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좌 소개

    수업내용/목표

    1) 학습자는 지식 영역에서 원헬스의 개념, 적용 범위, 그리고 신종 감염병의 대처에 원헬스 접근법이 가지는 이점을 이해한다.

    2) 학습자는 행위 영역에서 신종 감염병의 발생과 전파를 막을 수 있는 행동을 하게 된다.

    3) 학습자를 지구 생태계 전체의 건강을 지키고자 하는 거시적 안목을 가지고 국제사회에 공헌하는 인재로 양성함한다.


    강좌 운영 계획

    강의계획서
    주차 주차명 파트명
    1주차 신종 감염병의 발생과 전파: 사례가 보여주는 신종 감염병의 위협 Opening: 강좌의 개요
    에이즈: 사람의 이동과 질병의 확산
    한타바이러스: 엘니뇨 현상과 신종 감염병
    웨스트나일바이러스: 모기매개 감염병의 확대
    살모넬라 DT104: 항생제 내성 세균의 확산
    최악의 미생물 폭풍
    2주차 사람, 동물, 환경의 세 영역에 닥친 위협: 원헬스 접근의 필요성 인간 영역
    동물과 식품 영역
    환경 영역
    새로운 모델의 필요성
    3주차 신종 감염병: 발생 후에는 이미 늦다 사스의 영향
    조류독감의 피해
    광우병의 영향
    종간 장벽과 신종 감염병의 발생
    질병 출현의 결정 인자 1
    질병 출현의 결정 인자 2
    4주차 인간의 질병 유산 사람과 동물 사이 접점의 속성
    호미닌 - 호모 속 등장 이전
    신석기 시대 - 정착생활, 농업, 가축화
    청동기부터 고대까지 - 도시화와 무역
    중세부터 근대까지 - 전쟁, 정복, 산업화
    현대 - 세계화의 시대
    5주차 유사 이래 인류의 감염병에 대한 대응력의 발전 고대부터 18세기까지 - 통제가 불가능한 시대
    19세기 중반 - 감염병이 통제되기 시작하다
    19세기 말 - 감염병의 원인 규명과 백신 개발
    20세기 전반 - 화학요법의 등장
    20세기 중반 - 항생제와 DDT
    20세기 후반 - 감염병 없는 세상을 꿈꾸다
    21세기 - 신종 감염병의 시대
    6주차 인간이 만든 틈새를 통과해서 생긴 신종 감염병들 (1) 앵무새열
    Q열
    재향군인병
    라임병
    지카와 모기매개 감염증
    모기 서식지의 확대와 모기 방제 노력
    7주차 인간이 만든 틈새를 통과해서 생긴 신종 감염병들 (2) 원숭이두창
    에볼라의 지역 내 유행과 원거리 전파
    메르스
    니파바이러스
    박쥐라는 동물
    코로나19와 질병 X
    중간시험
    8주차 불길한 조짐 – 내성 세균의 등장 약제내성 결핵
    모든 약제에 내성인 세균감염증
    우리나라의 항생제 내성
    항생제 내성의 등장
    내성 유전자의 획득
    항생제 내성 위협의 현실
    9주차 살모넬라와 콜레라 세균이란 무엇인가?
    살모넬라라는 세균
    살모넬라 혈청형
    살모넬라와 식물
    비브리오라는 세균
    콜레라의 유행과 파지
    콜레라균의 서식 환경
    10주차 외래 병원체에 의한 생태계의 위기 진균이란 무엇인가?
    박쥐흰코증후군
    양서류의 멸종 위기
    렙토스피라와 조류콜레라
    생물다양성과 인류의 지속가능성
    11주차 사람과 동물: 인수공통감염증을 넘어선 유사성 사람과 동물 - 감염병을 공유한다
    동물도 섹스를 즐긴다
    동물도 마약을 한다
    동물도 기절한다
    동물도 섭식장애가 있다
    동물도 자해를 한다
    12주차 RNA 바이러스: 신종 감염병의 생물학 바이러스란 무엇인가?
    RNA 바이러스의 인체 적응
    RNA 바이러스의 다양성과 감시
    광견병바이러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13주차 원헬스 접근법의 성공과 실패, 그리고 원헬스의 미래 헨드라의 통제
    조류독감발생에 대한 대응
    우역의 박멸
    웨스트나일바이러스의 통제 실패
    원헬스와 맨해튼 원칙
    감염병과 원헬스
    안전한 미래를 위한 우리의 노력
    기말시험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정보

    이수/평가정보
    과제명 퀴즈 중간고사 기말고사
    반영비율 40% 30% 30%
    ※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강좌운영진
    • 장철훈 교수

      부산대학교 의학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 부산대학교 에듀테크센터

      부산대학교 K-MOOC 운영 전담부서 (051-510-3843)

    자주묻는질문

    Q 이수증은 어떻게 발급되나요?

    A 강좌종료 일시(2024년 12월 13일 23시 59분) 전에 주차별 퀴즈와 온라인 중간고사·기말고사에 응시하여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의 점수를 취득하면 이수증을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강의가 종료되기 전에 이수 조건을 충족한다면 이수증을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Q 강의를 듣고 있었는데 ‘수강중인 강좌’ 목록에서 듣던 강의가 사라졌어요.

    A 이수요건을 충족하거나 강의 운영 기간(2024년 12월 13일 23시 59분) 이후로는 수강 중이던 강의는 [내 강의실] - [종료한 강좌 수] 탭을 클릭하면 강의실 썸네일을 확인할 수 있고, 썸네일을 클릭하면 강의실에 입장할 수 있습니다.

    기타·문의처
    에듀테크센터 | 051-510-3843

    분야 의약 (치료 · 보건)

    난이도 교양

    운영기관 부산대학교

    이수증 미발급

    주차 16 주

    학습인정시간 45시간 00분 (17시간 55분)

    수강신청기간 24.08.12 ~ 24.11.29

    강좌운영기간 24.09.02 ~ 24.12.13

    전화번호 051-510-3843

    자막언어 한국어 외 1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