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좌 소개

    수업내용/목표

    해양인문학은 ‘해양’을 단순한 물리적 공간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삶의 문제가 녹아 있는 다양한 관점에서 총체적으로 인식하려는 새로운 학문 분야입니다.
    이 강좌에서는 21세기 해양대국을 꿈꾸는 대한민국의 역량에 맞게 해양과 관련된 과학사와 문학, 철학을 아우르는 간학문적 소양을 겸비한 해양인문학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합니다.

    • 해양문학 : 유럽, 아메리카 등 해양인문 작품을 통하여 해양문학이 근현대에 미친 영향을 학습한다.
    • 해양과학: 해양과학사 인물 탐구, 독도, 해양어류 및 자산어보, 한선 등 우리나라 해양과학을 탐구한다.
    • 해양철학: 고대에서 현재까지의 철학사상을 통해 해양철학 작품과 그 사상을 이해한다.
    • 해양인문학 : 해양과 인간, 문화, 문학, 철학 등의 상호 관계와 그 의미를 통해 해양인문학의 개념을 이해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해양인문학에 대해 논의한다.

    강좌소개 영상

    강좌 계획

    강의계획서
    주차 학습일 주차명(주제) 차시명(소주제) 과제
    1 2024/09/02 해양과 인문학1 - 해양 인문학의 정의 해양과 인간 그리고 철학 주차별 퀴즈 1
    해양과 문학
    새로운 장르로서 해양인문학의 역할 가능성
    2 2024/09/09 해양과 인문학2 - 고대 해양인문학 고대 해양과학사 주차별 퀴즈 2
    고대의 해양철학 - 칼레스가 바라본 바다
    3 2024/09/16 해양과 인문학3 - 해양인문학 고대의 해양문학 - 고대 국가 그리스와 "오디세이" : 그리스 자체가 해양국가다. 주제토론 1
    오디세이의 세가지 주제(젊은이의 성장담, 뱃사람의 모험, 실종자의 귀환)
    4 2024/09/23 해양과 인문학4 - 해양인문학 중세이후 근현대 발견의 시대의 해양과학사 주차별 퀴즈 3
    해양문학 - 허만 멜빌 "모비딕"
    5 2024/09/30 해양과 인문학5 - 해양철학 기술철학으로서의 해양철학 과제물 1
    과학기술이란 무엇인가
    해양철학의 과제: 철학과 해양과학기술의 융복합으로서의 해양철학
    6 2024/10/07 해양과 인문학6 - 근현대 해양인문학 근현대 해양 과학사 주차별 퀴즈 4
    해양인문학의 가능성
    7 2024/10/14 해양과 국토 - 해양과 독도 독도의 역사와 자연환경 주차별 퀴즈 5
    독도의 생태환경
    독도의 지리적, 경제적, 과학적 가치
    중간시험
    8 2024/10/28 해양과 생물1 - 생명의 기원 바다 최초의 어류 주차별 퀴즈 6
    어류의 진화
    우리 바다의 어류의 다양성
    9 2024/11/04 해양과 생물2 - 자산어보의 재조명 자산어보의 인문학적 의미 주제토론 2
    자산어보에서의 환경과 인간
    자산어보의 생태적, 사회적 의미
    10 2024/11/11 해양과 조선 - 한선의 이해 한선의 역사 주차별 퀴즈 7
    한선의 종류와 특징과 구조
    한선의 인문학적 의미
    11 2024/11/18 해양과 철학 - 니체가 바라보는 바다 철학적 바다 담론(해양담론)과 바다 인식 과제(에세이) 2
    니체의 바다
    위버멘쉬의 본질로서의 바다
    12 2024/11/25 해양과 시 - 시인이 바라본 해양 김성식 시인의 시에 나타난 해양체험 - 출항, 항해 그리고 바다 인식 주차별 퀴즈 8
    김성식 시에 나타난 해양체험 - 선원의 삶, 노동 그리고 항구
    김성식 시에 나타난 해양체험 - 배에 대한 관심 그리고 귀항
    허만 멜빌의 "엔칸타다스"에 나타난 해양인문학
    13 2024/12/02 해양과 미래 - 해양인문학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해양철학을 통한 생명 치유로의 패러다임 전환 주제토론 3
    해양인문학의 과거, 현재와 미래 그리고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
    해양인문학의 미래
    기말시험

    강좌운영진 소개

    교수자

    윤홍주
    대표교수 : 윤홍주 교수
      - 국립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
    - 학력: 프랑스 Grenoble Ⅰ 대학교 지구물리환경공학과 공학박사
    - 한국전자통신학회 회장
    -  공간정보 Big Data 센터 센터장
    -  (사)한국생태공학회 회장
    김진구
    참여교수 : 김진구 교수
      - 국립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과 교수
    - 학력: 국립부경대학교 해양생물학과 이학박사 (어류계통분류학)
    - 한국유전학회 이사
    - 한국해양생명과학회 운영위원
    - 해양어류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기관장

    강좌지원팀

    윤홍주 교수
    윤홍주 교수
      - 국립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E-mail: yoonhj@pknu.ac.kr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정보

    중간고사: 20%, 기말고사: 20%, 과제물: 20%, 퀴즈 20%, 토론 15%, 학습자료공유 5%
    총점 60점 이상 이수증 발급
    성적범위는 90점 이상 A등급, 80점 이상 B등급, 70점 이상 C등급, 60점 이상 D등급, 60점 미만 Fail로 등급을 산정합니다.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해양 문학, 과학사, 철학을 아우르는 해양인문학에 대한 간학문적 소양을 겸비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추천합니다.
    강좌 수준은 대학교 1학년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며, 강좌를 듣기 위해 사전 수강해야 하는 과목은 따로 없습니다.

    교재 및 참고문헌

    강좌를 듣기 위해 따로 준비해야 하는 교재는 없습니다.
    매주 제공되는 강의자료(PDF) 및 참고자료를 제공하여 언제든지 다운받아 학습에 참고할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분야 인문 (인문과학)

    난이도 -

    운영기관 국립부경대학교

    이수증 미발급

    주차 19 주

    학습인정시간 24시간 00분 (14시간 12분)

    수강신청기간 24.08.19 ~ 24.10.31

    강좌운영기간 24.09.02 ~ 24.12.20

    전화번호 051-629-6946

    자막언어 -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