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강의실

최근 수강강좌 목록

현재 진행중인 강좌(청강제외)만 출력됩니다.

최근접속순 최대 10개 강좌만 표시됩니다.

K-MOOC
K-MOOC 학점은행제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한국어
  • 한국어
  • ENGLISH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수업내용

    개화기 이후 한국 문학은 다양한 문학적·사회적 과제를 마주했다. 이는 1) 개화와 함께 범람하듯 유행한 서양식 문학 작법, 2) 개화 이후 120년 동안 창조·유입된 문학 작법 3) 봉건적 제도 하에서 형성된 전근대적 사고 방식, 4) 해방·한국전쟁·산업화·민주화·세계적 경제 위기 등의 다양한 시대 상황, 5) 한국의 지정학적·사상적·세계적 위치 등에 의한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문인들이 문학적 소명을 완수하기 위해 갖추었던 시대 각각의 제도·개념과 실천 양상을 이해하는 것은 한국 문학을 연구하기 위해 필수적인 사전 작업이다.


    After the enlightenment period, Korean literature faced various literary and social challenges. This includes not only the Western writing styles that flooded the country during the enlightenment, but also the numerous writing styles that have circulated since. The pre-modern views formed under the feudal system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Korea spanning from liberation, the Korean War, industrialization, democratization and global economic crisis also impacted Korean literature, as well as the country's geographical, ideological and international position. Examining the structure, concept, and practice that writers of each time period established to secure their position and fulfill their literary vocation is an essential task to analyze Korean literature in terms of ideology and institution.


    학습목표
    • 강화도 조약 이후 현재까지 한국 문학을 규정했던 주요 제도·집단을 이해한다.

    • 유사 시기 상이한 이념·입장의 문학 단체를 비교·분석하고, 그들의 문학적 실천이 갖는 의의를 분석한다.

    • 시대적 상황과 문학적 입장을 연계해 이해함으로써 한국 문학사에 대한 이해를 함양한다.


    교수: 김태형 Kim Tae-Hyeong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수업계획서


    주차

    주차명(주제)

    차시

    차시명(학습내용)

    평가방법

    1

    개화기 문학과 근대 문학

    Literature of the Enlightenment Period and Modern Literature

    1

    한국현대문학사에서 제도란

    Structure in the History of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퀴즈(4)

    시청각자료(2)

    읽기자료(2)

    토론

    (주차별 총 8)

    2

    개화기의 개념과 근대 문학의 유입

    Concept of the Enlightenment Period and the Inflow of Modern Literature

    3

    신소설: 이인직 「혈의 누」

    Introducing the Major Writers: Sinsoseol: Lee Injik 「Tears of Blood」

    4

    신체시: 최남선 「해에게서 소년에게」

    New-Style Poetry: Choe Nam-seon 「From the Ocean to the Youth」

    5

    강의 내용 정리 및 2주차 주제 소개

    Summary of Week 1 Lecture and Introduction to Week 2 Lecture

    2

    1동인지기

     The 1st Period of Coterie Magazines

    1

    동인이란? - 1동인지기의 개념

    What is “Coterie”? ― Concepts of the 1st Period of Coterie Magazines

    퀴즈(4)

    시청각자료(2)

    읽기자료(2)

    토론

    (주차별 총 8)

    2

    동인지 연보 정리 및 주요 동인지 소개: 󰡔창조󰡕, 󰡔폐허󰡕, 󰡔백조󰡕

    Introduction to Major Coterie Magazines:「Baek-jo (white

    current)」, 「Pye-heo (ruins)」, 「Chang-jo (creation)」and Others

    3

    주요 문인 소개

    Introduction to Major Writers: Lee Sang-hwa, Kim Eok, Kim

    Dong-in and Others

    4

    주요 작품 소개

    Introduction to Major Works and Their Periodic Significance

    5

    강의 내용 정리 및 3주차 주제 소개

    Summary of the Lecture and Introduction of Week 3

    3

    리얼리즘 문학

    Realism Literature

    1

    리얼리즘의 유입

    Inflow of Realism

    퀴즈(4)

    시청각자료(2)

    읽기자료(2)

    토론

    (주차별 총 8)

    2

    카프(KAPF)의 결성과 1차 방향전환

    The Formation and the 1st Change of Direction of KAPF

    3

    2차 방향전환과 카프의 해체

    〈Tsession Title: The 2nd Change of Direction and the

    Dissolution of KAPF

    4

    주요 문인 및 작품 소개

    Introduction to Major Writers and Their Works

    5

    동반자 문학, 강의내용 정리 및 4주차 주제 소개

    Fellow Traveler Literature, Summary of Lecture and

    Introduction to the Topic of Week 4

    4

    구인회와 모더니즘

    Guinhoe and Modernism

    1

    카프문학 그 이후

    Aftermath of KAPF Literature

    퀴즈(4)

    시청각자료(2)

    읽기자료(2)

    토론

    (주차별 총 8)

    2

    시문학파: 문학의 순수성

    Simunhak-pa (Poetry and Literature School): The Purity

    of Literature

    3

    구인회: 모더니스트

    Guinhoe: Modernist

    4

    기교주의 논쟁

    “Technicalism Debate”

    5

    강의내용 정리 및 5주차 주제 소개

    Summary of the Week and Introduction of Week 5

    5

    2동인지기

    The 2nd Period of Coterie Magazines

    1

    동인의 부활 – 제2동인지기의 개념

    Revival of “Coterie” ― Concept of the 2nd Period of Coterie

    Magazines

    퀴즈(4)

