 개념과 흐름을 확인하고 새로운 콘텐츠 환경 속에서 영상 한류의 미래 변화 방향에 대해 이해한다. 6-1 한류 현상의 이해
    한류의 개념
    6-2 영상콘텐츠 한류
    한류의 흐름과 변화
    6-3 전문가 대담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7 영상 콘텐츠 제작-유통 구조의 변화 디지털 기술을 통해 변화된 콘텐츠 제작-유통 구조의 특징을 확인하고 영상 산업에 새롭게 나타난 창작자와 콘텐츠 유형, 유통방식에 대해 이해한다. 7-1 영상콘텐츠 제작-유통 구조의 특징과 변화 요인
    주요 특징 및 요인 검토
    7-2 최근 제작-유통구조의 변화
    변화의 핵심 요소 검토
    7-3 전문가 대담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8 중간고사
    9 콘텐츠 IP 비즈니스 콘텐츠IP의 개념과 콘텐츠IP 비즈니스의 특징을 확인하고 콘텐츠IP 비즈니스의 핵심 전략들에 대해 이해한다. 9-1 콘텐츠IP의 개념과 특징
    핵심 개념 논의
    9-2 콘텐츠IP 비즈니스의 전략
    주요 특징 검토 및 핵심 전략 공유
    9-3 전문가 대담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10 팬덤의 이해 팬덤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팬덤을 중심으로 변화하는 콘텐츠 산업의 현황과 전망을 이해한다. 10-1 팬덤이란 무엇인가
    이론 논의
    10-2 팬덤과 콘텐츠 산업
    산업 지형 변화 검토, 주요 쟁점 검토
    10-3 전문가 대담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11 콘텐츠지식 재산권(IP)의 이해 지식 재산의 기초 개념을 확인하고 콘텐츠 지식재산의 활용 방식과 확장의 방향에 대해 이해한다. 11-1 지식재산과 콘텐츠 산업
    지식재산의 중요성
    11-2 저작권과 상표권의 이해
    권리별 핵심 내용 검토
    11-3 전문가 대담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12 이야기 산업과 IP 가치 사슬 콘텐츠 확장의 핵심 분야로서 이야기 산업의 개념과 특징을 파악하고 IP중심으로 변화하는 영상문화콘텐츠산업의 쟁점과 전망을 이해한다. 12-1 이야기 산업의 개념과 특징
    핵심 개념 논의
    12-2 IP의 확장과 산업의 변화
    산업 현황 및 전망 검토
    12-3 전문가 대담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13 키즈 콘텐츠와 1인 미디어 키즈 콘텐츠와 1인 미디어의 현황과 특징을 파악하고 관련 쟁점과 전망을 이해한다. 13-1 키즈 콘텐츠
    키즈 콘텐츠 핵심 요인 검토
    13-2 1인미디어
    1인 미디어 핵심 요인 검토
    13-3 전문가 대담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14 K콘텐츠와 영상산업의 미래 비대면 경험 확대외 기술 발전에 따라 성장하는 새로운 영상문화콘텐츠의 영역들의 주요 사례와 특징을 확인하고 미래 변화의 방향을 이해한다. 14-1 영상 산업의 지형 변화
    비대면 기술 변화 검토
    14-2 영상문화콘텐츠의 미래
    주요 사례 및 향후 전망 검토
    14-3 전문가 대담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15 기말고사

    강좌 운영팀 소개

    이성민

    ♦ 교수자

    • 이성민
    • 소속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 학력
      -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박사
      -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박사
      - 서울대학교 지구환경학부 학사 (언론정보학 부전공)
    • 연구분야 : 콘텐츠 산업 정책, 콘텐츠 IP, OTT 산업

    ♦ 강좌지원팀(튜터)

    • 임윤주
    • 소속 :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미디어학과
    • 학력
      -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미디어학 박사과정
      -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 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언론정보학 학사 (정치외교학 복수전공)
    • E-mail: pressyj@naver.com

    이수/평가정보

          과제명      

          퀴즈      

        중간고사    

       기말고사   

           총점       

    반영비율

    20%

    30%

    50%

    100%

    교재 및 참고 문헌
    • 이성민, 김규찬, 이소은, 이상규(2022). 영상문화콘텐츠산업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참고문헌 (온라인 무료 다운로드 가능)
    • 이상규, 이성민(2020), 콘텐츠 산업 트렌드 2025,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이상규, 이성민(2019), 콘텐츠 산업 제작 및 유통구조 변화와 과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미리보기

    분야 사회 (사회과학)

    난이도 전공기초

    운영기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이수증 미발급

    주차 15 주

    학습인정시간 19시간 45분 (15시간 41분)

    수강신청기간 23.09.23 ~ 24.12.31

    강좌운영기간 24.09.23 ~ 24.12.31

    전화번호 02-3668-4849

    자막언어 한국어 외 2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