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좌소개 COURSE INTRODUCTION

    • 영화는 대중들이 원하는 상과 시대의 담론이 잘 담겨져 있는 매체로, 영화속 한국과 한국 역사에서 시대별 한국 사회의 담론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본 강좌는 지난 100년의 한국영화사에 나타난 가족의 변화를 통해 사회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살펴보고 여러 대안 가족의 등장 이유, 장단점 등을 분석하여 미래 사회의 가족 형태를 함께 예측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학습목표 LECTURE OBJECTIVES

    학습목표

    • 한국영화의 주요 흐름을 가족이라는 시각에서 해석할 수 있다.
    • 가족이라는 흐름을 통해 영화와 사회의 관계를 탐색할 수 있다.
    • 이런 작업을 통해 한국영화를 둘러싼 다양한 담론과 영화의 관계, 사회적 반영 등을 지난 100년의 거시적 시각을 정립할 수 있다.

    홍보영상 INTRODUCTION VIDEO

    강좌운영계획 SYLLABUS

    주차 주차명 차시 차시명
    1 1930년대 중반 조선영화의 가족 1 전체 수업 오리엔테이션
    2 1930년 중반 영화에 재현된 가족의 특징
    3 1930년 중반 영화에 재현된 가족의 특징
    2 일제말기의 영화 속 군국주의 가족 이데올로기 1 군국주의 이데올로기로 부활한 가부장과 강한 어머니
    2 고아들의 양육과 부모 된 일본인, 그리고 내선 결혼
    3 가족 담론의 변화와 선전 정책의 연관성
    3 1950년대 영화의 바람난 부인과 나약한 가부장의 대결 1 1950년대 영화에서 <자유부인>의 위치
    2 서구적 시선으로 여성을 재현한 1950년대의 여러 영화들
    3 1950년대 영화와 사회의 관계
    4 1960년대 초 가족희극영화에 나타난 세대 교체 1 가족 희극 영화라는 장르
    2 가족 희극 영화의 세대 교체 양상
    3 김승호, 영원한 아버지의 초상
    5 1960년대 중반 형성된 강한 가부장제, 그 영화적 재구성 1 근대화 시기의 영화 출발점, <쌀>
    2 <미워도 다시 한번>과 신영균
    3 청춘 영화와 모던 시네마, 근대화에 소외된 이들의 내면
    6 1970년대 청년 영화에 그려진 좌절과 호스티스 영화의 범람 1 우울한 젊은이의 자화상, <바보들의 행진>
    2 <별들의 고향>의 여성 재현과 가족 구성
    3 <별들의 고향>의 여성 재현과 가족 구성
    7 1980년대 성애 영화의 등장과 흔들리는 가부장 1 성애 영화의 등장과 <애마부인>
    2 이장호와 배창호의 에로영화들
    3 에로 사극의 범람
    8 중간고사
    9 IMF구제 금융 시기,가부장 옹호의 물결 1 1997년 직후 영화의 흐름과 아버지 재현
    <편지>, <아버지>, <가족>등이 재현하는 아버지상
    2 <해피엔드>의 바뀐 남녀상
    여전한 모성 이데올로기와 엔딩의 해석
    3 무기력한 가부장 재현의 흐름들
    <주먹이 운다>의 가부장
    10 2000년 전후한 시기,가부장의 위기 1 <정사>의 파격적 여성 주체
    이재용 감독의 영화세계와 여성의 재현
    2 <밀애>의 여성 주체 찾기
    <남과 여>의 여성 주체 찾기
    3 <여자,정혜>, <친절한 금자씨>, <오로라공주>에 나타난 여성의 복수
    영화 속 여성의 복수를 보는 시각
    11 가부장의 죽음 1 <바람난 가족>의 인물망
    <바람난 가족>의 성적 재현
    2 <바람난 가족>에 나타난 죽음
    임상수의 또다른 영화<처녀들의 저녁식사>의 여성 재현
    3 <좋지 아니한가>의 서사
    <좋지 아니한가>의 불구인 가장의 재현
    12 대안 가족-여성 공동체 또는 대모 가족,일처다부제 1 <싱글즈>의 낙관,여성 공동체의 가능성
    독립 영화의 리얼한 모습, <쇼킹 패밀리>
    2 대모 가족의 탄생, <다섯은 너무 많아>
    <차이나타운>의 악한 대모
    3 쇼킹한 영화, <결혼은,미친 짓이다>
    어떻게 아내가 결혼할 수 있지?
    13 대안 가족–비혈연 가족,동성애 가족 1 가족 영화의 새로움,비혈연‘가족의 탄생’
    <고령화 가족>의 기이한 구성
    2 <후회하지 않아>,한국 퀴어 멜로의 전형
    이송희일 영화의 주된 흐름
    3 <두 번의 결혼식과 한 번의 장례식>의 동성애 재현 방식
    다큐<마이 페어 웨딩>의 현실적 재현
    14 천만 영화의 가족주의와 가부장 재현 1 천만 영화를 공부하는 방법들
    천만 영화의 리스트와 아버지의 재현
    2 강한 아버지에 대한 욕망의 재현
    어머니의 부재
    3 천만 영화가 비극으로 끝나는 이유
    아버지라는 소재가 비극과 만나는 이유
    15 기말고사

