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MOOC 01  강좌 개요 및 목표

    강좌 개요
    본 강좌는 다원화된 현대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적 갈등 상황에 대해 헌법과 기본권이 어떻게 문제 해결 열쇠를 제공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사회적 갈등을 헌법의 언어로 어떻게 재해석할 수 있는지 헌법의 고유한 방법론을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기존 헌법재판소 결정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면서 새로운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합니다. 

    학습목표
    본 강좌를 수강한 학습자는:
    1. 현대 사회에서 갈등 해결의 코드인 기본권의 중요성과 의의를 설명할 수 있고,
    2. 헌법재판소에서 기본권을 통해 어떻게 사회적인 갈등을 해결했는지 설명할 수 있으며,
    3. 헌법재판소의 기본권 갈등 해결 사례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대안을 제안할 수 있을 것입니다.

    MOOC 02  주차별 강좌 계획

    ■ 강좌 운영 기간 : 2024년 9월 6일 (금) 09:00 ~ 12월 19일 (목) 23:59
    ■ 본 강의는 매주 금요일에 새로운 수업이 공개됩니다.
    기본권, 세상과 통하는 法_강의계획서 내용 안내
    주 차주 제소주제학습활동
    1기본권이란 무엇인가?1. 기본권 공부의 출발점 잡기
    2. 다원화된 사회에서 헌법과 기본권의 기능
    3. ‘헌법 문맹’을 넘어서 세상과 소통하는 법
    4. Q & A : 헌법재판은 그냥 수수께끼 상자일까?
    퀴즈
    2기본권의 역사적 발달과 그 성격1. 기본권과 인권의 관계
    2. 기본권의 역사적 발달 1
    3. 기본권의 역사적 발달 2
    4. 권리로서 기본권: 대국가적 방어권
    5. 객관적 가치 규범으로서 기본권: 객관적 가치질서성
    퀴즈
    3헌법 속에서 기본권의 의의와 기능1. 민주주의와 기본권: ‘아니오’라고 외칠 수 있는 권리
    2. 법치주의와 기본권: 법의 존재 이유
    3. 국가권력과 기본권: 국가권력을 정당화하는 근거
    퀴즈
    4기본권 제한의 한계: 기본권은 언제 어떻게 제한되는가?

    1. 기본권 주체의 의의
    2. 기본권 주체로서 자연인(1): 태아, 배아
    3. 기본권 주체로서 자연인(2): 사자(死者)

    4. 궁금합니다: 헌법에서 기본권 주체로서 사람이란?

    퀴즈
    5기본권 주체: 누가 기본권을 갖는가?1. 기본권 주체로서 자연인(3): 외국인
    2. 기본권 주체로서의 법인
    3. 기본권 주체로서의 공법인
    퀴즈
    6기본권의 효력(1): 누구에게 어디까지
    기본권을 주장할 수 있을까?
    1. 기본권의 대국가적 효력
    2. 기본권의 대사인적 효력
    3. Q&A: 법인은 양심의 자유를 가지고 있을까?
    퀴즈
    7기본권의 효력(2): 누구에게 어디까지
    기본권을 주장할 수 있을까?
    1. 기본권보호의무(1)
    2. 기본권보호의무(2)
    3. 기본권 충돌
    퀴즈
    8중간고사TEST
    9기본권은 언제 어떻게 제약되는가?(1)1. 기본권의 (개념) 내재적 한계
    2. 사례: 표현의 자유의 개념 내재적 한계
    3. 헌법에 의한 기본권 제한
    4. 법률에 의한 기본권 제한(법률 유보)
    퀴즈
    10기본권은 언제 어떻게 제약되는가?(2)1. 기본권 제한의 목적
    2. 기본권 제한의 형식: 법률
    3. 기본권 제한의 한계로서 비례의 원칙
    4. 본질적 내용 침해 금지
    5. Q & A: 턱수염을 기를 기본권?
    6. 번외편: 기본권 침해에 대한 최후 보루, 헌법재판(1)
    7. 번외편: 기본권 침해에 대한 최후 보루, 헌법재판(2)
    퀴즈
    11화장실에서 꽃 핀 인간의 존엄1. 기본권의 분류와 체계
    2. 인간존엄의 헌법적 의의
    3. Q & A: 1.06과 72, 인간 존엄의 한계?
    퀴즈
    12우리 사랑할 수 있게 해주세요!:
    행복추구권과 성적 자기결정권
    1. 행복추구권의 의의와 실현구조
    2. 사랑할 권리: 동성동본 금혼 규정
    3. 사랑하지 않을 권리?: 간통죄 위헌 사건
    퀴즈
    13한국사회를 바꾼 헌법재판소 결정들1. 생명권: 인간의 확장인가? 축소인가? (1)
    2. 생명권: 인간의 확장인가? 축소인가? (2)
    3. 생명권: 인간의 확장인가? 축소인가? (3)
    4. 혐오와 가짜뉴스 시대에 다시 생각하는 표현의 자유 (1)
    5. 혐오와 가짜뉴스 시대에 다시 생각하는 표현의 자유 (2)
    퀴즈
    14공개강의: 헌법의 최전선1. 기본권 주체의 확장, 탈인간시대의 헌법학
    2. 동성혼: 상식에 반하라!
    3. 성소수자의 화장실, Q & A
    퀴즈
    15기말고사TEST

     MOOC 03  평가 및 이수증 발급 기준

    • 평가기준
      퀴즈 50%, TEST 50% (중간고사 25%, 기말고사 25%)

    • 이수증 발급
      평가기준 총 60점 이상 이수한 학습자

    미리보기
    강좌운영진
    • 김연식 교수

      김연식 교수 

      학력
      영국 University of Edinburgh 법학박사
      미국 University of Chicago 법학석사
      고려대학교 법학과 법학사, 법학석사

      주요 경력
      현) 성신여자대학교 법과대학 법학부 교수
      전) 헌법재판연구원 책임연구관

      K-MOOC 강의
      헌법: 갈등해결의 코드

    • 하이브리드교육지원팀

      성신여자대학교 하이브리드교육지원센터

      이메일 : kmooc@sungshin.ac.kr 
      전화 : (02)920-7863

    기타·문의처
    02-920-7863

    분야 사회 (법률)

    난이도 교양

    운영기관 성신여자대학교

    이수증 미발급

    주차 15 주

    학습인정시간 24시간 00분 (18시간 25분)

    수강신청기간 24.08.13 ~ 24.12.12

    강좌운영기간 24.09.06 ~ 24.12.19

    전화번호 02-920-7863

    자막언어 한국어 외 1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