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교수 소개 / Lecturer(s)

    손유경(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Son Yu-Kyuong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수업내용 및 학습목표 / Course Summary and Learning Objectives

    • 페미니즘 운동과 이론이 문학을 포함한 한국의 여러 문화 현상에 미친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현대문학의 현주소와 동향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한국문학의 흐름을 비판적ㆍ입체적으로 고찰하는 인식의 기반을 마련할 것이다.
    • This course examines the influence of feminist activism and theory on literature and other aspects of Korean culture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and trend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In doing so, it builds a foundation for analyzing Korean literary history from critical, multifaceted perspectives. 


    강의 계획 / Syllabus

    순서 Week

    강의 제목 Lecture Title

    강의 내용 Section Title

       1

    페미니즘과 한국 현대문학
    Feminism and Modern Korean Literature

    <한국 페미니즘 문학과 문화> 강의 소개
    ① Course Introduction

    ② 식민지시기 페미니즘 문학 개관
    ② Colonial Period Feminist Literature

    ③ 해방 이후 페미니즘 문학 개관
    ③ Post-Liberation Feminist Literature

    ④ 최근 한국의 페미니즘 문학과 문화
    ④ Recent Korean Feminist Literature and Culture

    ⑤ 요약 및 정리
    ⑤ Summary and Conclusion

      2

    여성 산책자가 바꾼 근대의 풍경
    Modernity's Landscape Transformed by the Flaneuse

    ① 여학생과 신여성의 출현
    ① The Emergence of Female Students and New Women

    ② 이광수의 <윤광호>와 나혜석의 <경희> 비교
    ② A Comparison of Lee Gwang-su's 〈Yun Gwang-ho〉 and Na Hye-seok's 〈Gyeonghui〉

    ③ 모성에 대한 나혜석의 급진적 사유
    ③ Na Hye-seok's Radical Ideas on Maternal Instinct

    ④ 나혜석의 유럽 여행기와 여성 산책자의 시선
    ④ Na Hye-seok's Europe Travelogue and the Flaneuse's Gaze

    ⑤ 요약 및 정리
    ⑤ Summary and Conclusion

    ⑥ 핵심 체크
    ⑥ Key Ideas

      3

    식민지시기 사회주의 페미니즘의 양상
    Socalist Feminism in the Colonial Period

    ① 식민지시기 사회주의 문예 운동의 흐름
    ① The Socialist Literary Arts Movement in the Colonial Period

    ② 연애냐 혁명이냐
    ② Romance or Revolution?

    ③ 『인간문제』에 나타난 사회주의 페미니즘의 특징
    ③ Socialist Feminism in 〈The Human Problem〉

    ④ 요약 및 정리
    ④ Summary and Conclusion

    ⑤ 핵심 체크
    ⑤ Key Ideas

      4

    여류의 교류
    Exchange Between Women Writers

    ① 여성과 전위
    ① Women and the Avant-Garde

    ② 짝을 찾는 아내들: 최정희와 이선희
    ② Wives in Search of Their Match: Lee Seon-hui and Choe Jeong-hui

    ③ 이단적 자매들: 최정희와 지하련
    ③ Unorthodox Sisters: Choe Jeong-hui and Ji Ha-ryeon

    를 찾아 나서기: 지하련과 이선희
    ④ In Search of the Self:  Ji Ha-ryeon and Lee Seon-hui

    ⑤ 요약 및 정리
    ⑤ Summary and Conclusion

    ⑥ 핵심 체크
    ⑥ Key Ideas

      5

    여성의 눈으로 본 일제 말기와 해방기
    The Late Colonial and Liberation Period as Seen Through the Eyes of Women

    ① 진보의 개념과 감각
    ① Progress as Concept and Sense

    ② 일제 말기 호모소셜한 동지들의 환상
    ② Fantasies of Homosocial Comradery in the Late Colonial Period

    ③ 해방기의 공산당원들
    ③ Communist Party Members in the Liberation Period

    ④ 요약 및 정리
    ④ Summary and Conclusion

    ⑤ 핵심 체크
    ⑤ Key Ideas

      6

    여성의 눈으로 본 한국전쟁
    The Korean War from a Female Perspective

    ① 최정희의 『인간사』의 출간 전후
    ① The Publication of Choi Jeong-hui’s 〈Human History〉 and the Postwar

