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MOOC 01 강좌 개요 및 목표

    ■ 강좌 개요조선의 문인들은 자신의 주거공간 – 집, 누정, 별서, 정원, 원포 등과 서재(서루), 사랑방 등 포함 –에 자신의 가치관과 삶의 태도, 미의식을 반영한 이름을 붙이고, 각종 주거공간과 그곳에서의 생활을 묘사하고 서술한 글을 풍부하게 남겼다. 현재 고택으로 남아있는 집도 있지만, 글이라는 기억(기록) 속에 남아있는 집들이 대부분이다. 이 강의는 조선의 문인 12인이 사랑한 집 이야기를 통해 집이 품고 있는 인문 정신(인생관 또는 가치관, 미의식, 취향과 기호 등)을 탐색한다. 문학 텍스트, 회화, 유적지 현황 등을 넘나들면서 조선 문인들이 경영한 집 이야기를 재구성하고, 나아가 조선 문인들이 사랑한 집과 인생 이야기를 통해 현대의 주거공간과 현대인의 삶을 성찰한다.


    ■ 학습목표
    본 강좌를 수강한 학습자는:
    첫째, 조선 문인 12인의 주거공간 양상과 그곳에 담긴 인문 정신(인생관 또는 가치관, 미의식, 취향과 기호 등)을 분석한다.
    둘째, 조선의 회화를 활용하여 문인들의 주거공간을 시각적으로 이해하고 감상한다.
    셋째, 현재 남아있는 유적지와 복원 양상 등을 찾아보면서, 유적지의 외형에 인문적 스토리와 문화적 콘텐츠를 구성한다.
    넷째, 조선 문인들의 주거 사례와 인생 이야기를 통해 현대의 주거공간과 현대인의 삶을 성찰한다.

    MOOC 02  주차별 강좌 계획

    강좌 운영 기간 : 2024년 09월 04일 (수) 09:00 ~ 12월 17일 (화) 23:59
    본 강의는 휴강 없이 매주 수요일마다 새로운 수업이 공개되됩니다.
    시험과 과제 마감 일정을 확인하고 반드시 마감 시간보다 여유 있게 제출하여 강좌 이수에 차질이 없도록 반드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마감 시간 임박 시 제출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조선 문인들이 사랑한 나의 집_강의계획서 내용 안내
    주 차강 의 주 제
    1꿈꾸는 집, 실제의 집
    1. 주거공간의 명명과 그 의미
    2. 꿈꾸는 집 의원(意園)의 전통
    3. 현전하는 조선 문인의 고택 풍경
    4. 옛 그림으로 보는 집과 정원
    2미수 허목의 집
    1. 묘역에서 듣는 허목의 생애
    2. 은거당(恩居堂) 터와 기념비
    3. 늘 푸른 정원 십청원(十靑園)
    4. 구루암(傴僂庵)과 백졸장(百拙藏)
    5. 십청원과 은거당에서의 생활
    6. 퀴즈(1~2주차 내용)
    3표암 강세황의 집
    1. 강세황의 생애와 자화상
    2. 사방에 산수화를 그린 서재 산향재(山響齋)
    3. 남산 자락 회현방의 무한경루(無限景樓)와 홍엽루(紅葉樓)
    4. 용산의 둔촌 두운정(逗雲亭)과 화선루(畵扇樓)
    5. 처남 매부의 우정의 공간, 안산의 청문당(淸聞堂)
    6. 안산의 집 녹화헌(綠畫軒)
    4이이엄 장혼의 집
    1. 장혼의 생애
    2. 장혼이 꿈꾼 집, 인왕산 옥류동의 이이엄(而已厂)
    3. 이이엄의 생활
    4. 이이(而已)의 양생법
    5. 장혼과 송석원시사(松石園詩社)
    6. 퀴즈(3~4주차 내용)
    5담헌 홍대용의 집
    1. 홍대용의 생애와 모습
    2. 홍대용이 사랑한 나의 집 애오려(愛吾廬)
    3. 애오려의 여덟 가지 풍경 애오려팔경(愛吾廬八景)
    4. 서울 남산 집 유춘오(留春塢)와 음악회
    6연암 박지원의 집
    1. 박지원의 생애와 저술
    2. 연암골의 연암산거(燕巖山居)
    3. 경상도 안의현에 지은 건축물
    4. 서울 가회동의 계산초당(桂山草堂)
    5. 퀴즈(5~6주차 내용)
    7순암 안정복의 집
    1. 묘역에서 듣는 안정복의 생애
    2. 안정복의 서재 이택재(麗澤齋)
    3. 천리(天理)를 따르는 집 순암(順菴)
    4. 분의당팔영(分宜堂八咏)과 노년의 삶
    8중간고사 + 첫 번째 과제
    9농암 김창협의 집
    1. 장동 김씨 가문과 김창협
    2. 김창협의 백운산 은구암(隱求庵)과 농암수옥(農巖樹屋)
    3. 백운산에서 낳은 딸, 그녀의 꿈
    4. 아들 김숭겸의 추억이 어린 집 삼주(三洲)
    5. 김창협 형제들의 집
    10능호관 이인상과 그의 벗들의 집
    1. 이인상의 생애와 그림 세계
    2. 서울 남산의 능호관(凌壺館)
    3. 명동 종강(鐘崗)의 뇌상관(雷象觀)
    4. 벗 이윤영의 서지(西池) 가 담화재(澹華齋)
    5. 벗 오찬의 계산동 산천재(山天齋)
    6. 이인상과 이윤영이 단양 구담(龜潭)에 지은 집
    7. 퀴즈(7~10주차 내용))
    11기생 연희와 김려의 집
    1. 김려와 《사유악부(思牖樂府)》
    2. 연희의 집 천영루
    3. 유배객의 처소 파타엄(波吒广)
    4. 부령 술친구들의 집
    5. 김려의 삼청동 만선와(萬蟬窩)
    12다산 정약용의 집
    1. 정약용의 묘역과 생애
    2. 여유당(與猶堂)
    3. 소내에서의 생활
    4. 서울 명례방의 정원 죽란(竹欄)
    5. 퀴즈(11~12주차 내용)
    13풍석 서유구의 집
    1. 서유구의 생애와 저술
    2. 남산 아래 죽서(竹西) 경저(京邸)의 파초
    3. 용산의 용주정사(溶洲精舍)와 풍석암(楓石庵)
    4. 번계의 자이열재(自怡悅齋)와 자연경실(自然經室)
    5. 집에 대한 모든 것,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14매화 늙은이 조희룡의 집
    1. 조희룡의 유배지 임자도의 집을 찾아서
    2. 유배 적소 만구음관(萬鷗唫館)
    3. 화구암(畵鷗盦)의 일상
    4. 조희룡의 발길이 닿은 임자도 풍경
    5. 조희룡의 매화서옥(梅花書屋)
    6. 퀴즈(13~14주차 내용)
    15기말고사 + 두 번째 과제


