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텐츠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영상콘텐츠 산업의 현황과 특징, 발전과정과 주요 변화의 요소들을 이해하고, 미래 전망을 파악할 수 있다
강좌 운영 계획주차 | 주차명(주제) | 주차별 학습 목표 | 차시 | 차시명 |
학습내용 | ||||
1 | K-콘텐츠의 시대, 영상산업의 중요성 | K-콘텐츠 시대, 영상콘텐츠산업을 공부해야 할 이유에 대해 이해하고, 영상콘텐츠산업의 개념, 현황과 특징에 대해 이해한다. | 1-1 | K-콘텐츠 시대, 영상콘텐츠산업을 공부해야 할 이유 |
전체 강의의 목표와 구성 | ||||
1-2 | 영상콘텐츠 산업의 현황과 특징 | |||
핵심 개념과 산업별 현황 및 특징 | ||||
1-3 | 전문가 대담 | |||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 ||||
2 | 한국 영상 콘텐츠 산업의 발전 과정 | 한국의 영상콘텐츠 산업이 지금의 모습을 갖기 까지의 과정과 향후 글로벌 산업으로의 도약의 방향을 이해한다. | 2-1 | 영상콘텐츠 산업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는 이유 |
맥락적 역사 이해의 방법 | ||||
2-2 | 산업 발전과정의 검토 | |||
주요 역사적 변화 | ||||
2-3 | 전문가 대담 | |||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 ||||
3 | 영상 콘텐츠 산업 정책 | 한국 영상콘텐츠 산업 정책의 연혁과 구조를 이해하고, 관련 정책의 활용을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파악한다. | 3-1 | 정책을 공부해야 할 이유 |
정책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이해 | ||||
3-2 | 정책의 흐름과 특징 | |||
정책 연혁과 구조 파악 | ||||
3-3 | 전문가 대담 | |||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 ||||
4 | 디지털 혁신과 OTT 중심의 영상 산업 변화 | OTT의 개념과 특징을 확인하고 OTT를 중심으로 변화하는 영상 산업의 성격에 대해 이해한다. | 4-1 | OTT와 한국 영상산업 |
국내 시장 변화 | ||||
4-2 | OTT와 영상산업의 디지털 혁신 | |||
OTT 개념과 특징 | ||||
4-3 | 전문가 대담 | |||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 ||||
5 | 글로벌 영상 콘텐츠 산업 | 글로벌 영상 산업을 바라보는 이론적 시각을 확인하고 글로벌 영상 미디어 기업들의 변화에 대해 이해한다. | 5-1 | 글로벌 영상산업을 바라보는 시각 |
주요 이론 소개 | ||||
5-2 | 글로벌 기업 사례 및 주요 쟁점 | |||
주요 기업 사례 검토 | ||||
5-3 | 전문가 대담 | |||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 ||||
6 | 영상 콘텐츠 한류 | 영상 콘텐츠 한류의 개념과 흐름을 확인하고 새로운 콘텐츠 환경 속에서 영상 한류의 미래 변화 방향에 대해 이해한다. | 6-1 | 한류 현상의 이해 |
한류의 개념 | ||||
6-2 | 영상콘텐츠 한류 | |||
한류의 흐름과 변화 | ||||
6-3 | 전문가 대담 | |||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 ||||
7 | 영상 콘텐츠 제작-유통 구조의 변화 | 디지털 기술을 통해 변화된 콘텐츠 제작-유통 구조의 특징을 확인하고 영상 산업에 새롭게 나타난 창작자와 콘텐츠 유형, 유통방식에 대해 이해한다. | 7-1 | 영상콘텐츠 제작-유통 구조의 특징과 변화 요인 |
주요 특징 및 요인 검토 | ||||
7-2 | 최근 제작-유통구조의 변화 | |||
변화의 핵심 요소 검토 | ||||
7-3 | 전문가 대담 | |||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 ||||
8 | 중간고사 | |||
9 | 콘텐츠 IP 비즈니스 | 콘텐츠IP의 개념과 콘텐츠IP 비즈니스의 특징을 확인하고 콘텐츠IP 비즈니스의 핵심 전략들에 대해 이해한다. | 9-1 | 콘텐츠IP의 개념과 특징 |
핵심 개념 논의 | ||||
9-2 | 콘텐츠IP 비즈니스의 전략 | |||
주요 특징 검토 및 핵심 전략 공유 | ||||
9-3 | 전문가 대담 | |||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 ||||
10 | 팬덤의 이해 | 팬덤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팬덤을 중심으로 변화하는 콘텐츠 산업의 현황과 전망을 이해한다. | 10-1 | 팬덤이란 무엇인가 |
이론 논의 | ||||
10-2 | 팬덤과 콘텐츠 산업 | |||
산업 지형 변화 검토, 주요 쟁점 검토 | ||||
10-3 | 전문가 대담 | |||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 ||||
11 | 콘텐츠지식 재산권(IP)의 이해 | 지식 재산의 기초 개념을 확인하고 콘텐츠 지식재산의 활용 방식과 확장의 방향에 대해 이해한다. | 11-1 | 지식재산과 콘텐츠 산업 |
지식재산의 중요성 | ||||
11-2 | 저작권과 상표권의 이해 | |||
권리별 핵심 내용 검토 | ||||
11-3 | 전문가 대담 | |||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 ||||
12 | 이야기 산업과 IP 가치 사슬 | 콘텐츠 확장의 핵심 분야로서 이야기 산업의 개념과 특징을 파악하고 IP중심으로 변화하는 영상문화콘텐츠산업의 쟁점과 전망을 이해한다. | 12-1 | 이야기 산업의 개념과 특징 |
핵심 개념 논의 | ||||
12-2 | IP의 확장과 산업의 변화 | |||
산업 현황 및 전망 검토 | ||||
12-3 | 전문가 대담 | |||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 ||||
13 | 키즈 콘텐츠와 1인 미디어 | 키즈 콘텐츠와 1인 미디어의 현황과 특징을 파악하고 관련 쟁점과 전망을 이해한다. | 13-1 | 키즈 콘텐츠 |
키즈 콘텐츠 핵심 요인 검토 | ||||
13-2 | 1인미디어 | |||
1인 미디어 핵심 요인 검토 | ||||
13-3 | 전문가 대담 | |||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 ||||
14 | K콘텐츠와 영상산업의 미래 | 비대면 경험 확대외 기술 발전에 따라 성장하는 새로운 영상문화콘텐츠의 영역들의 주요 사례와 특징을 확인하고 미래 변화의 방향을 이해한다. | 14-1 | 영상 산업의 지형 변화 |
비대면 기술 변화 검토 | ||||
14-2 | 영상문화콘텐츠의 미래 | |||
주요 사례 및 향후 전망 검토 | ||||
14-3 | 전문가 대담 | |||
전문가 대담(출연: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 | ||||
15 | 기말고사 |

♦ 교수자
- 이성민
- 소속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
학력
-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박사
-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박사
- 서울대학교 지구환경학부 학사 (언론정보학 부전공) - 연구분야 : 콘텐츠 산업 정책, 콘텐츠 IP, OTT 산업
♦ 강좌지원팀(튜터)
- 임윤주
- 소속 :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미디어학과
-
학력
-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미디어학 박사과정
-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 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언론정보학 학사 (정치외교학 복수전공) - E-mail: pressyj@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