    강좌운영기간 COURSE OPERATION PERIOD

    2024.09.02~2024.12.29

    강좌수강정보 COURSE INFORMATION

    평가기준

    • 출석: 20%
    • 과제: 20%
    • 중간고사: 30%
    • 기말고사: 30%

        ※총 60점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학습방법

    광운MOOC강좌를 ‘진짜 내 것으로 만드는 100% 활용 학습 Tips’를 알려드리겠습니다.

    • 강의 계획서를 꼼꼼히 읽어 보세요.

      학습 목표와 주차별 학습 내용 등을 통해 교수님이 학습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강의의 핵심 내용과 전체적인 강의의 맥락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학습 전 강의 계획서를 먼저 점검하는 것은 전체적인 강의 맥락을 파악할 수 있어 예습의 효과가 있으며, 퀴즈나 시험의 평가 방법들을 확인함으로써 학습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 충분한 학습과 이해를 위해 적극적인 학습활동을 추천합니다.

      ※ 학습의 불충분함을 느낄 때는 읽기자료/기타 읽기자료, 질문하기, 강의 다시 듣기를 추천 드립니다.
      자신의 이해 속도에 따라 강의 속도를 조절하거나,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의 강의를 반복해서 다시 들어보세요.
      만약, 다시 듣기로도 이해가 잘되지 않을 경우에는 매 주차 마지막에 있는 ‘똑똑 질문하기’를 통해 적극적으로 질문을 남겨보세요.
      과목의 TA 또는 동료 학습자들의 응답을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스스로 얼마나 이해했고, 학습한 내용을 진짜 내 것으로 만드는 지름길은 학습한 내용의 질의응답을 통해서입니다.
      질문하기 게시판을 적극 활용하여 동료 학습자들과 함께 궁금증을 해결하며 다양한 학습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해당 주차의 읽기자료와 기타자료를 이용하여 학습내용의 이해를 확장해보시기를 추천합니다.

      ※ 퀴즈 및 토론을 적극 활용하세요.
      매 주차별 학습 후 스스로 퀴즈를 풀어보며 주차별 주요 학습 내용을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이미 학습한 내용(동영상 학습+읽기활동+퀴즈풀기)을 바탕으로 확산적 사고를 요구하는 토론 활동을 통해 폭넓고, 깊이 있는 "4차산업의 신기술과 신산업"에 대한 식견을 습득해보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강좌운영진
    • 강성률 교수

      광운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동북아문화산업학부

      [주요 저서]

      「한국영화에 재현된 가족 그리고 사회」(2018,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영화 색채 미학」(2017, 커뮤니케이션북스)

      「영화 비평–이론과 실제」(2016, 아모르문디)

      「한국의 영화 감독 4인을 말하다」 (2015, 본북스)

      「영화는 역사다」 (2010, 살림)

    • 김어진 조교

      광운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E-mail: ricky0205@kw.ac.kr

    분야 예체능 (연극 · 영화)

    난이도 교양

    운영기관 광운대학교

    이수증 미발급

    주차 16 주

    학습인정시간 27시간 00분 (17시간 13분)

    수강신청기간 24.08.13 ~ 24.10.01

    강좌운영기간 24.09.02 ~ 24.12.29

    전화번호 02-940-5794

    자막언어 -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