    시청각자료(2)

    읽기자료(2)

    토론

    (주차별 총 8)

    2

    주요 동인지 소개: 󰡔시원󰡕, 󰡔낭만󰡕, 󰡔시인부락󰡕, 󰡔시학󰡕

    Introduction to Major Coterie Magazines: Siwon,

    Nang-man, Siin Burak, Sihak

    3

    󰡔문장󰡕, 󰡔인문평론󰡕 그리고 󰡔국민문학󰡕

    〈Munjang (sentence), Inmunpyeongron (humanities review)

    and Kukmin Munhak (national literature)

    4

    친일문인과 작품 분석

    Analysis of Pro-Japanese Writers and Their Works

    5

    강의 내용 정리 및 6주차 주제 소개

    Summary of Lecture and Introduction to Topics of Week 6

    중간고사

    midterm exam

    중간고사

    midterm exam

    10

    6

    해방기와 한국전쟁

     Liberation Period and Korean War

    1

    해방기 문학

    Literature in Liberation Period

    퀴즈(4)

    시청각자료(2)

    읽기자료(2)

    토론

    (주차별 총 8)

    2

    한국전쟁의 원인과 전쟁

    The Cause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War

    3

    전후 문학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Post-war Literature

    4

    주요 작품 분석

    Analysis of Major Works

    5

    강의 내용 정리 및 7주차 주제 소개

    Summary of Lecture and Introduction to Topics of Week 7

    7

    독재시대와 순수/참여 논쟁

    The Dictatorship Era and the Dispute of Pure/Participation Literature

    1

    이승만 정부와 4.19 혁명

    Rhee Syngman Government and the April Revolution

    퀴즈(4)

    시청각자료(2)

    읽기자료(2)

    토론

    (주차별 총 8)

    2

    미완의 혁명

    Revolution Incomplete

    3

    4.19 세대: 순수/참여 논쟁

    4.19 Generation: the Dispute of Pure/Participation

    Literature

    4

    순수/참여 논쟁 전개

    Development of the Dispute of Pure/Participation

    Literature

    5

    순수/참여시 소개 및 강좌 내용 정리, 8주차 주제 소개

    Representative Poems of Pure/Participation Literature,

    Summary of the Week and Introduction of Week 8 Lecture

    8

    문학 에꼴 – <창작과 비평>, <문학과 지성>

     École Literature – 〈Creation and Criticism〉, 〈Literature and Intelligence〉

    1

    박정희 정부, 한국의 60년대와 70년대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in the 60s and 70s of

    Korea

    퀴즈(4)

    시청각자료(2)

    읽기자료(2)

    토론

    (주차별 총 8)

    2

    4.19 세대: <창작과 비평>

    4.19 Generation: 〈Creation and Criticism〉

    3

    4.19 세대: <문학과 지성>

    4.19 Generation: 〈Literature and Intelligence〉

    4

    <문학과 지성>의 문학 에꼴 구축 과정: 황동규 문학 비평을 중심으로

    Founding Process of École Literature by 〈Literature and

    Intelligence〉: Focusing on Hwang Tong-gyu’s Literary Criticism

    5

    강의내용 정리 및 9주차 주제 소개

    Summary of Week 8 Lecture and Introduction to Week 9

    Lecture

    9

    노동문학

    Labor Literature

    1

    산업화 시기와 노동권 투쟁

    Period of Industrialization and Struggle for Workers' Rights

    퀴즈(4)

    시청각자료(2)

    읽기자료(2)

    토론

    (주차별 총 8)

    2

    전태일

    Jeon Tae-il

    3

    노동 문학

    Labor Literature

    4

    노동시

    Labor Poetry

    5

    강의 내용 정리 및 10주차 주제 소개

    Summary of Lecture and Introduction to Week 10 Topic

    10

    오월문학

    May Literature

    1

    서울의 봄, 그리고 광주 민주화 운동

    Seoul Spring and the Gwangju Uprising

    퀴즈(4)

    시청각자료(2)

    읽기자료(2)

    토론

    (주차별 총 8)

    2

    80년대의 5월 문학

    May Literature of the 1980s

    3

    90년대의 5월 문학

    May Literature of the 1990s

    4

    후일담 문학과 00년대의 오월 문학, 10주차 강의 내용 정리

    Huildam (reminiscence) Literature and May Literature of

    the 2000s, Summary of Week 10 Lecture

    5

    한국 문학사의 제도·개념·실천 강의내용 정리

    Summary of the Lecture 'Structure, Concept, and Practice of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기말고사

    final exam

    기말고사

    final exam

    10

    100점 중 60점 이상 이수증 발급

     

     

     

     


    미리보기
    강좌운영진
    • 김태형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학술연구교수
    • K-컬처·스토리콘텐츠 연구소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K-Culture·Story Contents Research InstituteKyung Hee UniversitySeoul Campus
      E-mail: kcsc@khu.ac.kr
      홈페이지https://kcsc.khu.ac.kr/kcsc_kor/user/main/view.do

    분야 인문 (언어 · 문학)

    난이도 전공기초

    운영기관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이수증 미발급

    주차 12 주

    학습인정시간 36시간 00분 (05시간 12분)

    수강신청기간 24.09.30 ~ 24.12.31

    강좌운영기간 24.10.07 ~ 24.12.31

    전화번호 02-961-0148

    자막언어 한국어 외 2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