    MOOC 03  수강대상 및 학습활동

    • 수강대상
      - 한국의 고전과 인문학, 그림 등에 관심 있는 사람 누구나
      - 일상생활 속에서 한문의 장벽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던 사람
      - 주거공간과 생활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나 감성을 탐색하고 싶은 사람

    • 수업구성
      강의, 퀴즈, 과제, 중간고사, 기말고사

    • 평가기준
      퀴즈 30%, 과제 20%(각 10%), 중간고사 25%, 기말고사 25%

    • 이수증 발급
      평가기준 60점 이상 이수한 학습자
      * 본 강좌는 교수자 채점 과제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종강 후 이수증이 발급되기까지 최대 1~2주 소요될 수 있습니다. 소속 기관의 이수증 제출 일정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강좌운영진
    • 강혜선 교수

      학력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석·박사 (한국 한문학 전공)

      주요 경력
      현) 성신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현) 한국한시학회 부회장
      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편집위원
      전) 돈암어문학회 회장

      주요 저서
      저서
      한시 러브레터, 북멘토, 2015
      나 홀로 즐기는 삶, 태학사, 2011
      정조의 시문집 편찬, 문헌과 해석사, 2000

      공저서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정민 외 공저, 태학사, 2013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정민 외 공저, 태학사, 2011

      번역서
      여성 한시 선집, 문학동네, 2012
      조선 선비의 일본견문록 : 해유록, 이마고, 2008
      유배객, 세상을 알다 - 김려 산문선, 태학사, 2007

    • 운영 TA

      성신여자대학교 하이브리드교육지원센터

      이메일 : kmooc@sungshin.ac.kr

      전화 : (02) 920-7863

      * 시스템 관련 문의는 하이브리드교육지원센터로 주세요.

    기타·문의처
    02-920-7863

    분야 인문 (언어 · 문학)

    난이도 교양

    운영기관 성신여자대학교

    이수증 미발급

    주차 15 주

    학습인정시간 29시간 00분 (17시간 01분)

    수강신청기간 24.08.13 ~ 24.12.10

    강좌운영기간 24.09.04 ~ 24.12.17

    전화번호 02-920-7863

    자막언어 한국어 외 1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