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좌 소개

    "지역 재생과 디지털 문화기획' 강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본 강좌는 대중문화 및 지역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디지털 미디어를 이용한 지역문화콘텐츠를 기획, 제작하고 지역재생과 활성화 방법을 탐구하는 과정입니다.

    15주의 학습을 통해 여러분은 문화, 대중문화를 넘어 지역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지역재생을 위한 문화기획에 대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을 이해하는 토대를 마련하는 시작을 본 강좌를 통해 함께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학습목표
    • 대중문화 및 지역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디지털 미디어를 이용한 지역문화콘텐츠를 기획,제작하고 지역재생과 활성화 방법을 탐구한다. 
    • (지식) : 문화, 대중문화, 지역문화의 개념을 이해하고 문화적 지역재생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 (기술) : 문화적 지역재생을 위해 지역의 특성을 분석하고 콘텐츠 기획안을 도출할 수 있다.

    • (태도) : 지역의 문제를 이해하고 지역재생의 필요성과 방법을 이해한다.

    기대효과 

    • 대중문화와 지역문화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 지역재생 및 활성화의 문제와 방법을 이해한다.

    •  지역재생을 위한 디지털 문화 기획 능력을 함양한다.


    이수정보 

    본 강좌는 학점이 부여되지 않는 자율참여 강좌입니다. 단 개인의 역량 강화를 위해 아래와 같이 성적 반영률을 제시하고 있으며 각 15주 안에 중간고사/기말고사를 시행하고 있으니 참조 바랍니다. (이수증 발급 별도 없음)

    - 학습활동 반영 비율

    중간고사 30%, 기말고사 30%, 출석 10%, 과제 20%, 퀴즈 10%


    문의처 

    수업에 참여하는 과정에 생기는 궁금한 점이나 건의사항은 Q&A 게시판에 작성해주시면 성심성의껏 답변해드리겠습니다.

    이메일 문의 : yuhuss@yu.ac.kr
    수업계획서

    주차

    주차명(주제)

    차시

    차시명(학습내용)

    평가방법

    1

    문화의 개념

    1-1

    문화의 다양한 개념

     

    1-2

    대중문화의 다양한 성격

     

    1-3

    지방문화의 특성

     

    2

    대중문화와 사회

    1-1

    마르크스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대중문화

     

    1-2

    문화주의와 문화자본의 관점에서 바라본 대중문화

     

    1-3

    키치, B급문화, 하위문화의 성격

     

    3

    공간과 장소의 문제

    1-1

    공간과 장소의 개념

     

    1-2

    여러 학자들의 공간과 장소 개념에 대한 이론

     

    1-3

    장소의 특성

     

    4

    한국 사회 공간의 불평등

    1-1

    한국 사회 공간의 불평등한 구조 현황

     

    1-2

    서울과 지방의 구조적 불평등

     

    1-3

    서울과 지방의 재현 문제와 지방의 소멸

     

    5

    도시재생과 지역재생

    1-1

    인구 절벽과 지방 소멸의 문제

     

    1-2

    도시재생의 개념 설명

     

    1-3

    지역재생의 현황 설명

     

    6

    지역재생과 경제

    1-1

    기업의 지역재생 활동 설명

     

    1-2

    국내 기업 CSV활동 사례 소개

     

    1-3

    지역재생과 청년 창업 문제 설명

     

    7

    문화적 지역재생의 이해

    1-1

    문화도시의 개념 설명

     

    1-2

    문화도시의 유형 설명

     

    1-3

    한국의 문화도시 사업 설명

     

    8

    중간시험

    퀴즈

    9

    문화적 지역재생의 해외 사례

    1-1

    스페인 빌바오의 지역재생 사례

     

    1-2

    영국 게이츠헤드의 지역재생 사례

     

    1-3

    프랑스 앙굴렘의 지역재생 사례

     

    10

    문화적 지역재생의 국내 사례

    1-1

    문화 이벤트를 통한 지역재생 사례

     

    1-2

    축제를 통한 지역재생 사례

     

    1-3

    장소 개발을 통한 지역재생 사례

     

    11

    스토리텔링과 지역재생

    1-1

    디지털 콘텐츠를 통한 장소만들기

     

    1-2

    기존 이야기를 이용한 장소의 스토리텔링 사례

     

    1-3

    장소의 현재 이야기를 들려주는 스토리텔링 사례

     

    12

    콘텐츠투어리즘과 지역재생1

    1-1

    새로운 이야기를 통한 장소의 스토리텔링

     

    1-2

    콘텐츠투어리즘의 개념과 현황

     

    1-3

    성지순례와 지역재생의 관계

     

    13

    콘텐츠투어리즘과 지역재생2

    1-1

    한국 콘텐츠투어리즘의 현황과 특성

     

    1-2

    오버투어리즘 및 지역 콘텐츠 산업 육성 문제

     

    1-3

    AR기술 지역재생 콘텐츠 사례

     

    14

    지역재생 콘텐츠 기획

    1-1

    지역도시(경산)의 특성과 현황

     

    1-2

    지역도시(경산)의 지역재생 활동의 현황과 문제

     

    1-3

    지역도시(경산)의 미디어 콘텐츠 기획안 도출

     

    15

    기말시험

    퀴즈

    수강소감 및 향후발전 방향 등에 대한 토론 (게시판)


    강좌운영진
    • 주형일 교수

      영남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E-mail : spdm@yumail.ac.kr


    • 강좌지원팀
      강의 조교 
      E-mail : yuhuss@yu.ac.kr
      강좌 수강 관련 문의사항은 해당 메일로 주시면 됩니다. 
    자주묻는질문

    Q 강의 교재가 있나요?

    A 강의실 자료실에서 각 주차별 학습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강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분야 사회 (사회과학)

    난이도 전공기초

    운영기관 영남대학교

    이수증 미발급

    주차 15 주

    학습인정시간 21시간 00분 (18시간 49분)

    수강신청기간 24.10.28 ~ 24.12.31

    강좌운영기간 24.10.28 ~ 24.12.31

    전화번호 053-810-1618

    자막언어 한국어 외 1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