    ② 동경 시절의 환영과 유령
    ② Ghosts and Apparitions of a Time in Tokyo

    목격자 되기마채희 찾기
    ③ Becoming Witness and Finding Ma Chae-hui

    ④ 요약 및 정리
    ④ Summary and Conclusion

    ⑤ 핵심 체크
    ⑤ Key Ideas

      7

    성장 소설과 여성
    Women and the Coming-of-Age Novel

     

    ① 산업화시대 아이라는 타자
    ① The Child as Other in the Era of Industrialization

    ② 성장 소설 속 점액질의 유년기
    ② Phlegmatic Childhood in the Coming-of-Age Novel

    진짜에 대한 감각과 유년의 놀이
    ③ Childhood Play and a Sense of the Real

    ④ 성장 아닌 각성: 오정희의 <유년의 뜰>
    ④ Not Growing Up but Waking Up: Oh Junghui’s 〈Childhood Garden〉

    ⑤ 요약 및 정리
    ⑤ Summary and Conclusion

    ⑥ 핵심 체크
    ⑥ Key Ideas

      8

    여성의 눈으로 본 1980년대
    The 1980s from a Woman’s Perspective

     

    1980년대 문학과 김향숙 소설의 특징
    ① 1980s Literature and Kim Hyangsuk's Fiction

    ② 역사의 주인공 vs. 무대의 관객
    ② The Hero of History Versus the Stage Audience

    ③ 살아남은 딸들과 사후의 리얼리즘
    ③ The Daughters Left Alive and After-Realism

    ④ 요약 및 정리
    ④ Summary and Conclusion

    ⑤ 핵심 체크
    ⑤ Key Ideas

      9

    노년 소설과 여성
    Women and Old-Age Novels

    ① 유년의 망각과 노년의 무지
    ① The Forgetfulness of Childhood and the Incomprehension of Old Age

    ② 노년의 거울 단계와 조각난 신체상
    ② The Mirror Stage of Old Age and the Shattered Bodily Image

    ③ 죽음의 목격자로 산다는 것
    ③ Life as a Witness to Death

    ④ 요약 및 정리
    ④ Summary and Conclusion

    ⑤ 핵심 체크
    ⑤ Key Ideas

     10

    세대, 젠더, 그리고 페미니즘
    Generation, Gender, and Feminism

    ① 부녀관계의 형상화
    ① Depictions of Father-Daughter Relationships

    ② 젊은 딸의 욕망
    ② A Young Daughter's Desires

    ③ 부친 살해 신화의 패러디
    ③ The Patricide Myth as Parody

    ④ 아버지의 몸을 그린다는 것
    ④ Picturing the Body of the Father

    ⑤ 요약 및 정리
    ⑤ Summary and Conclusion

    ⑥ 핵심 체크
    ⑥ Key Ideas


    이수/평가정보 Course Completion and Assessment

    과제명 Task

    퀴즈 Quiz

    토론 Discussion

    과제 Assignments

    반영비율 Weight

    90%

    0%

    10%

    ※ 총 5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A certificate of completion will be issued for a final score over 50%.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 Course Level and Prerequisites

    이 강좌는 전공심화(고) 강좌입니다.
    This is a beginner course.

     

    교재 및 참고문헌 / Course Materials and References

    '교재' 탭의 PDF 파일을 참조하기 바랍니다.
    Please refer to the PDF files in the "Course Materials" tab.


    수강생 유의사항 / Notes for Participants

    1. 학습활동으로 제시된 퀴즈, 토론, 보고서 과제들을 충실히 수행해야 합니다.
    1. Participants must complete all quizzes, discussions, and report assignments provided as part of the course activities.

    2. 강의 내용 및 학습 과정과 관련해 질문 사항이 있는 경우 K-MOOC 강의 게시판 또는 서울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K학술확산연구센터 홈페이지의 질문 게시판을 이용하기 바랍니다.
    2. For questions related to the course content and curriculum, please utilize the Q&A message board on the K-MOOC course platform or on the website of the Center for Fostering a New Wave of K-Academic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s Center fo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미리보기
    강좌운영진
    • 학습조교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현대문학 전공 박사수료
      Seoul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octoral candidate

    분야 인문 (언어 · 문학)

    난이도 전공심화

    운영기관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한국어문학연구소

    이수증 미발급

    주차 10 주

    학습인정시간 30시간 00분 (11시간 41분)

    수강신청기간 24.04.25 ~ 24.07.03

    강좌운영기간 24.04.25 ~ 24.07.04

    전화번호 02-880-6011

    자막언어 한국어 외 2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